1.갈색줄무늬오갈병 (褐條萎縮病,Tristeza)
병원체
Citrus tristeza virus
발생환경
접목전염을 주로 하나 많은 종류의 진딧물에 의하여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온주밀감은 이병에 저항성으로, 대부분의 나무가 감염이 되어 있으나 피해증상은 겉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제주도 감귤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는 4가지, 즉 감귤 트리스테자 바이러스(CTV), 온주위축바이러스(SDV), 감귤모자이크 바이러스(CiMV), 접목부이상바이러스(CTLV)가 보고되고 있다.
이외에도 다른 바이러스, 특히 바이로이드 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제주농업시험장에서 1995년부터 1998년까지 항혈청을 이용하여 제주도 감귤의 바이러스 감염율을 조사한 결과 CTV는 약 50%, SDV와 CTLV는 약 15% 정도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증상설명
감귤 갈색줄무늬오갈병에 의한 병징에는 크게 3가지(스템피팅, 급격한 고사, 황화)가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스템피팅 병징과 유자에서의 궤양성 호반 증상만이 보고되어 있다.
(1) 스템피팅 : 가지나 줄기에 발생하며 작은 가지에서는 양철 판 위에 못으로 홈을 판 것과 같은 모양으로 홈이 파져 있으며 껍질을 벗겨 보면 더 확실히 알 수 있다.
심할 경우 줄기 전체에 커다란 홈이 형성되며 작은 줄기는 꽈베기 같이 되기도 한다.
잎은 누렇게 되고 수세가 약해지며 과실의 크기도 작아지고 전체 수량은 떨어지게 된다.
우리나라 유자에 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2) 급격한 고사 : 감귤 갈색줄무늬오갈병 중에서 가장 심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사워오렌지를 대목으로하는 오렌지, 문단, 탄제린 등에서 보고되고 있다.
감염된 나무는 수세가 약화되고 심할 경우 급격하게 고사하게 된다.
이 경우 접목 부위의 껍질을 벗겨 보면 대목과 접수사이에 뚜렷한 이층이 존재한다.
(3) 황화 : 사워오렌지, 문단, 레몬 등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수세가 약화되고 잎이 황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방제방법
- 접수 채취 시 반드시 바이러스 검정을 거쳐야 하며 바이러스가 없는 대목과 접수를 사용하는 것이 1차적으로 중요하다.
- 바이러스는 진딧물에 의해서 매개되기 때문에 감귤에 등록된 약제로 진딧물 방제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 전정가위와 같은 작업도구에 의해서도 매개 될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도구를 열 또는 바이러스 감염 역제물질로 소독한 후 사용해야 한다.
2.검은무늬병 (黑斑病,Black spot)
병원체
Phoma citricarpa
발생환경
저장과실들은 포장에서부터 많이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단지 저장 중 병이 발생하고 안하고는 저장과실의 저항력이나 환경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대부분이 저장 초기 보다는 오랜 기간 저장 시 발생하지만 서리나 눈을 맞고 저장된 과실에서는 조기에 발병할 수도 있다.
병 발생은 저장고 환경이 너무 건조하였을 경우 발생이 쉽다.
증상설명
과실의 전 부분에 나타날 수 있다.
초기 병징은 담갈색의 병반이 과피에 형성되고 점차 진전되면서 광택이 있는 검은색의 과립으로 변하게 되고 약간 딱딱해지지만 균사는 보이지 않는다.
여기에 병자각을 형성하고 이 병자각으로부터 드물게 병포자가 형성되기도 한다.
이때 과일을 쪼개보면 과피와 양낭막이 검게 변해 있고 검은색의 가루 같은 것들이 가득 차 있다.
페니실리움(Penicillium)에 의한 썩음병 같이 대부분의 다른 썩음병들은 물러지면서 썩어들어 가지만 검은무늬병은 건부(乾腐)성인 게 특징이다.
방제방법
병 발생이 우려되는 농가는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저장고를 유지해야 하며 저장고 내 저장 용기의 위치도 가끔 바꿔주는 게 좋다.
3.검은썩음병 (黑腐病,Black rot, Alternaria fruit rot)
발생환경
병원균은 감귤의 죽은 조직이나 기타 다른 기질에 부생적으로 존재하면서 포자를 형성시켜 공기중으로 비산시키며 과실의 생육 기간 중 과정부 또는 꽃받침 속에 잠복해 있다가 과실에 열악한 환경, 즉 생리적 장해, 과숙, 일소, 건조, 서리 등에 의해, 그리고 수확 후 저장과실이 생리적 소모가 많아짐에 따라 과실내부에 침입하여 병을 일으킨다.
주 침입 경로는 과경지나 과정부의 균열을 통하여 주로 침입하지만 또한 과실에 상처가 있을 때에도 병 발생이 용이하다.
증상설명
온주 밀감에서는 처음에 암갈색 또는 흑갈색의 약간 들어간 수침상을 형성하거나, 검정색 또는 흑녹색의 솜털과 같은 균사들로 뒤덮힌 병반을 형성하며 이때 과실을 쪼개보면 과실 내부는 부패하여 까만 균사와 포자로 가득 차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주로 과정부 또는 과경부를 중심으로 발생하지만 적도면 등 과실 표면의 어떤 부위에서도 발생이 될 수 있다.
과경부 또는 과정부로부터 병원균이 침입하는 경우 내부가 우선적으로 부패하기 때문에 과실 표면은 외견상 건전해 보여도 과실 내부가 부패해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방제방법
- 저장 전 예조를 충분히 행하고 저장조건을 잘 맞추어 줌으로써 저장과실의 생리적 소모가 적도록 하며 특히 저장 중 과습하지 않도록 환기를 철저히 해야한다.
- 전정가위나 바람, 곤충에 의한 상처과들은 병 발생이 쉽기 때문에 저장과로 쓰지 않도록 해야한다.
4.검은점무늬병 (黑點病,Melanose)
병원체
Diaporthe citri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자각이나 자낭각 형태로 겨울을 지내며 전염원은 이들에서 생성된 병포자와 자낭포자이다.
자낭포자는 공기중에 비산되어 바람에 의해 먼거리까지 병원균을 전파시킬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병포자에 비해서 전염원으로서의 비중은 훨씬 가벼운 편이다.
병포자는 나무위의 마른 가지나 과수원에 방치하여 둔 죽은 가지에서 생겨난 병자각에서 생성되며 빗방울과 함께 비산된다.
과실의 경우 통상 낙화기 부터 낙화 후 5개월까지 병이 발생 할 수 있으며 병 발생 정도는 수상에 남아 있는 죽은 가지의 양, 과실의 크기(생육단계), 강우나 이슬에 의한 습윤기간에 따라 다양하다.
죽은 가지나 전정하여 버려진 가지에 병원균이 정착하고 2~3개월 후면 포자를 형성하여 전염원이 되며 약 1년 정도 포자 생성이 지속된다.
녹지(綠枝)를 침입한 병원균은 죽지 않고 살아 있는 경우가 많으며 녹지가 고사한 후(병원균에 의해 고사하는지는 확실치 않음) 병자각이 형성되어 전염원이 된다.
포자가 열매나 잎을 침입하면 기주식물은 병원균에 대한 방어작용으로써 항균물질을 분비하여 침입한 병원균을 죽이고 그 반응으로써 검은점이 형성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5월 달부터 감염되기 시작하는 잎은 감염이 되어도 전염원으로서 역할을 못하기 때문에 굳이 방제할 필요가 없다.
포자가 식물조직을 침입하기 위해서는 24~28 ℃에서 8시간 이상, 20 ℃에서는 12시간 이상의 습윤조건이 필요하며 잠복기간은 25 ℃에서 1~2일, 10 ℃에서는 7일간이다.
따라서 강우가 많지 않더라도 오후에 비가 오고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야간 온도가 어느 정도 높을 경우 병 발생에 충분한 조건이 된다.
병 발생 조건이 충족되면 10월초까지도 병이 발생하지만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과실의 비대기 이후는 저항성을 지니기 때문에 병 발생은 흔치 않다.
하지만 소립검은점무늬병의 경우 8월부터 10월초까지도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설명
병원균 침입 후 약 1 주일만에 병징이 나타난다.
잎, 가지, 과실에 발병되며 특히 과실에서의 병반 모양은 흑점형, 니괴형, 누반형 3가지가 있다.
병원균이 침입한 식물의 표피세포는 그 침입 부위로부터 6개의 세포 층까지 괴사하며 그 속에 딱딱하고 검붉은 고무질과 같은 물질이 박혀있다.
이것이 우리가 보는 대표적인 흑점형 반점이 된다.
낙화기 이전에 감염된 부위는 약간 함몰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 함몰이 수확기까지 유지되고 그 부위는 착색이 되어도 푸른색으로 남아 있다가 서서히 착색이 진행된다.
흑점의 크기는 매우 다양하여 낙화기 때 감염된 병반은 상대적으로 그 크기가 크며, 과실이 좀더 자란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병반을 형성하여 흑점의 모양도 뚜렷한 작은 돌기모양이 되고 과실의 비대기가 거의 끝날 단계에 감염된 조직은 병반이 붉은 색을 띠며 상대적으로 흑점모양이 뚜렷하지 않다.
또한 병원균 농도가 높을 경우 검붉은 딱지, 또는 부스럼 같은 모양이 되는데 이것이 니괴형 병반이며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형성된 병반을 누반형이라고 한다.
잎의 경우 5월 초, 중 순경 잎이 굳어지기 전에 감염되기 시작하여 전형적인 검은 점이 박혀있지만 심할 경우 잎이 황화되고 심하게 뒤틀리며 낙엽이 된다.
또한 청견, 부지화, 세또까와 같은 만감류에서는 잎 표면에 흑점형 병반의 돌기 정도가 심하여 거친 모레가 붙어 있는 것과 같은 모양이 된다.
하지만 잎의 병반에서는 전염원이 형성되지 못하기 때문에 병을 전파시키지 못하며, 따라서 잎의 경우는 굳이 방제할 필요가 없다.
줄기의 경우 신초나 녹지(綠枝)에 5월 초 중순경 이후로 감염되기 시작하며 다른 부위와는 다르게 침입부위에서 균이 살아 있는 경우가 많다.
검은점무늬병의 병징은 감염시기나 과실의 상태, 감염 시 기후 조건등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녹응애 피해, 또는 구리제 등에 의한 약해와도 그 증상이 매우 유사하다.
방제방법
가) 재배적 방제 - 죽은 가지 및 전정가지 제거 - 습윤기간 최소화 나) 약제 방제 -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최근의 낙화기는 5월 중순에서 말경으로 이때부터 8월 하순사이에 약 15-20일 간격, 또는 200-250㎜의 누적 강우 시마다 4-5회 약제를 살포한다.
- 기상 특성에 따라 지역별 감귤검은점무늬병 방제 횟수 조절 * 년 평균 강수량 1,600㎜이하 지역(고동색 지역) : 4회 * 년 평균 강수량 1,600㎜이상 지역(연두색 지역) : 5회
기타
검은점무늬병은 제주도 감귤 재배 농가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병으로서 심한 지역에서는 전체 농약살포 횟수의 절반 이상이 검은점무늬병 방제를 위해서 행해 지고 있다.
특히 서귀포를 포함한 제주도의 남동부 지역은 타 지역에 비하여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피해가 심한 지역이다.
또한 검은점무늬병균은 줄기나 나무전체가 갑자기 죽어버리는 수지병이나 주요 저장병인 꼭지썩음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1) 기주 및 품종 ○ 기주범위 : 감귤속 식물 ○ 품 종 : 감귤류 전체에 발병되나 종류에 따라 발병의 차이는 약간 있다.
금감은 최고로 발병되기 쉽고 온주밀감은 중정도이다.
온주밀감보다도 발병이 많은 것은 이예감, 견피, 감하귤, 스타치, 그레이프후르트, 레몬, 네블오렌 지, 청견, 세또까 등이며 비교적 발병이 적은 것은 하귤, 탱자, 성전, 뽕깡, 부지화등이다 (2) 분포 : 감귤지대에 널리 분포하지만 감귤의 생육기간에 강우가 적은 북아메리카의 캘리포니아, 지중해연안 등에서는 발병이 비교적 적은 편이고 상대적으로 꼭지썩음병 발병이 많은 편이다.
제주도에서는 강우가 많은 남동쪽 지역에서 발병이 많은 편이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캡탄.플루트리아폴 입상수화제 | 57.5(50+7.5)% | 과수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 카+사1 | (주)팜한농 |
살균제 | 클로로탈로닐.티람 수화제 | 70(20+50)% | 균마금 | Ⅳ급(저독성) | Ⅰ급 | 5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카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플루아지남.트리플록시스트로빈 수화제 | 60(40+20)% | 균에센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30일전 | 3회 이내 | 다5+다3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카벤다짐.트리플록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56(6+50)% | 균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이내 | 나1+다3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디페노코나졸.디티아논 입상수화제 | 34(4+30)% | 그랑프리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카 | 성보화학(주)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20% | 나폴레옹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이내 | 다3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플루아지남.프로피네브 수화제 | 50(8+42)% | 낙화엔골드 | Ⅳ급(저독성) | Ⅱ급 | 5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다5+카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디티아논.플룩사피록사드 액상수화제 | 28(25+3)% | 뉴페이스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다2 | (주)경농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20% | 다치로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14일전까지 | 3회 이내 | 다3 | (주)피에이치엘 |
살균제 | 디티아논 액상수화제 | 43% | 델란 | Ⅲ급(보통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카 | (주)경농 |
살균제 | 디티아논 입상수화제 | 66% | 델란 | Ⅳ급(저독성) | Ⅰ급 | 15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디티아논 입상수화제 | 44% | 델란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코퍼옥시클로라이드.디티아논 수화제 | 55(42+13)% | 델란케이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카+카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디티아논.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70(30+40)% | 델란티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카+나1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크레속심메틸.트리플루미졸 액상수화제 | 35(20+15)% | 드림하트 | Ⅳ급(저독성) | Ⅱ급 | 15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다3+사1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플루퀸코나졸.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28(14+14)% | 듬지칸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사1+다3 | (주)팜한농 |
살균제 | 디티아논 입상수화제 | 66% | 디치원 | Ⅳ급(저독성) | Ⅰ급 | 15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시메코나졸 수화제 | 20% | 디펜더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사1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20% | 래이피어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다3 | 지넥스(주) |
살균제 | 디페노코나졸.테부코나졸 분산성액제 | 9.5(3.5+6)% | 르네상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14일전 | 5회 | 사1+사1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디티아논.메트코나졸 입상수화제 | 35(30+5)% | 리스펙트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사1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피리벤카브.티오파네이트메틸 액상수화제 | 25(5+20)% | 만수무강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다3+나1 | (주)경농 |
살균제 | 프로클로라즈망가니즈 수화제 | 50% | 머니업 | Ⅳ급(저독성) | Ⅲ급 | 3000배 | - | 수확 7일전까지 | 3회 | 사1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캡탄 입상수화제 | 80% | 머판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 카 | 한국마간(주) |
살균제 | 메펜트리플루코나졸.피라클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14(5+9)% | 멜리아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다3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플루아지남 액상수화제 | 50% | 모두랑 | Ⅳ급(저독성) | Ⅰ급 | 2500배 | - | 수확 30일전 | 3회이내 | 다5 | (주)팜한농 |
살균제 | 디티아논 액상수화제 | 43% | 미듬탄 | Ⅲ급(보통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카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20% | 바빌론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이내 | 다3 | 에이치바이오텍 |
살균제 | 디페노코나졸.플루아지남 수화제 | 47(7+40)% | 바이블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다5 | (주)팜한농 |
살균제 | 베노밀 수화제 | 50% | 벤레이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7일전 | 4회 | 나1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피라지플루미드 액상수화제 | 15% | 비긴엔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7일전 | 3회 | 다2 | (주)팜한농 |
살균제 | 아시벤졸라-에스-메틸.만코제브 수화제 | 49(1+48)% | 비온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차1+카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22% | 새도우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30일전 | 3회 이내 | 다3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 22.9% | 스탠바이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4회 이내 | 다3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크레속심메틸 액상수화제 | 44.2% | 스트로비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다3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크레속심메틸 액상수화제 | 44.2% | 스트로비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다3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22% | 스팅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30일전 | 3회 이내 | 다3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메티람 입상수화제 | 55% | 썬업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 22.9% | 쎈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10일전 | 4회 이내 | 다3 | (주)신농팜케미컬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 22.9% | 쎈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4회 이내 | 다3 | (주)신농팜케미컬 |
살균제 | 아시벤졸라-에스-메틸.디티아논 액상수화제 | 31.75(1.75+30)% | 아로빈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차1+카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플루트리아폴 입상수화제 | 40% | 애니탄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 사1 | 성보화학(주) |
살균제 |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50% | 에이플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다3 | (주)팜한농 |
살균제 | 카벤다짐.트리플록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56(6+50)% | 일급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 나1+다3 | (주)신농팜케미컬 |
살균제 | 카벤다짐.트리플록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56(6+50)% | 일급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다3 | (주)신농팜케미컬 |
살균제 | 카벤다짐.트리플록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56(6+50)% | 일급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이내 | 나1+다3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 22.9% | 조반니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4회 이내 | 다3 | 아다마코리아(주) |
살균제 | 이프로디온.트리플록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38(30+8)% | 찬찬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마3+다3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30(15+15)% | 참누리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이내 | 다3+마2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 22.9% | 카브리오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4회 이내 | 다3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 22.9% | 카브리오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4회 이내 | 다3 | 한국바스프(주)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유제 | 22.9% | 카브리오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4회 이내 | 다3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캡탄.트리플록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48(40+8)% | 캡틴에이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카+다3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20% | 쾌청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 다3 | (주)새한농 |
살균제 |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22% | 탄쟈비상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30일전 | 3회 이내 | 다3 | (주)경농 |
살균제 | 카벤다짐.크레속심메틸 수화제 | 60(40+20)% | 탄제로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5회 이내 | 나1+다3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프로피네브.피라클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65(60+5)% | 탄젠트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카+다3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프로피네브.피라클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50(43.5+6.5)% | 특급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30일전 | 3회 이내 | 카+다3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폴리옥신비 수화제 | 10% | 팜한농포리옥신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3일전 | 3회 | 아4 | (주)팜한농 |
살균제 | 메티람 입상수화제 | 55% | 포리람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 | 성보화학(주) |
살균제 | 메티람 입상수화제 | 60% | 포리람골드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수확21일전 | 4회이내 | 카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디페노코나졸 분산성액제 | 5% | 푸리온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전 | 5회 | 사1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22% | 프린트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다3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살균제 | 프로피네브.트리플록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64.8(61.3+3.5)% | 프린트프로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14일전 | 3회이내 | 카+다3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플루아지남 액상수화제 | 44(8+36)% | 피라플루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 이내 | 다3+다5 | 선문그린사이언스(주) |
살균제 |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22% | 해모루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30일전까지 | 3회 이내 | 다3 | ㈜이엑스아이디 |
살균제 | 플루아지남 수화제 | 50% | 후론사이드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30일전 | 3회 | 다5 | (주)팜한농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20% | 흥행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이내 | 다3 | ㈜이엑스아이디 |
5.궤양병 (潰瘍病,Canker)
병원체
Xanthomonas citri
발생환경
겨울 전염원으로 하추지(夏秋枝)상의 병반이 가장 중요하다.
병반 내에서 겨울을 지낸 균은 이른 봄부터 15℃이상이 되면 조직 내에서 증식하기 시작하여 강우 시 균이 비산하여 기공 및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비를 동반한 풍속 6~8m/sec이상의 강풍 시 감염을 조장한다.
잎, 녹지 및 과실의 어린 조직에 주로 감염하며 딱딱하게 된 잎이나 가지에도 상처 침입은 가능하다.
궤양병은 잎이 굳기 전, 그리고 낙화 후 3개월까지가 병에 가장 약한 시기로 강우로 인한 습윤기간이 몇일 지속될 경우 전년도에 감염된 병반으로 부터 세균이 흘러나와 새 잎으로 전염되며 여기에서 과일로 병이 옮겨가게 된다.
제주도내 온주밀감 과원에서는 보통 장마기인 6월 중순에서 하순에 첫 병징이 나타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5월 상순 (2003년도)에서 5월 하순 (1998년도)경에도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궤양병 발병이 많았던 과수원은 통상 5월 중순에서 하순경에 첫 방제를 해주는게 바람직하며 통상 장마기에 과실쪽으로 병이 전파된다.
장마 후에는 태풍 내습 시가 병 발생에 좋은 조건이다.
여름순에 병이 많이 발생하고 태풍이 내습하여 병 발생에 좋은 조건이 되면 9월에도 과실에 병이 별생할 수 있다.
여름철에 가장 문제 시 되는 경우는 귤굴나방에 의한 상처를 통한 병원균 감염이다.
따라서 궤양병 발병이 염려되는 과수원은 반드시 여름 순을 제거하거나, 아니면 귤굴나방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만약 이때 궤양병이 만연하게 되면 이들은 이듬해 주요한 전염원이 되기 때문에 더 많은 방제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부지화는 궤양병에 대해서 어느정도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밀식되고 과습한 과원, 장마기에 측면 창문을 자주 열지 않아서 환기가 불량한 과수원 등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과실 밑에 있는 잎으로 감싸서 열매를 메달 경우에 발생이 심할 수 있다.
병원균은 기공이나 바람이나 해충 등에 의해 생긴 상처를 통해서 침입하여 그 잎이나 열매가 떨어질 때까지 거기에서 존재하지만 잎이나 열매가 땅에 떨어지면 거기에서는 오래 생존하지 못한다.
또한 식물체내로 침입하지 않고 표면에 남아있는 궤양병균도 물기가 말라서 표면이 건조해지면 오래가지 못하여 죽어버린다.
증상설명
잎, 가지, 열매에 발생하며 반점 형태로 외관을 해치고 심할 경우에는 잎이 뒤틀리며 낙엽이 되며 새순의 경우 순 전체가 죽고 과실은 낙과 될 수도 있다.
감염 7~10일 후에 첫 병징이 보이기 시작하며 초기 증상은 주위가 황화된 매우 작은 반점(직경 약 0.3 ㎜~0.5 ㎜)으로부터 시작하여 병이 진전되면서 점차 그 크기가 커지고 모양도 원형에서 불규칙한 모양으로 발전되며 잎의 양면, 특히 잎의 뒷면이 부풀어 오르고 나중에 이 부분이 코르크화 되며 분화구 모양이 된다.
병반의 크기는 침입 시기에 따라 다양하다.
즉 새순이나 어린 과실에 침입했을 경우 병반 크기는 이 후에 감염된 것보다 크며, 또한 비대기 이후에 감염된 것들은 병반 부위가 착색이 느려지고 곤충에 의해 흡즙된 것과 같은 모양을 하기도 한다.
온도가 높고 습기가 많은 조건에서는 발생 초기에 연한 노란색의 기포 같은 것이 표면에 붙어 있는 모양이며 손으로 문지르면 없어지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점차 조직속으로 파고들어서 진한 갈색의 뚜렷한 병반을 형성한다.
여름 또는 가을순에서는 귤굴나방의 식흔을 따라 병반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온주밀감은 궤양병에 대해서 중도저항성이기 때문에 크게 병이 만연하지는 않지만 타 지역에 비하여 궤양병 발생이 많은 제주도 서부지역과 대미 수출단지, 그리고 전년도에 많이 발생한 과원은 방제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가) 재배적 방제 ○ 바람에 의한 상처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바람이 많은 과수원은 방풍 시설을 해준다.
○ 전정 시 병든잎 및 가지를 제거하여 전염원의 밀도를 낮춘다.
○ 밀식된 과수원은 간벌을 실시하여 통풍을 원활히 함으로써 수관내 습윤기간을 짧게 해준다.
○ 질소비료의 과다시용을 피하고 여름순과 가을순 발생이 많아지는 강전정은 가급적 피한다.
○ 궤양병 발병이 많은 과수원은 귤굴나방 방제를 철저히 한다.
나) 약제방제 : 궤양병균은 세균병으로서 주로 항생제와 구리제가 사용되고 있는데 등록약제로 사용기준에 따라 방제하여야 한다.
구리제는 궤양병에 효과 있는 약제이지만 고온기에 살포 시 약해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살포 시 주의해야 한다.
최초 방제는 5월 중순에서 말경이 유리하며 발생이 많은 과원은 이후 2주 간격으로 3~4회, 그리고 태풍 내습 전에 약제를 살포해야 한다.
기타
세균에 의한 병으로서 동남아시아에서 기원이 되어 세계 여러지역의 감귤 재배지로 전파되어졌다.
자몽이나, 오렌지, 레몬과 같이 궤양병에 약한 품종에 있어서는 그 피해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미국을 비롯한 몇몇 국가에서는 가장 중요한 검역 대상 병해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과실의 외관을 해치며 심할 경우 잎이 뒤틀리거나 낙엽, 또는 낙과된다.
(1) 기주범위 및 품종 ○ 기주범위 : 감귤나무 및 탱자속 식물 ○ 품 종 : 그레이프후르트, 멕시칸라임, 탱자 등은 극도의 감수성, 네블오렌지, 레몬, 하귤은 감수성, 온주밀감, 청견, 부지화, 팔삭, 봉깡, 일향하 등은 저항성이며 유자, 금감은 극도의 저항성이다.
(2) 분포 : 아시안형(Canker A) 병원균은 아시아 대륙, 태평양 및 인도양 섬, 남미, 미국 등 30여 국가에서 발생하지만 미국,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에서는 거의 박멸되었다.
하지만 미국 플로리다 일부, 호주의 북부지역, 브라질과 우루과이의 일부 지역에서는 아직도 간간히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코퍼옥시클로라이드.가스가마이신 수화제 | 50.75(45+5.75)% | 가스란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라3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 | 77% | 경농쿠퍼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 | - | 카 | (주)경농 |
살균제 |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입상수화제 | 46.1% | 고운손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 | - | 카 | (주)팜한농 |
살균제 | 코퍼설페이트베이식 수화제 | 58% | 네오보르도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 | - | 카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농용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라4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 | 77% | 대유코퍼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 | - | 카 | (주)대유 |
살균제 | 코퍼옥시클로라이드.디티아논 수화제 | 55(42+13)% | 델란케이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카+카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 | 77% | 동방쿠퍼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 | - | 카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가스가마이신 입상수화제 | 10% | 메가폰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전까지 | 3회 이내 | 라3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옥솔린산.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이드레이트 수화제 | 20(5+15)% | 미라보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전 | 4회 이내 | 가4+라5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옥솔린산.옥시테트라사이클린 다이하이드레이트 수화제 | 20(5+15)% | 부가티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4회 이내 | 가4+라5 | (주)태준아그로텍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부라마이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라4 | (주)팜한농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이드레이트 입상수화제 | 34% | 브래이브 | Ⅳ급(저독성) | Ⅲ급 | 3000배 | - | 수확7일전 | 3회 이내 | 라5 | (주)하나바이오 |
살균제 | 옥솔린산.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이드레이트 입상수화제 | 20(12+8)% | 빅히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가4+라5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삼공농용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라4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트리베이식코퍼설페이트 액상수화제 | 15% | 새빈나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 | - | 카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선문농용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라4 | 선문그린사이언스(주)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칼슘알킬트리메틸암모늄 수화제 | 17% | 성보싸이클린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라5 | 성보화학(주)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칼슘알킬트리메틸암모늄.발리다마이신에이 수화제 | 20(5+15)% | 성보크린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라5+아3 | 성보화학(주) |
살균제 | 옥솔린산.발리다마이신에이 입상수화제 | 20(10+10)% | 세균탄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가4+아3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스타마이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라4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아그렙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라4 | (주)경농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칼슘알킬트리메틸암모늄.스트렙토마이신황산염 수화제 | 20.3(1.5+18.8)% | 아그리마이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라5+라4 | 성보화학(주)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아리농용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라4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옥솔린산.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5(10+15)% | 아무러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4회 이내 | 가4+라4 | (주)팜한농 |
살균제 | 코퍼옥시클로라이드.코퍼하이드록사이드 액상수화제 | 34(17.6+16.4)% | 에스지세균박사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 | - | 카+카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하이드로클로라이드.스트렙토마이신황산염 입상수용제 | 20.3(1.5+18.8)% | 엠블런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라5+라4 | 아진케미칼(주)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이드레이트 입상수화제 | 34% | 옥싸이클린 | Ⅳ급(저독성) | Ⅲ급 | 3000배 | - | 수확 7일전까지 | 3회 이내 | 라5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인바이오농용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라4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하이드로클로라이드.스트렙토마이신황산염 입상수용제 | 20.3(1.5+18.8)% | 젠토마이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14일전 | 4회 이내 | 라5+라4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옥시테트라사이클린하이드로클로라이드.스트렙토마이신황산염 입상수용제 | 20.3(1.5+18.8)% | 젠토마이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라5+라4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케이농용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21일전 | 5회 이내 | 라4 | (주)천지인바이오텍 |
살균제 | 코퍼하이드록사이드 수화제 | 77% | 코사이드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 | - | 카 | (주)팜한농 |
살균제 | 코퍼옥시클로라이드.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이드레이트 입상수화제 | 55(45+10)% | 크러쉬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14일전 | 2회 이내 | 카+라5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코퍼하이드록사이드.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60(50+10)% | 타미나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라4 | (주)팜한농 |
살균제 | 디티아논.가스가마이신 입상수화제 | 37.5(30+7.5)% | 탄케어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라3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큐프러스옥사이드.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38(30+8)% | 탐나라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카+라4 | (주)경농 |
살균제 | 옥솔린산.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이드레이트 수화제 | 20(5+15)% | 투트랙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전 | 4회 이내 | 가4+라5 | (주)신농팜케미컬 |
살균제 | 옥솔린산.옥시테트라사이클린다이하이드레이트 수화제 | 20(5+15)% | 투트랙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전 | 4회 이내 | 가4+라5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티로트리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라4 | (주)유일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티제이농용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라4 | (주)태준아그로텍 |
살균제 |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20% | 하이농용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라4 | (주)신농팜케미컬 |
6.균핵병 (菌核病,Sclerotinia twig blight)
발생환경
균핵병의 발병 적온은 17~23℃로써 비교적 서늘한 조건에서 발병이 잘 된다.
따라서 후기 가온 하우스에서 낙화기를 전 후하여 발병이 특히 많다.
균핵병은 병든조직 또는 땅속에서 균핵상태로, 또는 죽은 조직이나 살아있는 조직에서 균사 상태로 겨울을 보내고 이듬해 봄이나 여름에 겨울을 보낸 균핵에서 자낭반이 형성되고 여기에 자낭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중으로 비산됨으로써 1차 전염원이 된다.
그러나 과습 조건하에서는 균핵에서 직접 균사가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균핵병은 가지와 저장과실에서 발병하여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데, 작업 중 입은 기계적 상처부위와 설치류 및 곤충의 가해부위 뿐만 아니라 일소 또는 동해를 입은 부위를 통해 발병이 조장된다.
특히 일반 농가에서 감귤나무 사이로 간작 작물인 십자화과, 박과, 가지과 등의 채소류 그리고 감귤원 주변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토끼풀, 씀바귀, 까마중, 땅꽈리, 털도깨비바늘 등은 이 병원균의 기주 식물이다.
이들 기주를 감염시킨 병원균은 균핵을 형성하고 토양에 균핵이 떨어져 10℃내외의 온도에서도 높은 습도가 유지되면 균핵에서 1~4㎜ 길이의 쟁반모양의 자낭반이 나온다.
여기에서 나오는 자낭포자는 바람에 의해 가지, 과실, 꽃잎 등으로 전파되는데, 보통 건전조직에 직접 침입하지 못하고 상처부위, 주두 흔적부위, 과실표면에 남은 꽃잎을 통하여 감염된다.
하지만 새로 나온 연약한 가지나 신엽의 경우 상처가 없더라도 병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병든조직이 건전조직과 접촉하여 있으면 상처가 없더라도 병이 발생 할 수 있다.
증상설명
균핵병의 가장 뚜렷한 증상은 감염부위에 하얀색의 솜털 같은 균사가 나타나고 이어서 균핵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균핵은 균사가 뭉쳐져서 형성된 조직으로서 초기에 하얀색이었다가 점차 검정색으로 바뀌고 딱딱해지며 크기도 1~10㎜로 매우 다양하다.
균핵병은 주로 잎과 가지에 감염되는데 가지에 감염되었을 경우에는 초기에 껍질이 갈색의 수침상으로 되며 병이 진전되면서 하얀색의 균사체가 출현하고 발병부위 반대편에 연갈색 수지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심하게 감염되어 병이 진전될 경우 처음 발병부위는 회갈색으로 변하고 발병부와 건전조직 사이는 진한 암갈색을 띠며, 목질부는 연황색 또는 갈색으로 변한다.
그리고 발병부위 위쪽에 있는 잎과 과실이 모두 고사되고 1~3개의 균핵이 형성된다.
잎의 경우에는 갈색 수침상 병반이 매우 빠르게 전개되고 하얀색 균사체가 나타난 다음 암갈색 균핵이 병반 중심부에 형성되고 대부분 낙엽이 된다.
증상은 잿빛곰팡이병과 매우 유사하지만 주로 가지에 발생한다는 점, 균사 색깔이 하얗다는 것, 검정 균핵을 발병조직에서 형성한다는 것, 그리고 병반에 수지가 흐른다는 점에서 잿빛곰팡이병과 차이가 있다.
방제방법
시설하우스의 경우 개화기를 전후하여 시설내부가 다습한 조건이 될 때가 많기 때문에 잿빛곰팡이병과 더불어 균핵병의 발생이 많다.
이때 습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 토양 멀칭이나 적절한 관수관리를 병행하여 이들 두 병해를 동시에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스프링쿨러 등을 이용한 수관 상부로부터의 관수는 될 수 있는 한 피해야 한다.
또한 꽃을 통한 침입이 주된 감염경로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저습도 조건에서 꽃떨기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우스내 수분 관리를 철저히 하여 병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일시적으로 하우스내의 온도를 30 ℃이상으로 올리는 것도 병원균의 활동이 멈추게 할 수 있다.
2022.06.26 - [병해충정보/과수] - 감귤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병해충정보 > 과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귤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0) | 2022.06.26 |
---|---|
감귤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0) | 2022.06.26 |
감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25 |
감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25 |
감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