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과수

감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by 투농부 2022. 6. 25.
반응형

 

 

6.미국선녀벌레 (pruinosa)

 

 

목/과명

매미목/선녀벌레과

 


속명

Metcalfa

 


생태정보

미국선녀벌레는 년간 1세대 발생하며 기주의 나뭇가지 틈에서 알로 월동한다.
월동한 알은 5월 중하순에 부화하며, 1-5령 약충을 거쳐 60 - 70일 후에 성충이 된다.
7월 중순부터 성충으로 우화하고 8월부터 산란을 시작하며, 야외에서 10월까지 발견되며, 암컷 1마리가 90개의 알을 낳으며 점프 및 비행을 통해 인접 기주식물로 쉽게 옮겨갈 수 있다.


피해정보

미국선녀벌레는 포도나무, 감귤나무, 살구나무, 복숭아나무 등의 과일나무를 포함해 단풍나무나 버드나무, 느릅나무와 같은 활엽수에도 서식한다.
미국선녀벌레 약충도 선녀벌레 처럼 흰색의 물질을 분비해 잎과 가지, 열매 등에 달라붙는다.
이런 이유로 미국선녀벌레의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 

기생하는 나무가 생육 부진을 겪거나 잎이나 줄기 등에 그을음병이 나타나기도 한다.


방제방법

화학적 방제로는 미국선녀벌레의 알 부화 후 약충을 대상으로 1차방제는 5월 중순부터 6월 초순2차방제는 6월 중순부터 7월 초순까지, 성충은 1차방제를 7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2차방제는 8월 하순부터 9월초순까지 권장하고 있다.
방제는 등록약제로 살포한다.
생물적 방제법으로는 약충기생봉인 미국선녀벌레 집게벌이 알려져 있으며 

국내 토착천적으로 무당벌레와 풀잠자리가 약충을 포식하기도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뷰프로페진 액상수화제 25(5+20)% 깍지마기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1일전 3회 이내 4a+16 (주)한얼싸이언스
살충제 스피로테트라맷.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22(11+11)% 깍지탄 Ⅲ급(보통독성) Ⅲ급 4000배 - 수확 30일전 3회 23+4a (주)팜한농
살충제 클로란트라닐리프롤.람다사이할로트린 액상수화제 13.89(9.26+4.63)% 앰풀리고 Ⅳ급(저독성) Ⅰ급 8,000배 - 수확 21일전 3회 28+3a 신젠타코리아(주)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루페뉴론 액상수화제 13(8+5)% 젠토런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14일전까지 3회 이내 4a+15 아그리젠토(주)

7.미국흰불나방 (cunea)

 

 

목/과명

나비목/불나방과

 

속명

Hyphantria

 

생태정보

보통 1년에 2회 발생한다.
겨울나기는 나무껍질 사이에 고치를 짓고 번데기 상태로 한다.
1화기는 5월 중순~6월상순경이며 600~700개의 알을 낳는다.
부화유충은 실을 토하여 잎을 싸서 집단으로 가해한다.
2화기 성충은 7월 하순~8월 상순에 우화하여 산란한다.
부화한 애벌레는 50여일의 기간을 보낸 뒤 번데기로 겨울나기를 한다.
예찰은 흑색형광등으로 유인하여 성충을 예찰한다.
나무의 하단부에 끈끈이 또는 전착제를 섞은 수반트랩을 놓아 유살하여 관찰한다.
1화기 발생시기에 육안으로 예찰을 철저히 하여 산란된 알덩어리나 군서하는 어린유충의 발생 유무를 조기에 확인한다.


피해정보

유충 한 마리가 먹는 잎의 양은 100~150㎠에 달한다.
3령 유충까지는 실을 토해 잎을 철하고 집단생활을 한다.
4령 이후에는 분산하여 가해한다.
가로수나 정원수에서 쉽게 피해가 눈에 띄고 경관을 심하게 훼손한다.


방제방법

늦가을에 가로수나 정원수에 잠복소를 설치하여 겨울을 보내는 노속유충을 포살한다.
이듬 해에 1화기 성충이 낳은 알 덩어리나, 어린 유충이 군서하고 있는 나뭇가지들은 잘라 없앤다.

 


8.뽕나무깍지벌레 (pentagona)

 

목/과명

매미목/깍지벌레과

 

속명

Pseudaulacaspis

 

생태정보

년 2세대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정한 암컷으로 월동한다.
월동 암컷은 2월경부터 체내에 알이 생기기 시작해서 4월 에는 성숙한 알이 몸 안에 가득 찬다.
4월 중순~5월 상순에 암컷은 깍지 아래에 알을 낳으며, 알은 10일 정도 후에 부화한다.
5월 중하순에 부화약충은 산란처 주위를 기어 다니다가 가지나 줄기의 적당한 부분에 고착한다.
1회 탈피는 부화 2주후에 하며, 암수가 각각 다른 모양을 한다.
2회 약충은 8월 상중순에 나타난다.
성충이 되면 교미하고 수컷은 죽고 암컷만 월동한다.
예찰은 나무에 붙어 있는 흰색의 깍지벌레를 육안으로 발견하여 발생을 확인 할 수 있다.
수세가 불량한 나무를 주의 깊게 관찰한다.


피해정보

깍지가 많이 붙어있는 줄기와 가지는 밀납질의 가루를 뿌린 듯이 희게 보인다.
약충과 성충이 줄기, 잎, 과일에 부착하여 흡즙하므로 발생이 많으면 수세가 약해지고 봄에 발아가 지연된다.
피해 받은 줄기의 잎은 일찍 낙엽이 지며, 심하면 줄기 전체가 말라죽는다.
그늘지고 습한 곳에 많이 발생한다.


방제방법

깍지벌레가 없는 묘목을 심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포식자로 무당벌레, 풀잠자리, 꽃등에 등이 있으며, 기생벌이 여러 종이 보고되어 있다.
깍지벌레는 왁스로 자기 몸을 보호하고 있어 알에서 갓 부화한 약충시기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9.식나무깍지벌레 (cockerelli)

 

목/과명

매미목/깍지벌레과

 


속명

Pseudaulacaspis

 


생태정보

년 1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월동한 알은 5월 하순~6월 상순에 부화하고 약충은 식물체를 갉아먹으며 성장한다.
어린 약충은 섭식량이 적지만 다자란 약충과 성충은 잎을 폭식한다.
예찰은 잎을 들추어보거나 작물체를 털어서 약충과 성충의 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주로 잎을 가해한다.
피해를 받은 잎은 불규칙한 구멍이 생기며, 발생이 심한 경우 줄기만 남기고 모두 먹어 치운다.
8~9월경에 야산근처의 포장에 많이 발생한다.


방제방법

잎을 폭식하므로 발생이 많으면 즉시 등록약제를 살포한다.

방제 약제로서 뷰프로페진·디노테퓨란수화제 등이 효과적인것으로 조사되었다.

 

 

 


10.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clavatus)

 

목/과명

노린재목/호리허리노린재과

 


속명

Riptortus

 

 

생태정보

톱다리개미허리노린는 산림이나 과원 주위의 잡초 등에서 월동한 후 다음해 봄에 기주식물로 이동하여 피해를 준다. 년 2∼3세대 발생하고 1세대 성충은 6월 하순∼7월 하순, 2세대 성충은 8월 상순∼9월 중순경에 발생한다. 이동성이 강하며 늦가을까지 가해하며 증식한다.

충은 연중 수회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특히 은근에 콩밭이 있는경우 피해가 심하다.

주광성을 주로 활동하고 섭식시간도 비교적 짧고 자주 이동하는 습성이 있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감 사과, 두과식물(콩, 팥, 자운영, 알팔파), 화본과 식물(벼. 피, 조 등)등을 흡즙 가해한다. 단감의 경우 흡즙부위구침에 의한 흡즙부위가 스폰지상이 되고 움푹 함몰된다.

썩덩나무노린재나 갈색날개 노린재에 비하여 피해부위가 비교적 적고 움푹파인 정도도 덜하다

 

 

방제방법

등록된 약제로 방제한다.

대량 유살 페로몬 트랩을 활용한 방법이 적극 고려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충제 플룩사메타마이드 액상수화제 7% 액스라지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14일전 2회이내 30 (주)경농
살충제 에토펜프록스 수화제 10% 충스탑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0일전까지 3회 이내 3a 아그리젠토(주)

2022.06.25 - [병해충정보/과수] - 감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