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과채류

가지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by 투농부 2022. 6. 16.
반응형

 

 

1.갈색둥근무늬병 (褐色圓星病,Cercospora leaf spot)

 

 

병원체

Cercospora solani-melongenae

 


발생환경

1차 전염원에 대하여 아직 정확한 연구결과는 없으나 병원균은 병든 잎의 잔재(殘滓)에서 분생포자나 균사의 형태로 겨울을 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1차 전염원에서 형성된 분생포자는 비산되어 전반되며, 8~9월 또는 초가을 비료가 부족하고, 비가 많은 해에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주로 잎에 발생한다.
병반은 처음 황갈색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5~6㎜의 큰 병반으로 확대되기도 한다.
병반 주위는 연한 갈색의 병무늬로 나타나고, 점차 진한 병무늬가 형성되며, 병반의 중앙은 회백색으로 변한다.
오래된 병반 중앙부에는 암회색의 분생포자가 형성되고, 심하면 그 중앙부의 조직이 파열되어 구멍이 뚫리기도 한다.
심하게 진전되면 잎 전체가 마르고 떨어진다.


방제방법

- 건전 종자를 사용한다.
- 균형시비를 하여 건전한 생육을 유도한다.
- 과습하지 않도록 한다.
- 병든 잎은 모아 태우거나 땅에 묻는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골든왕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빅스타네이처사이언스(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과채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유원에코사이언스(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균다이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지넥스(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디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다보인터내셔널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메카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 이내 다3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메카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이내 다3 (주)케이씨생명과학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메카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업세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이내 다3 팜앤피플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균파워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케이씨생명과학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그리폰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그린시티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그리폰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전 3회 이내 다3 (주)그린시티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그린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천지인바이오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꼼꼼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3일전 3회이내 다3 태평에이지(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다승왕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팜아그로텍(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대유아족시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대유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동방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두루두루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인바이오(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매직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이엑스아이디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미라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한국마간(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빅펀치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티아그로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삼공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한국삼공(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샹그리라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인바이오(주)
살균제 마이클로뷰타닐 수화제 6% 시스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2회 이내 사1 (주)경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아너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미래아그로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아너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태준아그로텍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아리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아젠포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아진케미칼(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알리바바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지넥스(주)
살균제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50% 에이플 Ⅳ급(저독성) Ⅰ급 4000배 - 수확 14일 전까지 2회 이내 다3 (주)팜한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에코랑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피에이치엘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오티바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신젠타코리아(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오티바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신젠타코리아(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원킥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선문그린사이언스(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천지인바이오텍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지오판엠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선문그린사이언스(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청양단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이엑스아이디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치호톱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대유
살균제 보스칼리드 입상수화제 49.3% 칸투스 Ⅳ급(저독성) Ⅲ급 15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2 (주)팜한농
살균제 보스칼리드 입상수화제 49.3% 칸투스 Ⅳ급(저독성) Ⅲ급 15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2 한국바스프(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탑앤탑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탑앤탑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톱신엠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경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투빅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에이치바이오텍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팜한농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팜한농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폴리비전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아그리젠토(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프리건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유일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하이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70% 하이지오판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5일 전까지 3회 이내 나1 (주)케이씨생명과학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1.7% 행운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하나바이오
살균제 보스칼리드 입상수화제 49.3% 후광 Ⅳ급(저독성) Ⅲ급 15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2 아그리젠토(주)

2.갈색무늬병 (褐斑病,Phomopsis blight)

 

병원체

Phomopsis vexans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殘滓)에서 균사 또는 병자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난 후 1차 전염원이 된다.
채종포장에서 발생되면 종자전염이 될 수 있다.
배수가 불량하고, 밀식하거나 질소질비료를 많이 주면 병 발생이 조장되며, 가을철 비가 자주 오고 습한 날이 많을 때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잎, 줄기, 과실에 발생한다.
잎에는 갈색의 원형 또는 부정형의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겹무늬병반으로 확대된다.
줄기에는 처음 갈색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상하로 진전되어 장타원형의 병반이 된다.
과실에는 갈색 원형의 겹무늬병반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흑색 소립점(병자각)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건전 종자를 사용하거나 종자 소독을 한다.
- 병든 잎은 일찍 제거하여 전염원을 없앤다.
- 생육이 왕성하게 관리한다.
- 발병이 심한 곳은 가지 이외의 작물로 윤작한다.
- 과습하지 않도록 포장관리를 철저히 하고 질소질비료를 적당량 살포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클로로탈로닐 수화제 75% 가이온 Ⅳ급(저독성) Ⅰ급 6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주)천지인바이오텍
살균제 클로로탈로닐 수화제 75% 강침탄 Ⅳ급(저독성) Ⅰ급 600배 - 수확 7일 전 3회 이내 유원에코사이언스(주)
살균제 클로로탈로닐 수화제 75% 골고루 Ⅳ급(저독성) Ⅰ급 600배 - 수확 7일 전 3회 이내 (주)팜한농
살균제 클로로탈로닐 수화제 75% 다코닐 Ⅳ급(저독성) Ⅰ급 600배 - 수확 7일 전 3회 이내 (주)경농
살균제 디페노코나졸.이미녹타딘트리아세테이트 미탁제 18(3+15)% 삼진왕 Ⅲ급(보통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사1+카 (주)경농
살균제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2% 새도우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인바이오(주)
살균제 클로로탈로닐 수화제 75% 선문타로닐 Ⅳ급(저독성) Ⅰ급 600배 - 수확 7일 전 3회 이내 선문그린사이언스(주)
살균제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2% 스팅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아그리젠토(주)
살균제 클로로탈로닐 수화제 75% 아리타로닐 Ⅳ급(저독성) Ⅰ급 600배 - 수확 7일 전 3회 이내 (주)농협케미컬
살균제 가스가마이신.폴리옥신디 입상수화제 13(9+4)% 차트라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7일 전 1회 이내 라3+아4 (주)동방아그로
살균제 클로로탈로닐 수화제 75% 초우크 Ⅳ급(저독성) Ⅰ급 600배 - 수확 7일 전 3회 이내 한국삼공(주)
살균제 클로로탈로닐 수화제 75% 타로닐 Ⅳ급(저독성) Ⅰ급 600배 - 수확 7일 전 3회 이내 (주)한얼싸이언스
살균제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2% 탄쟈비상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경농
살균제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2% 트랜디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주)태준아그로텍
살균제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2% 프린트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 3회 이내 다3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살균제 클로로탈로닐 수화제 75% 하이타로닐 Ⅳ급(저독성) Ⅰ급 6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주)신농팜케미컬
살균제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2% 해모루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3일 전까지 3회 이내 다3 ㈜이엑스아이디

3.검은썩음병 (炭腐病,Charcoal rot)

 

병원체

Macrophomina phaseolina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핵이나 병자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난 후, 균핵이 발아하거나 병포자를 비산하여 1차 전염원이 된다.
주로 노지재배 시 발생하며, 여름부터 가을까지 고온, 다습할 때 병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과실에는 처음에 부정형의 검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과실 대부분이 검게 변하면서 썩는다.
감염부위에는 많은 병자각이 형성되어 검은 소립점으로 보인다.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를 선별하여 파종한다.
- 병든 과실은 일찍 제거한다.
- 포장은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 수확 후 포장을 청결하게 한다.

 

 


4.검은점뿌리썩음병 (黑點根腐病,Black dot root rot)

 

병원체

Colletotrichum coccodes

 


발생환경

병든 부위 혹은 토양에서 균사 및 균핵의 형태로 겨울을 지난 후, 전염원이 된다.
주로 시설재배 포장에서 수확기에 이르러 병징이 나타난다.

 


증상설명

뿌리와 줄기 지제부에는 균핵이 붙어 있어 흑색의 소립점으로 보이고, 뿌리는 콜크처럼 변하며 썩는다.
감염 초기에는 건전한 그루와 구별되지 않고, 병이 진전됨에 따라서 지상부는 푸른 상태로 시들고, 심하게 진전되면 식물체가 변색되어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병이 심하게 발생한 포장은 가지과 이외의 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 병든 그루는 뽑아내서 불에 태운다.
- 병이 발생한 포장의 토양이 다른 포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5.겹무늬병 (輪紋病,Early blight)

 

병원체

Alternaria solani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난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시설재배나 노지재배 시 온도와 습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한다.
이 병은 가지 이외의 다른 가지과 작물에서도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 줄기, 과경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 갈색의 작은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암갈색의 부정형 겹무늬병반으로 확대된다.
후에 병반들이 서로 융합하여 커지고, 잎이 마른다.


방제방법

- 종자를 소독하거나 건전 종자를 사용한다.
- 생육을 건전하게 관리한다.
- 병든 식물체를 제거하여 태운다.

 


6.균핵병 (菌核病,Sclerotinia rot)

 

병원체

Sclerotinia sclerotiorum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내에서 균핵의 형태로 또는 감염된 식물체내에서 균사상태로 겨울을 지난 다음, 발아하여 자낭반과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자낭포자는 식물체의 약한 부위에 부착하여 침입하며, 균핵 및 균사체로부터 발아하여 뻗어 나온 균사가 식물체를 직접 침해하기도 한다.
습도가 높고, 기온이 15~25℃의 서늘한 상태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줄기, 가지, 과실에 발생한다.
줄기와 가지의 감염부위는 누렇게 변색되어 마르고, 흰 균사가 자라면서 후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식물체의 감염부위 위쪽으로는 시들고, 후에 말라죽는다.
과실은 주로 꽃잎이 붙어 있는 부위에서 감염이 시작되어 진전되면 과실이 황갈색으로 변하면서 물러 썩는다.
감염부위에는 흰 균사가 자라고, 후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뽑아내어 땅속 깊이 파묻는다.
- 시설재배 포장에서는 저온,다습(低溫,多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정식 후 비닐을 멀칭하여 재배하면 멀칭하지 않은 재배에 비해 병 발생 억제효과가 있다.
- 담수(湛水)가 가능한 곳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담수하여 균핵을 부패시킨다.

 

 


7.모자이크병 (Mosaic)

 

병원체

Cucumber mosaic virus

 


발생환경

CMV(오이모자익바이러스)는 토마토, 가지, 고추, 오이, 참외, 멜론, 상추 등 기주범위가 넓기 때문에 전염원(傳染源)은 어느 포장에나 있으며, CMV는 80종 이상의 진딧물에 의해서 비영속전염(非永續傳染)을 하기 때문에 전염이 쉽게 이루어진다.

 


증상설명

초기에는 잎에 퇴록반점(退綠斑點)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요철(凹凸)이 있는 황화모자이크로 나타난다.


방제방법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이식시기를 조절한다.
- 바이러스의 잠재적 보존원인 잡초나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 전염원이 되는 이병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8.시들음병 (萎凋病,Fusarium wilt)

 

병원체

Fusarium oxysporum

 


발생환경

토양전염성 병원균이며 작물이 없을 때는 병든 식물체의 조직속에서 균사 조각이나 후막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난다.
물로 이동되는 거리는 매우 짧고 주로 흙입자에 묻혀 농기구나 사람 등을 통해 먼거리로 이동된다.
병원균은 주로 가는 뿌리나 상처를 통해 침입하는데 포장 정식 직후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서늘한 지방에서는 병 발생이 적고 감염되어도 병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다가 생육 중기나 후기에 기온이 올라가면 병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병 발생에 적합한 온도는 24-30 ℃ 정도이며 16 ℃ 이하나 35 ℃ 이상에서는 거의 발병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산성토양(pH 4.5-5.5)과 사질양토에서 발생이 많지만 토양산도나 수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수도 있다.
병원균은 토양중에 널리 분포하며 월동체인 후막포자는 기주가 없이도 토양내에서 수 년간 생존하기 때문에 방제가 매우 어려운 병해로 종자전염도 가능하다.

 


증상설명

주로 생육 중기 이후부터 발생하며, 병든 그루는 초기에 아랫잎이 시들며 밑으로 처지는데 역병의 초기 증상과 비슷하다.
병 진전이 느리고 잎이 약간 누렇게 변하면서 서서히 죽는다.
주로 곁뿌리가 나온 부분으로 병원균이 침입하는데 병든 부위는 암갈색을 띄고 괴저가 생기는데 진전되면 땅가부위 줄기 둘레가 썩는다.
병든 뿌리나 땅가 줄기는 불에 탄것처럼 검게 보이는데 껍질은 쉽게 벗겨지는 것이 특징이다.
역병과는 달리 지상부위는 직접 침해를 받지 않으나 과실은 작고 불량해진다.


방제방법

- 연작을 피하고 병이 심하게 발생된 포장은 5년 이상 비기주 작물로 돌려짓기를 한다.
- 석회시용으로 토양산도를 6.5~7.0으로 조절하고, 수분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사질토양에서는 재배를 피한다.
- 토양 선충이나 곤충에 의해 뿌리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관리하고, 가축 분 등 미숙퇴비 사용을 피하고 다비에 의한 염류집적으로 작물의 잔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 답전윤환하거나 토양을 한 달 이상 담수하면 토양중의 병원균 밀도를 낮추고 토양 환경을 다소 개선 할 수 있다.

 


2022.06.16 - [분류 전체보기] - 가지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