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모자이크병 (Mosaic)
병원체
Watermelon mosaic virus
발생환경
CMV는 토마토, 가지, 고추, 오이, 참외, 멜론, 상추 등 기주범위가 넓기 때문에 전염원은 어느 포장에나 있으며, CMV는 80종 이상의 진딧물에 의해서 비영속전염을 하기 때문에 전염이 쉽게 이루어진다.
WMV는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 19종의 진딧물이 옮기며, 비영속형전염을 한다.
또한 즙액전염을 하므로 상처부위가 접촉될 때도 전염이 된다.
획득 흡즙시간은 30초이며, 진딧물의 보독기간은 5시간이고, 1시간 정도 지나면 50%이하로 전염율이 떨어진다.
WMV의 1차전염원은 병든 식물의 유체에서 비롯되는데, 최근에는 작물이 시설하우스내에서 연중 재배되고 있으므로 전염원은 항상 존재하고 있다.
이 병은 호박, 참외, 오이, 박, 수박, 메론 등 과채류와 수 종의 콩과 작물에서 자연발생이 잘 된다.
증상설명
황색반점이 잎 전면에 나타난 후, 황화모자이크로 진전된다.
심하게 감염된 경우에는 기형과 위축 및 고사리잎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방제방법
- 기주식물인 호박, 참외, 오이, 박, 수박, 메론 등 과채류와 수종의 콩과 작물은 자연감염이 잘 되므로 연속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 매개충인 진딧물을 방제한다
- WMV의 1차 전염원은 병든식물의 겨울 지내기에 의한 것으로 최근에는 병든 전염원이 되는 식물을 즉시 제거해야 한다
9.뿌리썩음병 (根腐病,Pythium root rot)
병원체
Pythium ultimum
발생환경
P. ultimum에 의한 병 발생은 기온이 다소 서늘하고 토양이 다습한 조건에서 발생이 심하지만 외부 병징은 고온 건조 시에 잘 나타난다.
병든 식물체내에서 난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낸 후 토양 온도가 10℃ 이상이 되면 다시 발아하여 활동을 시작하는데 주로 물을 따라 전반되며 관수 후 2~3일 내에 기주를 침입한다.
전염원은 주로 토양에 존재하며, 관수로 전염될 수도 있으며 상처 없이도 침입이 가능하지만 상처가 있을 때 침입이 용이하다.
증상설명
유묘기에는 잘록증상을 일으키며, 생육중기 이후에는 시들음을 일으키는데 땅에 닿은 과실이 썩기도 한다.
땅가부위의 줄기나 뿌리는 수침상으로 썩고, 갈색을 띄며, 잎은 누렇게 변하고 시든다.
일반적으로 잔뿌리가 먼저 침해를 받고, 진전되면 주근과 줄기 아래로 병이 진전된다.
열매에는 흰 곰팡이 균사가 자라고, 후에 물컹하게 썩는다.
방제방법
- 건전토양에서 육묘하고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지 않도록 배수를 철저히 한다.
- 시설하우스 및 육묘상이 지나치게 저온이나 고온이 되지 않도록 하고 밀식을 피한다.
10.역병 (疫病,Phytophthora rot)
병원체
Phytophthora capsici
발생환경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시설재배 포장에서는 연중 발생된다.
노지재배 포장에서는 주로 장마가 시작된 이후 7, 8월에 발생이 많다.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거나 배수가 불량하고 포장이 침수되면 병 발생이 쉬워진다.
병원균은 종자전염이 가능하나 대부분의 전염원은 토양에서 유입된다.
병든 식물체의 조직에서 균사나 난포자 상태로 겨울을 지내고 다시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되는데, P. capsici는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고, 넓은 기주를 가지고 있다.
P. capsici는 거의 모든 가지과와 박과 채소를 침해한다.
증상설명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주로 뿌리와 땅가 줄기부위에서 발생되지만 땅에 닿은 과실에서도 발생이 많다.
일반적으로 유묘기에 감염되면 그루 전체가 심하게 시들고 곧 죽는데, 생육 중기 이후에 감염되면 초기에는 아랫잎부터 누렇게 되며 시들고 말라죽는다.
병든 포기의 땅가 줄기와 굵은 뿌리는 수침상으로 썩으며 쉽게 뽑힌다.
과실에는 부정형의 큰 수침상 병반으로 나타나는데 병든 부위에 하얀 균사체와 유주자낭이 형성되기도 한다.
방제방법
- 건전토양에서 육묘하고 토양이 오랜기간 과습하지 않도록 물빼기를 철저히 한다.
- 병든 포기는 뿌리주변 흙과 함께 제거하여 포장밖으로 버리고 등록된 약제를 병든 포기 주변에 흠뻑 관주한다.
- 잦은 물주기를 피하고 과실이 땅과 맞닿지 않도록 한다.
- 심하게 발생된 포장에서는 3년 이상 비 기주 작물로 돌려짓기를 한다.
11.잘록병 (立枯病,Damping-off)
병원체
Rhizoctonia solani
발생환경
병원균의 병 발생 관여 균사융합군은 AG-1(IB), AG-4, AG-5인데, 생육 초기까지는 이들 균사융합군이 모두 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생육 중기에는 주로 AG-4에 의해서만 병이 발생한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내에서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존재하며, 겨울을 지낸 후 발아하여 균사가 식물체의 지제부 혹은 지하부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보통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발병이 잘 된다.
증상설명
유묘기부터 생육중기까지 발생한다.
어린 식물체는 지제부가 잘록하게 썩고, 감염된 묘는 잘 쓰러지며, 후에 말라죽는다.
어느 정도 자란 식물체는 줄기의 지제부가 움푹 들어가거나 갈라지면서 썩는다.
감염부위는 흑갈색 내지 흑색으로 변하며, 지상부의 생장은 부진하다.
방제방법
- 병이 발생하지 않은 포장의 토양을 상토로 사용하다.
- 묘상의 토양이 다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병이 심하게 발생한 포장은 박과 이외의 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12.잿빛곰팡이병 (灰色黴病,Gray mold)
병원체
Botrytis cinerea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핵 혹은 분생포자의 형태로겨울을 지나 전염원이 된다.
시설재배 시 기온이 20℃ 내외이고 습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하며, 노지재배 시에는 여름철 장마기 때 주로 발생한다.
과실의 감염은 주로 꽃이 달린 부위에서부터 시작되므로 과실이 커지면서 꽃이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 품종에서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잎, 과실, 잎자루에 발생한다.
과실에는 배꼽부분에서부터 시작되는데, 처음에는 수침상의 병반으로 나타나고 황갈색으로 변해 썩는다.
진전되면 병반상에 회갈색의 분생포자가 무수히 형성된다.
잎과 잎자루에는 꽃잎이 떨어져 붙어 있는 부분에서 감염이 시작되며 처음에는 갈색 소형 병반이 형성되고 진전되면 대형의 회색 병반으로 확대된다.
방제방법
- 하우스내 습도가 높지 않도록 한다.
- 병든식물은 제거하여 불에 태운다.
- 꽃잎이 떨어져 과일에 붙지 않도록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깔사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3일전 | 3회 이내 | 마2 | 선문그린사이언스(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뜨래조아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마2 | 지넥스(주) |
살균제 | 피디플루메토펜 액상수화제 | 18.35% | 미래빛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 2일전 | 3회 | 다2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펜피라자민 액상수화제 | 30% | 보트리사이드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5일 전 | 3회 이내 | 사3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과립훈연제 | 20% | 사파이어 | Ⅳ급(저독성) | Ⅲ급 | 300g/10a | 수확 2일전 | 3회 | 마2 | (주)팜한농 |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사파이어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주)팜한농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사파이어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사피엔스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마2 | (주)천지인바이오텍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샤이나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암무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3일전 | 3회 이내 | 마2 | (주)피에이치엘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애니팡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주)신농팜케미컬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애니팡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주)신농팜케미컬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애니팡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앤티팡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팜아그로텍(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에코렉스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3일전 | 3회 이내 | 마2 | (주)그린시티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에코렉스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주)그린시티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에코탄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엘도라도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이엑스아이디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이레이져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잿비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아진케미칼(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젠토해드림골드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청풍명월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보스칼리드 입상수화제 | 49.3% | 칸투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7일전 까지 | 1회 이내 | 다2 | (주)팜한농 |
살균제 | 보스칼리드 입상수화제 | 49.3% | 칸투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7일전 까지 | 1회 이내 | 다2 | 한국바스프(주) |
살균제 | 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0% | 효자촌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마2 | 빅스타네이처사이언스(주) |
살균제 | 보스칼리드 입상수화제 | 49.3% | 후광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7일전 까지 | 1회 이내 | 다2 | 아그리젠토(주) |
13.탄저병 (炭疽病,Anthracnose)
병원체
Colletotrichum orbiculare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와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시설재배에서는 발생이 드물고, 노지재배 시는 5~6월에 비가 올 때 빗방울에 의해 분생포자가 전반되어 발생한다.
비가 며칠씩 계속해서 내리면 병이 급격히 진전되어 심하게 발생한다.
병원균은 호박 뿐 만 아니라 다른 박과 채소작물을 침해하여 탄저병을 일으킨다.
증상설명
수확기의 과실이나 수확 후 저장중인 과실에서 발생한다.
처음에는 과실표면이 수침상으로 물러 보이고, 진전되면 약간 움푹 들어간 암갈색 내지 흑색의 원형병반이 형성된다.
심하게 진전되면 병반이 겹둥근무늬로 확대되고, 병반의 중앙부위는 물러 썩으며, 후에는 과실의 내부까지 병원균의 균사가 자라면서 심하게 썩는다.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를 선별하고, 소독하여 파종한다.
- 병든 과실은 일찍 제거한다.
14.흰가루병 (白粉病,Powdery mildew)
병원체
Sphaerotheca fusca
발생환경
자낭각의 형태로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겨울을 지내고 1차 전염원이 되며, 시설재배에서는 분생포자가 공기전염 되어 계속해서 발생한다.
본 병은 일반적으로 15~28℃에서 많이 발생되며, 32℃이상의 고온에서는 병 발생이 억제된다.
특히 일조가 부족하고, 밤,낮의 온도차가 심하며, 다비재배를 할 때 병 발생이 많아진다.
증상설명
주로 잎에 발생하며 잎자루와 줄기에도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 흰색의 분생포자가 점점이 나타나고, 진전되면 잎 전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 같은 증상으로 변한다.
기온이 서늘해지면 병반상에 흑색소립점(자낭각)이 형성된다.
이 병으로 인하여 잎이 고사되는 일은 드무나 잎에 병든 그루는 노화되어 수확기간이 단축된다.
방제방법
- 수확 후 병든 잔재물은 모두 제거한다.
- 밀식을 피하고 통풍이 잘되게 한다.
-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하고 과번무 하지 않도록 한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플로릴피콕사미드 액상수화제 | 10% | 견인차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3일전 | 3회 | 비대상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디메토모르프.피라클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25.5(16+9.5)% | 균카트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아5+다3 | 팜아그로텍(주) |
살균제 | 크레속심메틸 액상수화제 | 44.2% | 스트로비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다3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크레속심메틸 액상수화제 | 44.2% | 스트로비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다3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마이클로뷰타닐 수화제 | 6% | 시스텐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주)경농 |
살균제 | 폴리옥신디 입상수화제 | 5% | 잘류프리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일전 | 3회 | 아4 | (주)경농 |
살균제 | 보스칼리드 입상수화제 | 49.3% | 칸투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1회 이내 | 다2 | (주)팜한농 |
살균제 | 보스칼리드 입상수화제 | 49.3% | 칸투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1회 이내 | 다2 | 한국바스프(주) |
살균제 | 디메토모르프.피라클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25.5(16+9.5)% | 캐스팅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까지 | 3회 이내 | 아5+다3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트리플루미졸 수화제 | 30% | 트리후민 | Ⅳ급(저독성) | Ⅱ급 | 4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보스칼리드 입상수화제 | 49.3% | 후광 | Ⅳ급(저독성) | Ⅲ급 | 15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1회 이내 | 다2 | 아그리젠토(주) |
2022.06.15 - [분류 전체보기] - 호박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병해충정보 > 과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지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6 |
---|---|
호박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0) | 2022.06.16 |
호박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5 |
오이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15 |
오이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