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가온을 하는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며, 연 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발생 최성기는 5월 상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 8월 하순, 9월 하순으로 발생 최성기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지만 해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 한다.
알 기간은 7일, 유충 기간은 13일, 번데기 기간은 10~13일이고 성충의 수명은 10~15일, 산란수 1,800개, 난괴로 낳으며, 산란한 알은 인편으로 덮어둔다.
성충은 우화 후 2~5일 동안 1,000~2000개의 알을 100~300개의 난괴로 잎 뒷면에 산란한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6령을 거치지만 온도에 따라 다르고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진다.
성충 수명은 암컷은 9.8~11.7일, 수컷은 13.8~15.8일로 수컷이 암컷보다 길다.
노숙 유충은 식물체 주변의 토양내에 흙고치를 짖고 번데기가 된다.
피해정보
거의 모든 채소류와 밭작물은 물론 과수, 화훼, 특용작물, 사료작물, 정원수, 잡초, 가로수 등을 가해하며, 알에서 부화한 어린 유충은 군집생활을 하고 2~3령이 되면 분산한다.
발생이 많으면 식물체의 줄기만 남기고 폭식하는 경우도 있다.
방제방법
시설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침입을 막는다.
야간에 황색등 설치로 교미를 못하게 하여 알을 낳지 못하게 한다.
어린 유충발생기(3령이하)에 약제를 살포해야 효과적이며, 유충은 야간에 활동하는 습성이 있어 작물체에 붙어있는 아침이나 저녁에 약제를 살포하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곤충병원성선충, 또는 곤충기생균을 이용한다.
곤충병원성선충의 살포는 자외선이 없는 햇빛이 없는 시간에 하고 젖을 정도로 흠뻑 뿌려 주어야 한다.
약제방제시 저항성 개체의 출현이 빨라 방제에 어려움이 있으나 적용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2.작은뿌리파리 (agrestis)
목/과명
파리목/검정날개버섯파리과
속명
Bradysia
생태정보
온실 내에서 성충은 4월 중순에 증가하고, 5월 하순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여름에는 적어졌다가 가을에 다시 증가하여 9~10월에 발생이 많고 20~25℃의 시설하우스에서는 월 2회 발생이 가능 하다.
어둡고 습하며 잡초가 많은 시설환경에서 많이 발생한다.
예찰은 황색 끈끈이 트랩을 설치(지상 30㎝이내 1m 간격)로 성충 발생 초기에 예찰한다.


피해정보
유충이 곰팡이와 썩은 유기물뿐만 아니라 작물의 뿌리를 가해한다.
피해증상은 뿌리의 발달이 불량해지고, 수분이나 영양의 이동을 방해하여 생장이 늦다.
뿌리나 지제부에 상처를 내면 병원균의 침투가 용이해져 병 발생을 유발 시키는 간접적인 피해가 크다.
방제방법
감자를 절단하여 절단면을 뿌리 근처지면에 놓으면 유충이 감자에 유인되어 발생을 확인 할 수 있다.
측창이나 출입문에 방충망을 설치하여 유입을 차단한다.
그리고 육묘상 아래 또는 통로의 습기와 잡초를 제거하여 육묘환경 개선하고 관수량을 조절하여 배지가 너무 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천적으로 가는뿔다리좀응애와 곤충기생선충이 있다.
파종, 정식 전에 약제를 토양에 시용하고 생육 중 피해가 나타나면 유제 등을 뿌리에 관주한다.
3.호박과실파리
목/과명
파리목/과실파리과
속명
Bactrocera depressa
생태정보
성충의 몸길이는 10mm 정도이고, 날개 길이는 9mm 정도인 대형 과일파리로서 몸은 전체적으로 담황색을 띠며, 가운데 가슴의 등쪽은 황갈색으로 3개의 황색 세로줄무늬가 있고, 날개는 전연부위와 날개 뒷부분의 시맥 주위가 갈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유충은 어릴 때는 백색이나 자라면서 황색을 띠며, 다 자란 유충은 길이가 11∼13mm 정도의 구더기가 된다.
유충은 몸을 수축하였다가 도약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번데기는 갈색으로서 크기는 7∼8mm 정도이다.

피해정보
호박과실파리는 1년에 1회 발생하며, 성충은 7월부터 9월경까지 출현하여 박과류 재배포장 주위의 잡초 등에 서식하고 있다가 산란시기가 되면 기주식물로 비래하여 산란관으로 어린 과실의 표피를 뚫고 과실 속에 산란한다.
난기간은 10일 내외로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과실 내부를 가해하는데 다수의 유충이 식해하면 과실이 성숙하기 전에 떨어져 부패한다.
유충기간은 약 1개월로 3령이 되면 과실에서 탈출하여 땅속 5∼10cm 깊이로 파고 들어가 1주일 이내에 번데기가 되어 월동한다. 수확한 늙은 호박에서는 유충으로 월동하는 경우도 있다.
유충이 과일 내부를 가해하여 피해를 주며, 피해를 받은 과일은 성숙하기 전에 부패하여 떨어진다. 주로 산간지대에 재배하는 늙은호박에서 피해가 많이 발생하며, 조롱박, 수박 등에서도 피해가 나타난다. 산란 부위는 과일이 자라면서 보조개 모양으로 오목하게 들어간다.
방제방법
성충은 숲속에 있다가 산란 시에는 암컷만 포장으로 날아와 산란하고, 유충이 과일 속에서 과육을 갉아먹으므로 약제에 의한 방제가 곤란하다.
호박과실파리 월동 번데기가 우화하는 5월 중·하순경 토양 살충 입체 등을 이용하여 경운하면 과실 파리 초기 발생 밀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나 집단 재배지의 경우 주변 재배농가 전체를 같이 방제하여야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과실 수정이 이루어진 직후 유과기에 성충이 과일에 산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선 어린 과일에 봉지 씌우기를 하면 피해 과실을 줄일 수 있다.
성충을 유인해서 죽이는 유인살충제나 산란 기피제 등의 이용이 필요하나 아직까지 국내에는 효과적인 유인제나 기피제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피해가 심한 지역의 경우 조기 재배를 통하여 호박과 실파리 산란이 주로 이루어지는 7월 중·하순∼8월 이전에 과실을 경과시켜 되도록 일찍 수확하고 산간 고랭지에서의 수박 억제재배를 피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디클로르보스.람다사이할로트린 분산성액제 | 20.8(20+0.8)% | 돌격대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3일전 | 2회 | 1b+3a | (주)팜한농 |
살충제 | 디플루벤주론 입상수화제 | 50% | 벤티드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0배 | - | 수확 3일전 | 2회 이내 | 15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아바멕틴.클로란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 | 6(1.714+4.286)% | 아피스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5일전 | 2회 | 6+28 | 아다마코리아(주) |
'병해충정보 > 과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지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16 |
---|---|
가지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6 |
호박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16 |
호박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5 |
오이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