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

콩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8.왕담배나방 (armige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Helicoverpa 생태정보 년간 발생세대수는 2∼3세대로 번데기 상태로 땅속에서 지낸 후 5∼6월에 우화하여 10월까지 피해를 준다. 알은 잎당 1개씩 산발적으로 낳지만 때로 5∼10개를 집단으로 낳기도 하며, 500개 내외의 알을 낳는다. 산란∼부화까지의 기간은 실온에서 약 3∼4일, 알∼우화까지는 17∼20일 정도가 소요되며, 유충 기간은 25℃에서 19~26일 정도이며, 다 자란 유충은 땅속 2~10㎝ 깊이에서 번데기가 된다. 성충 수명은 10∼12일이다. 예찰은 페로몬 트랩을 설치하여 실시한다. 피해식물이나 유충의 배설물을 관찰하여 발생확인 할 수 있다. 피해정보 해충은 광식성으로 채소, 과수, 화훼류에 널리 가해한다. 담배, 감.. 2022. 6. 11.
콩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가온을 하는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며, 연 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발생 최성기는 5월 상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 8월 하순, 9월 하순으로 발생 최성기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지만 해에 따라 돌발적으로 대발생 한다. 알 기간은 7일, 유충 기간은 13일, 번데기 기간은 10~13일이고 성충의 수명은 10~15일, 산란수 1,800개, 난괴로 낳으며, 산란한 알은 인편으로 덮어둔다. 성충은 우화 후 2~5일 동안 1,000~2,000개의 알을 100~300 개의 난괴로 잎 뒷면에 산란한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6령을 거치지만 온도에 따라 다르고 발육기간은 온도.. 2022. 6. 11.
콩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10.세균성점무늬병 (細菌性斑點病,Bacterial leaf blight) 병원체 Pseudomonas savastanoi 발생환경 비바람이 많고 저온,다습한 환경에서 많이 발생한다. 병원세균은 병든 잎이나 줄기 또는 종자에 붙어서 겨울을 지내며 다음해의 1차 전염원으로 작용한다. 병원세균에 오염된 종자를 심으면 발아 초기부터 자엽에 병이 발생하고 증식된 세균은 식물체간 접촉, 비바람, 물방울 등에 의해 주위의 식물체로 전염된다. 또한 병원세균은 비바람, 농기구, 농작업 등에 의해 전반되며 주로 식물체의 기공이나 상처를 통하여 침입한다. 종자는 생육기중 꼬투리 감염, 수확, 저장 시 오염된 종자와 접촉되어 감염된다. 세균성 점무늬병은 저온이면서 잦은 강우나 안개가 심한 지역에서 발생이 심한데 주로 두류의.. 2022. 6. 10.
콩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검은뿌리썩음병 (黑色根腐病,Black root rot, Red crown rot) 병원체 Calonectria ilicicola 발생환경 이 병은 1980년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평균 발병률이 5%미만으로 큰 피해는 없으나 심한 포장은 수량을 기대할 수 없을 만큼 피해가 크다. 병원균의 생육적온은 27℃전후로서 고온기인 7~8월에 많이 발생한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조직에서 소립균핵 상태로 겨울을 지내며 주로 지표면에 접촉된 줄기 부위를 침입한다. 초기에는 병징이 잘 나타나지 않으나 장마가 오래 계속되고 온도가 낮을 때 병원균의 생장이 왕성하여 심하게 병든 개체는 잎이 누렇게 된다. 장마가 계속되면 줄기는 생육이 가능하지만 장마가 끝나고 건조하면 잎이 황화된다. 병에 걸린 식물체에 형성된 자낭과.. 2022. 6. 10.
콩 재배방법(농작업일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파종량 ❍10a당 소요량 - 소립종 : 5~6㎏ - 중대립종 : 8~10㎏ ■ 파종적기 ❍1모작 : 5상중순 ❍2모작 : 6상중순 * 파종기가 1일 늦어짐에 따라 1~2%(약 3㎏) 감수 ■ 시비량 ❍N-P-K(실량㎏/10a) 4~9 : 30~35 : 8~10 + 석회200㎏ ❍전용복비(8-14-12) 시용 - 보통밭 : 50㎏(2포)/10a - 개간밭 : 75㎏(3포) ■ 북주기 ❍잡초약 사용시 - 파종후 30~40일경 제1본엽까지 ❍잡초약 미사용시(2~3회실시) 회수 시기 북주기부위 1차 본엽2~3매시 떡잎마디까지 2차 4~5〃 홑잎마디까지 3차 6~7〃 제1본엽마디까지 ■ 병해충 방제 ❍병해 : 자주빛 무늬병, 노균병 등 ❍충해 : 콩나방, .. 2022.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