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파4

양파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뿌리응애 (robini) 목/과명 응애/가루응애과 속명 Rhizoglyphus 생태정보 년 십 수회 발생하며, 피해부위 내부 또는 땅속에서 성충과 약충으로 월동한다. 성충은 구근의 표면에 약 600개를 산란하며, 보통 20~30일에 1세대를 경과한다. 유기질이 풍부한 산성의 사질토양에 발생이 많으며, 봄에 지온이 상승하면 급격히 증식하여 6~7월에 최고밀도에 달한다. 각 태별 기간은 기주식물의 상태나 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알기간은 4~20일, 제1약충 기간은 1~11일, 제2약충 기간은 2~11일이며, 발육적온은 20~25℃ 이다. 예찰은 뿌리응애가 발생하여 피해를 받은 줄기는 아래 잎이 노랗게 변하는 증상을 보이므로 이러한 증상을 보이는 포기를 뽑아 뿌리부위를 중심으로 응애의 발생유무를 조사한.. 2022. 6. 20.
양파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8.시들음병 (萎黃病,Fusarium basal rot) 병원체 Fusarium oxysporum 발생환경 토양전염성 병해로 병원균은 토양에 널리 분포한다. 토양 온도가 16℃이하 일 때는 발병되지 않고 25~28℃에서 잘 발생하며 산성토양과 사질토양에 발생이 많다. 작은 곤충 등에 의해 뿌리에 상처가 생기거나 이 시기에 비가 자주 오면 병원균의 침입이 용이해진다. 또한 생육 중기 이후에 기온이 올라가면 병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증상설명 전 생육기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잎이 구부러지고 누렇게 되는데, 심하면 잎이 오그라들면서 썩거나 마른다. 감염된 포기의 뿌리는 썩고, 생육이 부진하여 쉽게 뽑힌다. 병든 뿌리는 암갈색을 띄며 납작하고 투명하게 보이기도 한다. 병든 포기의 인경을 세로로 잘라 보면 갈변.. 2022. 6. 20.
양파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검은무늬병 (黑斑病,Black spot) 병원체 Alternaria porri 발생환경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고 1차전염원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널리 분포되어 있는 병으로 5월부터 11월까지 발생하나, 특히 7~8월경 비가 자주 올 때 심하게 발생한다. 비료분이 부족하여 후기생육이 불량할 때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과 꽃대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타원형의 담갈색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약간 움푹 들어간 암자색 병반이 된다. 상하로 길게 타원형 병반이 형성되며, 병반 중앙에는 겹무늬가 나타나고, 검은 분생포자가 밀생한다. 방제방법 - 건전종자를 선별하고, 소독하여 파종한다.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작물의 생육중에 비료가.. 2022. 6. 19.
양파 재배방법(농작업일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파종 ❍파종시기 : 8월중~9월상순 ❍묘상면적 : 50㎡/10a ❍파종량 : 6~8㎗/10a ❍모잘록병 방제 : 파종전 ■ 관리 작업 ❍정식시기 : 10월중~11월중순 ❍정식거리 : - 이랑나비 24~30cm - 포기사이 12~15cm ❍우량묘 정식 ■ 수 확 ❍수확적기 - 출하용 : 70~80% 도복 - 저장용 : 50~60% 도복 ❍수확 : 맑은 날 1~2일간 밭 에서 건조 ■ 분포 관리 ❍제초제 살포 : 정식 전 ❍중경 : 1~2회 실시 ❍관수 : 정식 후 및 구비대기 ■ 묘상 관리 ❍차광망피복 : 발아후제거 ❍관수 : 수시실시 ❍솎음질 : 1~2회 실시 ■ 시 비 (kg/10a) 비료명 총량 밑거름 웃거름 1회 2회 성분량 (kg/10a) .. 2022.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