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방제233

고추냉이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검은점무늬병 (黑色斑點病,Black leaf spot) 병원체 Phoma sp.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잎에서 병자각으로 월동 후, 평포자가 비산하여 공기전염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나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증상설명 처음에는 잎에 검고 작은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원형 내지 부정형의 검은 병반으로 확대되면서 병반의 주위는 황색을 띤다. 심하게 병든 잎은 전체적으로 누렇게 변색되며, 후에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일찍 제거한다. - 시설하우스재배시 내부가 과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관부썩음병 (冠部腐敗病,Crown rot) 병원체 Rhizoctonia solani 발생환경 주로 저온기에 발생하며, 병원균의 균사융합군은 AG-2-1이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내.. 2022. 6. 20.
생강 주요 병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근경썩음병 (根莖腐敗病,Rhizome rot) 병원체 Pythium myriotyrum 발생환경 생강재배에서 가장 문제되는 병해이다. 토양전염성으로 연작지와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 발생이 많다. 포장에서 7월 초순경에 발생이 시작되며, 장마기에 병원균이 전반되고 감염이 주로 이루어지는데 낮 기온이 30℃이상이 되는 8월 초순 이후 급격히 발생된다. 토양이 다습한 조건에서 발생이 심하지만 외부병징은 고온건조시에 잘 나타난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와 토양중에서 주로 난포자 상태로 월동후, 토양온도가 15℃이상이 되면 다시 발아하여 1차전염원이 된다. 주로 물을 따라 전반되며, 관수 후 2~3일 내에 기주를 침입한다. 전염원은 주로 토양에 존재하지만 관수로도 전염될 수 있으며, 병든 종강이 중요한 .. 2022. 6. 20.
마늘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갈색잎마름병 (褐色葉枯病,Brown leaf spot) 병원체 Heterosporium allii 발생환경 병원균이 어떻게 월동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병든 식물체의 조직내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2차전염은 병반상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비산하여 공기전염 된다. 비가 많은 해에 다소 발생하나 큰 피해는 없다. 증상설명 잎에 처음에는 백색 내지 황백색의 타원형 병반으로 나타나고, 심하면 잎 전체가 말라죽는다. 병반 중앙에는 흑색의 분생포자가 무수히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방제방법 - 병든 잔재물을 제거하여 주고 포장 내 과습을 피한다. 2.녹병 (銹病,Rust) 병원체 Puccinia allii 발생환경 병든 부위에서 하포자나 동포자 형태로 겨울을 지나고 .. 2022. 6. 20.
파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7.잎마름병 (葉枯病,Leaf blight, Leaf spot) 병원체 Pleospora herbarum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 분생포자, 자낭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나 1차 전염원이 되며 생육 후기에 많이 발생한다. 특히 4~5월경 강우 일수가 많아 다습한 환경이 계속되면 심하게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과 꽃대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적자색의 작은 병반이 형성되고, 진전되면 암갈색 병반상에 검은 곰팡이가 무수히 형성된다. 병반부의 상하는 길게 황백색으로 변하고, 심하게 진전되면 잎 전체가 마르고 죽는다. 오래된 병반상에는 검은 곰팡이가 밀생한다. 방제방법 - 건전종자를 선별하고, 소독하여 파종한다.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작물의 생육 중에 비료가 부족하지 않도.. 2022. 6. 20.
파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검은무늬병 (黑斑病,Alternaria leaf spot, Purple blotch) 병원체 Alternaria porri 발생환경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나 1차 전염원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널리 분포되어 있는 병으로 5월부터 11월까지 발생하나, 특히 7~8월 경 비가 자주 올 때 심하게 발생한다. 비료분이 부족하여 후기 생육이 불량할 때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과 꽃대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타원형 또는 방추형 담갈색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여러 겹무늬 대형병반으로 확대된다. 때에 따라 자색의 겹무늬로 나타나기도 한다. 병반 중앙에는 검은 포자층이 밀생하여 검게 보이며, 심하면 잎 전체가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건전종자를 파종한다. - 병에 잘 .. 2022. 6. 20.
양파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8.시들음병 (萎黃病,Fusarium basal rot) 병원체 Fusarium oxysporum 발생환경 토양전염성 병해로 병원균은 토양에 널리 분포한다. 토양 온도가 16℃이하 일 때는 발병되지 않고 25~28℃에서 잘 발생하며 산성토양과 사질토양에 발생이 많다. 작은 곤충 등에 의해 뿌리에 상처가 생기거나 이 시기에 비가 자주 오면 병원균의 침입이 용이해진다. 또한 생육 중기 이후에 기온이 올라가면 병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증상설명 전 생육기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잎이 구부러지고 누렇게 되는데, 심하면 잎이 오그라들면서 썩거나 마른다. 감염된 포기의 뿌리는 썩고, 생육이 부진하여 쉽게 뽑힌다. 병든 뿌리는 암갈색을 띄며 납작하고 투명하게 보이기도 한다. 병든 포기의 인경을 세로로 잘라 보면 갈변.. 2022. 6. 20.
양파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검은무늬병 (黑斑病,Black spot) 병원체 Alternaria porri 발생환경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고 1차전염원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널리 분포되어 있는 병으로 5월부터 11월까지 발생하나, 특히 7~8월경 비가 자주 올 때 심하게 발생한다. 비료분이 부족하여 후기생육이 불량할 때 많이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과 꽃대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타원형의 담갈색 병반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약간 움푹 들어간 암자색 병반이 된다. 상하로 길게 타원형 병반이 형성되며, 병반 중앙에는 겹무늬가 나타나고, 검은 분생포자가 밀생한다. 방제방법 - 건전종자를 선별하고, 소독하여 파종한다.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작물의 생육중에 비료가.. 2022.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