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해충방제233 감귤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18.접목부이상병 (接木部異常病,Bud-union disorder, Tattar leaf-citrange stunt) 병원체 Citrus tatter leaf virus 발생환경 접목 및 즙액에 의해 전염된다. 바이러스를 무독화하는 방법으로 주간 40℃, 야간 30℃로 3개월간 처리하면 효과가 있다. 증상설명 대목과 접수간의 불친화로 인하여 접목부위 바로 위의 접수부위가 팽대해 지고 그 부분의 껍질을 벗겨 보면 대목과 접수 사이가 뚜렷한 이층이 생겨서 잎에서의 동화산물이 뿌리로 이동하는 것과 뿌리에서 흡수한 양,수분들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여 결과적으로 수세가 약화된다. 어린 묘목의 경우 황화되고 강한 바람이나 약간의 충격에도 쉽게 그 부위가 부러진다. 하지만 감염된 모든 나무가 이런 불친화 증상.. 2022. 6. 26. 감귤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13.붉은썩음병 (Fruit rot) 발생환경 후사리움(Fusarium)은 가장 흔한 부생균 중의 하나이다. 감귤에 있어서는 죽은 가지와 같은 식물 잔재물에서 자라면서 포자를 형성하고 이들이 어린 과실의 과경부나 배꼽부위를 통해 침입하여 잠복하여 있다가 저장 시 과실의 병 저항성이 약화되고 환경조건이 충족되면 살아있는 건전한 조직을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또한 저장 중 부패한 과실로부터 생성된 에틸렌이 저장고 내에 축적되면 병이 크게 발생 할 수 있다. 증상설명 병징은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감염부위에 균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 경우 과피는 진한 갈색, 고동색 또는 마치 햇빛에 탄 것과 같은 모양이며 붉은 가죽과 흡사한 특징을 갖는다. 두 번째 병징은.. 2022. 6. 26. 감귤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7.그을음병 (煤病,Sooty mold) 병원체 Capnophaeum fuliginodes 발생환경 당분을 많이 함유한 액체를 분비하는 해충, 즉 각종 진딧물, 이세리아깍지벌레, 귤애가루깍지벌레, 귤가루이 등이 기생하는 나무의 잎, 줄기, 열매에 발생한다. 그을음병은 비록 병원균이 직접 기주 조직을 침입하지는 않지만 광합성을 방해하여 과실의 발달을 저해시키고 착색을 지연시킴과 더불어 상품가치를 저하시킬 수 있다. 증상설명 당분이 들어 있는 액체 주위로 까만 검뎅이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주로 Capnodium citri Berk. & Desm. 이라는 곰팡이로 구성된다. 그을음 증상은 잎의 뒷면보다는 앞면에 주로 형성되며 까만 검뎅이 같은 균사들은 물로 쉽게 씻겨지지만 때에 따라서 심할 경우 제거하기가 어렵.. 2022. 6. 26. 감귤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1.갈색줄무늬오갈병 (褐條萎縮病,Tristeza) 병원체 Citrus tristeza virus 발생환경 접목전염을 주로 하나 많은 종류의 진딧물에 의하여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온주밀감은 이병에 저항성으로, 대부분의 나무가 감염이 되어 있으나 피해증상은 겉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제주도 감귤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는 4가지, 즉 감귤 트리스테자 바이러스(CTV), 온주위축바이러스(SDV), 감귤모자이크 바이러스(CiMV), 접목부이상바이러스(CTLV)가 보고되고 있다. 이외에도 다른 바이러스, 특히 바이로이드 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제주농업시험장에서 1995년부터 1998년까지 항혈청을 이용하여 제주도 감귤의 바이러스 감염율을 조사한 결과 CTV는 약 50%, SDV와.. 2022. 6. 26. 감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6.잿빛곰팡이병 (灰色徵病,Gray mold) 병원체 Botrytis cinerea Persoon 발생환경 병든부위에서 균핵 혹은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나 1차 전염원이 된다. 병의 발생에는 특히 습도가 중요한데, 여름에 강우가 많고 서늘하면 심하게 발생한다. 저장 중의 과일은 간이 저장 시 많이 나타나며, 특히 상처부위를 통하여 침입하는 경우가 많다. 증상설명 어린 잎과 과실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가장자리에서부터 겹무늬증상으로 말라 들어가고, 진전되면 회색의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된다. 심한 경우에는 잎이 말라죽고 일찍 떨어지기도 한다. 어린 과실에서는 처음에 매달려 있던 꽃이 감염되어 꽃이 썩으면서 떨어지고 과실 표면에 흑색의 작은 점무늬를 형성한다. 진전되면 회색의 분생포자가 형성되면서 과실이 .. 2022. 6. 25. 감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검은점무늬병 (黑點病,Black spot) 병원체 Phomopsis sp. 발생환경 병자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후 병포자를 비산하여 전염원이 된다. 증상설명 과실과 잎에 발생한다. 과실에서는 소립의 까만 점이 다수 형성되어 상품가치를 떨어트린다. 잎에서는 처음 원형의 검은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부정형으로 확대되면서 병반의 내부는 갈색을 띠고, 병반의 테두리는 암갈색 내지 흑색을 띤다. 방제방법 - 병든 과실은 조기에 솎아내어 땅속에 파 묻는다. - 병든 낙엽은 모아서 불태운다 2.그을음병 (煤病,Sooty mold) 병원체 Capnophaeum fuliginodes 발생환경 깍지벌레류 등의 배설물에 기생하면서 비, 바람에 의해 주로 전염되고, 간혹 곤충이나 새 등에 의해서도 전염된다. 증상설.. 2022. 6. 25. 블루베리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가지마름병 병원체명 Phomopsis vaccinii 발생환경 분생포자인 병포자를 형성하는 병자각은 죽은가지, 특히 최근에 죽은 가지에 주로 검은색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발생한다. 병포자는 습기가 많은 조건에서 끈끈한 점액질 덩어리 형태로 분출돼 빗방울로 튀어서 멀리까지 전염된다. 증상설명 분생포자이 초기감염은 주로 꽃눈과 꽃을 통해 이루어지며, 침입 후에는 줄기의 수피를 통해 생장하면서 수확기까지 줄기를 침해하낟. 가지마름병균에 감염된 열매는 심하게 썩는다. 방제방법 처음 과수원을 조성할 때 건전한 묘목을 재식하고, 재배 중 혹은 전지전정시 이병이 관찰되면 병든 부위를 일찍 잘라서 불에 태워야 한다. 2.갈색무늬병 병원체 Pestalotiopsis clavispora 발생환경 가을에 고온다습한 조건.. 2022. 6. 24. 이전 1 2 3 4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