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5 벼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8.섬서구메뚜기 (lata) 목/과명 메뚜기목/섬서구메뚜기과 속명 Atractomorpha 생태정보 년 1회 발생하며 알로 월동한다. 월동한 알은 5월 하순~6월 상순에 부화하고 약충은 식물체를 갉아먹으며 성장한다. 어린 약충은 섭식량이 적지만 다자란 약충과 성충은 잎을 폭식한다. 예찰은 잎을 들추어보거나 작물체를 털어서 약충과 성충의 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한다. 피해정보 약충과 성충이 주로 잎을 가해한다. 피해를 받은 잎은 불규칙한 구멍이 생기며, 발생이 심한 경우 줄기만 남기고 모두 먹어 치운다. 8~9월경에 야산근처의 포장에 많이 발생한다. 방제방법 약충과 성충이 주로 벼과 식물의 잎을 폭식하므로 발생이 많으면 즉시 등록된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9.애멸구 (striatellus) 목/과명 매미목.. 2022. 6. 8. 벼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먹노린재(lurida) 목/과명 노린재목/노린재과 속명 Scotinophara 생태정보 우리나라에는 1971년에 최초로 보고된 해충이며 1997년부터 충북 산간지역인 옥천, 충남 서산지역에서 다량 발생하여 문제가 된 해충이다. 2001년 이후에는 중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1년에 1세대 발생하며, 낙엽 밑이나 말라죽은 잡초 속에서 성충으로 월동한 후 6월 상순부터 본논으로 이동한다. 본논에서의 월동세대 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7월 상순이며, 약충은 7월 하순부터 9월 하순까지 발생하고, 새로운 성충은 8월 하순부터 수확기까지 발생한다. 성충의 평균 산란수는 30.7개이며, 최고 55개까지 산란한다. 성충은 난괴로 산란하는데 난괴당 알수는 12~16개이며, 알기간은 평균 4.3일이.. 2022. 6. 8. 벼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12.이삭누룩병 (稻麴病,False smut) 병원체 Ustilaginoidea virens 발생환경 병원균은 균핵 또는 후막포자로 겨울을 지나고 이듬해 1차 전염원이 되는데, 발병된 벼알에 형성된 균핵은 주로 토양에서 겨울을 지나고 다음해 7~8월경 발아하여 자실체를 형성한다. 자실체에서 유출된 자낭포자가 공기 중으로 날아올라 수잉기의 엽초에 부착되었다가 벼 꽃이 팰 무렵에 벼 꽃을 통하여 벼알로 침입한다. 벼 이삭누룩병은 질소질 비료를 과다시용 하면 발생이 많아지게 되는데, 저온다습, 일조부족, 강우일수 등의 환경조건이 병 발생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예년에 비해 벼 출수기에 강우일수가 유난히 많고 일조시간이 매우 적은 1998년 중부지방에서는 이삭누룩병이 대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받은 적이 .. 2022. 6. 8. 벼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갈색균핵병 (褐色菌核病,Brown sclerotium disease) 병원체 Rhizoctonia oryzae-sativae 발생환경 잎집무늬마름병과 유사한 방법으로 감염되며 칼리가 부족하면 발생을 조장한다는 보고가 있고, 질소비료의 과용, 일찍심기, 일찍재배에 비해 보통기 재배에서 발생을 조장한다는 보고도 있다. 그러나 이 병의 발생은 같은 논 내에서도 양상이 다르다. 특히 물을 대는 쪽에서는 적고, 물이 빠지는 쪽에서는 많은 경향도 있어 균핵의 이동, 부착 및 수온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나 우리나라에서는 많이 연구되어 있지 않다. 특이한 사항은 등숙 후기가 되어 급속히 병이 진전된다는 점이다. 증상설명 잎집에 타원형 내지 부정형의 작은 반점을 나타내며 병반의 가장자리에는 갈색 내지 암갈색을 .. 2022. 6. 7. 쌀 효능 6가지와 부작용과 오해 인류가 석기를 사용하던 때부터 지금까지 쌀은 ‘에너지의 원천’이자 ‘문화의 근간’으로 기능해 왔습니다. 최근 쌀이 ‘살찌는 흰쌀’이라는 오해와 더불어 재고 누적, 소비 감소 등의 어려움에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다이어트 쌀’과 ‘키 크는 쌀’ 등 쌀의 기능 성분을 극대화한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고 있으며, ‘알코올 중독을 치료하는 쌀’ 혹은 ‘예방 백신 쌀’ 등 의료용 쌀도 등장하고 있지만 심지어 자동차 원료에도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쌀의 소비량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연도별 1인당 연간 쌀 소비량(1981-2021) -통계청자료 쌀의 효능을 알아보고 잘못 알려진 지식들로 인해 쌀소비량이 점점 줄어들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쌀(현미)의 주요 효능 6가지 현미는 쌀의 껍질만 벗겨내고 쌀겨와 씨눈이 그대로 .. 2022. 6.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