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8

배 주요 해충 TOP2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목차 18.사과알락나방 (pruni) 목/과명 나비목/알락나방과 속명 Illiberis 생태정보 년1회 발생하고 어린유충으로 조피밑에서 거친 고치를 짓고 월동한다. 4월 중,하순부터 활동을 시작하여 가해하고 6월 중순경 노숙되면 피해부위에서 나와 건전한 잎위에 흰 고치를 짓고 그 속에서 용화한다. 성충은 6월 하순~7월에 나타나며 수일의 산란 전기간을 거쳐서 수십개의 난을 무더기로 잎뒤에 낳는다. 7월 중순-8월 상순에 부화하여 잎을 경미하게 식해한 뒤 월동처로 이동하는데 주간에 유인대를 설치하여 방제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발생이 많은 해충은 아니며, 방임원이나 야생과수 등에서 보이는 정도이다. 피해정보 유충이 전엽직후의 잎이나 꽃을 식해하고 성장하면서 잎의 겉면에서 가장자리를 실로 합쳐서 주머니모양으로.. 2022. 6. 22.
배 주요 해충 TOP2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목차 13.배나무방패벌레 (nashi) 목/과명 노린재목/방패벌레과 속명 Stephanitis 생태정보 연 3∼4회 발생하고 성충으로 잡초나 낙엽 밑에 숨어서 월동한다. 5월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산란하고, 알은 잎뒷면 주맥의 기부조직 속에 15∼30개씩 무리지어 낳고 그 위를 성충의 분비물로 덮는다. 어린 약충은 집단으로 모여서 생활 하지만 자라면 분산하여 가해한다. 방제가 소홀한 과원에서 8∼9월 많이 발생한다. 피해정보 잎을 가해하고 신초에 피해를 입힙니다. 성충과 약충이 잎 뒷면에서 집단으로 기생하며 수액을 빨아 먹어 잎 앞면이 탈색된다. 방제방법 관행방제 과원에서는 발생이 거의 없으며, 심한 피해까지 진전되지 않으므로 다른 해충 방제시 동시방제 하도록 한다. 14.배나무벌(배나무줄기벌) (piri.. 2022. 6. 22.
배 주요 해충 TOP2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목차 7.명주달팽이 (despecta) 목/과명 병안목/달팽이과 속명 Acusta 생태정보 국내에서 가장 흔한 종으로 전국의 논, 밭가의 돌 밑이나 풀 속 및 인가 주변과 시설 내 낙엽이나 잡초 아래 서식하며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종이다. 노지에서는 봄 및 가을에 연 2회 발생하나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노지에서 달팽이는 6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 산란하며 11월부터 3월까지 동면한다. 알은 직경 1.93㎜의 백색 구형으로 1회 약 28개의 알을 덩어리 형태로 낳으며, 18~25℃의 온실조건에서는 알을 낳은 후 12일 정도면 부화한다. 노지에서는 년 1세대 경과한다. 예찰은 달팽이는 껍질이 있어 땅속이나 돌 밑으로 들어가기가 어려워 주로 식물 잔재물이나 잡초 더미 속에 숨어 지낸다. 그러므로 이들 .. 2022. 6. 22.
배 주요 해충 TOP2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목차 1.가루깍지벌레 (comstocki) 목/과명 매미목/가루깍지벌레과 속명 Pseudococcus 생태정보 연 3회 발생하며 백색 납질물로 덮인 알 덩어리로 거친 나무껍질 속이나 굵은 가지를 잘라 냈을 때 잘 아물지 않은 곳, 기타 간극에서 월동하는데 일부는 암컷 약충 또는 성충으로 월동하기도 한다. 제1회 발생은 6월, 제2회 발생은 8월 상순, 제3회 발생은 9월~10월이며, 제2회 발생하는 약충부터 봉지 속으로 침입하여 가해한다. 피해정보 암컷 성충의 몸길이가 4㎜내외의 타원형으로 전체가 흰가루로 덮여있다. 기주범위가 넓으며 대부분의 과수에서 발생이 많다. 과총부근의 단과지, 지간의 터진 틈, 과실의 꽃자리 부근 등에 기생하여 흡즙한다. 봉지 씌운 과실에 주로 피해가 많고 피해과실은 흡즙부위가 .. 2022. 6. 22.
배 주요 병 TOP18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목차 13.탄저병 (炭疽病,Anthracnose) 병원체 Glomerella cingulata 발생환경 병원균은 주로 균사 및 포자의 형태로 병든 잎이나 열매, 가지에서 겨울을 지나 다음해의 전염원이 된다. 늦은 봄으로부터 여름에 걸쳐 비가 오거나 다습하면 병든 잎이나 가지에 점액질의 분생포자가 형성되고 빗방울에 의하여 전염된다. 또한 열매의 병반에 형성된 점액질의 분생포자도 빗방울이나 곤충에 의하여 전반된다. 고온이며 비가 많은 지대에 심하고 통풍이 잘 안되는 밀식 과수원에 발생이 많다. 증상설명 잎, 가지, 과실에 나타난다. 잎에는 처음 적색 내지 갈색의 소형 병반이 형성되고 점차 진전되면서 2~3㎜의 회백색 병반으로 되며, 그 표면에 흑색의 소반점(분생자층)이 다수 형성된다. 봉지씌우기를 하지 않은.. 2022. 6. 22.
배 주요 병 TOP18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中편 목차 7.배갈색썩음병 병원체 Pezicula cinnamomea 발생환경 화성의 배 농가에서 선과작업 중, 저장 중인 배로부터 갈색썩음병이 처음 발견되었으며 현재까지는 제대로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 증상설명 초기에는 2~3㎜의 작은 연갈색 반점이 형성되고 점차 확대되면서 표면이 다소 움푹 들어가며 썩는다. 때로는 표면에 백색균사를 형성하며, 언 듯 보기에 겹무늬병과 유사하나 윤문증상은 없다. 방제방법 - 저장고의 소독 및 청결에 유의한다. 8.붉은가지마름병 (赤色枝枯病,Nectria canker, Coral spot) 병원체 Nectria cinnabarina [ = 불완전세대 : Tubercularia vulgaris Tode ]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가지에서 형성된 자좌속에서 자낭포자와 분생포자 형.. 2022. 6. 22.
배 주요 병 TOP18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목차 1.검은무늬병 (黑斑病,Leaf spot) 병원체 Alternaria kikuchiana 발생환경 병든 잎, 말라죽은 눈(bud), 가지, 새 가지(新梢)등에서 균사상태로 겨울을 지난다. 1차 감염은 4월 중순~5월 중순에 어린잎, 꽃잎에서 시작되며 열매의 발병은 5월 중 하순경부터 눈에 띄기 시작하며 열매의 병반위에는 아주 많은 포자가 형성되기 때문에 과수원내의 포자 농도는 6월이후 급격히 높아진다. 6~7월에 비가 계속 내리면 발병이 급격히 증가한다. 습도가 높을 경우 병반위에는 2~3일이 지나면 다시 분생포자가 형성되며 잎의 병반위에서 증식한 포자는 겨울을 지난 병반위의 포자와 더불어 잎, 새 가지의 전염원이 된다. 한여름 고온이 계속될 때는 발병이 줄어들지만 10월까지 계속해서 발생한다. 봉.. 2022.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