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과수

배 주요 해충 TOP2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by 투농부 2022. 6. 22.
반응형

목차

    13.배나무방패벌레 (nashi)

     

    목/과명

    노린재목/방패벌레과

     


    속명

    Stephanitis

     


    생태정보

    연 3∼4회 발생하고 성충으로 잡초나 낙엽 밑에 숨어서 월동한다.
    5월부터 발생이 시작되어 산란하고, 알은 잎뒷면 주맥의 기부조직 속에 15∼30개씩 무리지어 낳고 그 위를 성충의 분비물로 덮는다.
    어린 약충은 집단으로 모여서 생활 하지만 자라면 분산하여 가해한다.
    방제가 소홀한 과원에서 8∼9월 많이 발생한다.

     

     

    피해정보

    잎을 가해하고 신초에 피해를 입힙니다.
    성충과 약충이 잎 뒷면에서 집단으로 기생하며 수액을 빨아 먹어 잎 앞면이 탈색된다.


     
    방제방법

    관행방제 과원에서는 발생이 거의 없으며, 심한 피해까지 진전되지 않으므로 다른 해충 방제시 동시방제 하도록 한다.

     

    14.배나무벌(배나무줄기벌) (piri)

     

    목/과명

    벌목/나무벌과

     


    속명

    Janus

     


    생태정보

    배나무줄기벌'이라고도 알려졌으며 약제를 별도로 살포해야 할 정도로 문제되지는 않으나, 성충이 신초의 조직속에 산란하기 때문에 그 부분이 횡으로 흑변하며 끝부분이 말라 죽는다.
    년1회 발생하고 유충으로 피해 신초내부에서 월동한다.
    이듬해 4월하순-5월상순에 우화하여 신초의 중간부 껍질밑에 1개씩 산란한다.
    부화한 유충은 목질부를 먹어내려가다가 6월하순-7월상순에 노숙되어 신초속에서 얇은 고치를 만들고 그대로 월동에 들어간다.

     

    피해정보

    성충이 신초의 밑부분을 입으로 물어뜯고 그 안에 산란하므로 윗부분으로 수분공급이 되지 않아 상처받은 위부분이 검게 말라죽는다. 멀리서 보면 가지를 손으로 꺽어놓은 것같이 보이며 가지 전체의 신초가 피해를 보는 경우도 있다.

     

    방제방법

     

    배나무 개화기때부터 성충이 발생하여 줄기에 산란하므로 심한 경우 꽃이 질 무렵부터 유기인계 살충제를 뿌려 방제한다.

    15.배나무이 (pyrisuga)

     

    목/과명

    매미목/나무이과

     


    속명

    Psylla

     


    생태정보

    난 → 약충(5령) → 성충(유시)을 경과하고 연 1회 발생하며 성충으로 수피간극이나 수간의 쪼개진 틈에서 월동한다.
    이른 봄 발아기에 성충이 날아와 어린 눈과 꽃봉오리에 한 개씩 알을 낳는다.
    성충은 2∼4주일 동안 산란활동을 하며 총 100∼1000개의 알을 낳는다.
    약충기간은 3∼4주일이며 지금은 발생이 드물고 산에 가까운 과수원에서 간간히 발생된다


    피해정보

    유충과 성충이 어린잎, 꽃봉오리, 신초, 과실 등에 군서하면서 즙액을 빨아 먹으므로 잎이 말리고 그으름병이 발생하고 낙엽이 된다.

     


    방제방법

    겨울을 보내는 시기에 겨울을 보내는 형의 성충이 수상으로 대부분 이동한 시기인 3월 상순 기계유유제를 살포한다.
    기계유유제 처리는 성충이 구제할 뿐만 아니라 살아 남은 성충이 배나무 가지에 산란을 기피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개화전 발생이 심한 경우는 방제해야 한다.
    낙화 후에는 다른 해충과 동시에 방제한다.
    날씨가 서늘해지는 8월 중하순부터 다시 발생되므로 예찰을 철저히 하여 수확 후 발생이 많으면 방제해야 한다.

     

    16.배명나방 (pyrivorella)

     

    목/과명

    나비목/명나방과

     


    속명

    Ectomyelois

     


    생태정보

    연간 2회 발생하며 알 → 애벌레(5∼6령) → 번데기 → 어른벌레을 경과하며 애벌레는 배나무의 눈 속에서 월동하여 이듬해 4월경부터 눈 또는 화방의 기부로 먹어 들어가며 과실이 1cm 이상 커지면 과실 속으로 먹어들어 간다.
    한 마리가 여러 개의 과실을 가해하며 다 자라면 과실에서 나와 실을 토하여 과경을 가지에 붙들어 매고 과실 속에서 얇은 고치를 만들어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는데 번데기 기간은 7∼12일이다.
    늦은 여름부터 초가을까지는 특히 눈을 먹어들어 고사시키는데 제 2세대 유충은 1∼3개의 눈을 식해한 후 눈에서 월동하지만 식해를 받은 눈은 고사하여 탈락한다.
    제 1회 어른벌레의 발생시기는 5월 하순∼6월 중순이나 지역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고 산란전 기간은 3일정도 된다.
    산란은 특정한 장소에만 하는 것은 아니나 산란이 많은 장소는 눈 부근이나 과정부이고 한 개씩 산란한다.
    알 기간은 6월경에는 약 10일이다.
    부화한 애벌레은 바로 눈 속으로 먹어들어 가고 보통 짧은 열매가지의 눈을 먹어 들어가는 것이 많지만 중과지, 웃자람가지에서는 그 선단의 눈을 먹어 들어가는 것이 많다.
    식입 후 10일 전후로 2령 유충까지 발육하고 3령이 되면 과실로 옮겨간다.
    제 1세대에서 월동에 들어가는 것이 일부 있고, 7월 중순경부터 월동고치를 형성하기 시작하여 제 2회 어른벌레의 발생 전까지 고치는 완성된다.
    제 2회 어른벌레의 발생시기는 8월이고 산란 전 기간은 3∼4일, 알기간은 1주일 전후이다.
    제 1세대 애벌레과 같이 부화애벌레는 눈을 먹어 들어가고 2∼4엽을 침입해서 월동고치를 형성하고 그 속에 들어가서 월동한다.
    월동애벌레의 고치를 완성하고 끝나는 것은 9월 하순∼10월 상순경으로 부화부터의 기간은 20∼25일간 걸린다.


    피해정보

    애벌레가 배나무 발아기에 눈을 갉아 먹으며 제 1세대 애벌레는 과실을 먹어 들어가 큰 구멍을 내며 과심부에 이르고 낙과방지를 위해 과경을 가지에 고착시키고 식입 구멍으로 똥을 배출하는 특징이 있다.


    방제방법

    겨울을 보내는 애벌레가 들어 있는 눈이나 피해열매를 모아 불태우고, 봉지씌우기 전 피해열매를 제거하여 2화기 발생을 줄인다.
    발생이 심한 경우에는 복숭아심식나방 방제시기에 맞춰 등록약제를 살포하여 동시 방제한다.
    방제약제는 이 해충에 등록된 약제를 사용 방법에 따라 살포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충제 에스펜발러레이트.페니트로티온 수화제 16.25(1.25+15)% 신파마치온 Ⅲ급(보통독성) Ⅰ급 1000배 - 수확 30일 전까지 3회 이내 3a+1b (주)동방아그로
    살충제 에스펜발러레이트 유제 1.5% 적시타 Ⅲ급(보통독성) Ⅰ급 1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3회 이내 3a (주)동방아그로

    17.복숭아심식나방 (sasakii)

     

    목/과명

    나비목/심식나방과

     


    속명

    Carposina

     


    생태정보

    대부분 년 2회 발생하나 일부는 1회 또는 3회 발생하는 등 일정하지 않다.
    노숙유충으로 땅속 2∼4㎝에서 원형의 고치를 짓고 월동한다.
    5∼7월 겨울고치에서 나온 유충은 지표면 가까이서 방추형 여름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제 1회 성충은 6월 상순에서 8월 상순 사이에 발생하며, 2회 성충은 7월 하순∼9월 상순에 발생한다.
    8월 중순 이전에 과실에서 탈출한 유충은 지면에 떨어져 여름형 고치를 짓고 2화기에 발생하나 8월 중순 이후에 탈출한 개체는 모두 월동에 들어간다.


    피해정보

    유충이 바늘로 찌른 듯한 식입흔을 남기고 들어가 과실내부를 종횡으로 식해하므로, 어린 과실은 발육이 나빠지고 겉에 요철이 생겨 기형이 된다.
    노숙유충은 과실표면에 직경1∼2㎜의 구멍을 내고 탈출하나 겉으로 전혀 똥을 배출하지 않는다.


    방제방법

    피해과실은 보이는 대로 따서 물에 담구어 과실 속의 유충을 죽인다.
    상습 피해과원에서는 첫 산란시기인 6월 중순 이전 봉지를 씌어 재배한다.
    제 1화기 성충 발생이 6월 상순경이므로 산란 후 난이 부화하여 과실에 침입하기 저 6월 중순경부터 10일 간격으로 2~3회 방제해야 하고, 2화기 때는 8월 중순부터 10일 간격으로 1~2회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2022.06.22 - [병해충정보/과수] - 배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2022.06.22 - [병해충정보/과수] - 배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