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과수

배 주요 해충 TOP22 (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by 투농부 2022. 6. 22.
반응형

목차

    7.명주달팽이 (despecta)

     

    목/과명

    병안목/달팽이과

     

    속명

    Acusta

     

    생태정보

    국내에서 가장 흔한 종으로 전국의 논, 밭가의 돌 밑이나 풀 속 및 인가 주변과 시설 내 낙엽이나 잡초 아래 서식하며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종이다.
    노지에서는 봄 및 가을에 연 2회 발생하나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노지에서 달팽이는 6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 산란하며 11월부터 3월까지 동면한다.
    알은 직경 1.93㎜의 백색 구형으로 1회 약 28개의 알을 덩어리 형태로 낳으며, 18~25℃의 온실조건에서는 알을 낳은 후 12일 정도면 부화한다.
    노지에서는 년 1세대 경과한다.
    예찰은 달팽이는 껍질이 있어 땅속이나 돌 밑으로 들어가기가 어려워 주로 식물 잔재물이나 잡초 더미 속에 숨어 지낸다.
    그러므로 이들 은신처를 살펴보거나 민달팽이류와 같은 방법으로 예찰하면 된다.


    피해정보

    시설보다 노지에서 발생이 많고, 감귤, 포도, 키위 등 과수와 배추, 인삼 등 노지작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피해증상은 민달팽이나 달팽이와 마찬가지로 작물의 잎, 꽃 및 열매를 갉아먹거나 상처를 주어 수량을 감소시키며 점질액의 분미물에 의한 흔적으로 상품성을 저하시킨다.


    방제방법

    등록된 약제로 방제하면 되고, 가장 효과적인 방제법은 토양 표면이나 작물체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관리하여 달팽이 발생이 적게 되게 한다.
    또 달팽이는 산란 및 껍질 형성을 위해 칼슘이 많이 필요하므로 석회질의 사용을 억제한다.

     

    8.목화진딧물 (gossypii)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Aphis

     


    생태정보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시설내 박과작물에서 가장 문제되는 해충 중 하나이다.
    무궁화, 석류나무 등의 겨울눈이나 겉껍질에서 알로 겨울을 지낸다.
    이 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과 같이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10여 세대를 단위생식으로 번식한다.
    7~8월부터 한여름에는 밀도가 줄지만 9월부터 다시 번식이 왕성해진다.
    한세대 발육기간은 약 8일, 생식기간은 19일, 수명은 약 29일 정도이다.
    암컷은 70마리 정도의 새끼를 낳는다.


    피해정보

    성충이나 약충이 기주식물의 잎뒷면, 순 등에서 집단으로 서식하면서 가해를 한다.
    진딧물에 의한 작물의 피해는 일차적 흡즙에 의해 탈색, 왜소해질 뿐만 아니라 각종 식물바이러스를 전염시키므로 그 피해는 더 크다.
    또한 이들이 배설한 감로는 식물체의 잎을 오염시키고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동화작용을 억제시키거나 배설물에 의한 오염으로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방제방법

    목화진딧물의 피해가 나타난 후에 방제하는 것보다는 예방차원에서 방제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유묘기 때 온실 내의 면적이 적을 때는 눈이 가는 망사로 유묘상을 덮어 진딧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일단 목과진딧물이 발생하면 잎 뒷면에서 가해하여 방제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고 또 세대진전이 빨라 급속히 밀도가 높아지므로 발생 초기에 즉시 방제 할 수 있도록 수시로 잎 뒷면을 잘 살펴 보아야 한다.
    목화진딧물 방제용으로 등록된 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꽃이 핀 시기에는 약해가 나지 않도록 약제선택에 주의해야 한다.
    입제를 뿌리 주변에 조금씩 뿌려 주면 약성분이 침투이행되어 약효가 나타나므로 방제에 필요한 노동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9.미국선녀벌레 (pruinosa)

     

    목/과명

    매미목/선녀벌레과

     


    속명

    Metcalfa

     


    생태정보

    미국선녀벌레는 년간 1세대 발생하며 기주의 나뭇가지 틈에서 알로 월동한다.
    월동한 알은 5월 중하순에 부화하며, 1-5령 약충을 거쳐 60 - 70일 후에 성충이 된다.
    7월 중순부터 성충으로 우화하고 8월부터 산란을 시작하며, 야외에서 10월까지 발견되며, 암컷 1마리가 90개의 알을 낳으며 점프 및 비행을 통해 인접 기주식물로 쉽게 옮겨갈 수 있다


    피해정보

    미국선녀벌레는 포도나무, 감귤나무, 살구나무, 복숭아나무 등의 과일나무를 포함해 단풍나무나 버드나무, 느릅나무와 같은 활엽수에도 서식한다.
    미국선녀벌레 약충도 선녀벌레 처럼 흰색의 물질을 분비해 잎과 가지, 열매 등에 달라붙는다.
    이런 이유로 미국선녀벌레의 개체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 기생하는 나무가 생육 부진을 겪거나 잎이나 줄기 등에 그을음병이 나타나기도 한다.


    방제방법

    유충의 1차방제는 6월 중순부터 7월 초순까지, 성충은 1차방제를 7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2차방제는 8월 하순부터 9월초순까지 권장하고 있다.
    생물적 방제법으로는 약충기생봉인 미국선녀벌레 집게벌이 알려져 있으며 국내 토착천적으로 무당벌레와 풀잠자리가 약충을 포식하기도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뷰프로페진 액상수화제 25(5+20)% 깍지마기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2회 이내 4a+16 (주)한얼싸이언스
    살충제 브로플라닐라이드.에토펜프록스 유현탁제 23.5(3.5+20)% 나방노린채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14일전 2회 이내 30+3a (주)팜한농
    살충제 델타메트린 유제 1% 데시스 Ⅲ급(보통독성) Ⅰ급 1000배 - 수확 7일전 3회 3a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살충제 디클로르보스.람다사이할로트린 분산성액제 20.8(20+0.8)% 돌격대 Ⅲ급(보통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14일전 2회 1b+3a (주)팜한농
    살충제 벤퓨라카브.뷰프로페진 입상수화제 40(20+20)% 마일스톤 Ⅲ급(보통독성) Ⅱ급 1500배 - 수확 30일전 2회 이내 1a+16 (주)동방아그로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8% 모스피란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0일 전까지 3회 이내 4a (주)경농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8% 샤프킬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0일 전까지 3회 이내 4a (주)대유
    살충제 페니트로티온 수화제 40% 스미치온 Ⅲ급(보통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30일 전까지 2회 이내 1b (주)동방아그로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8% 어택트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0일 전까지 3회 이내 4a (주)한얼싸이언스
    살충제 아바멕틴.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10.7(1.2+9.5)% 완타치 Ⅳ급(저독성) Ⅰ급 2000배 - 수확 14일 전까지 2회 이내 6+29 (주)한얼싸이언스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8% 젠토스타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0일 전까지 3회 이내 4a 아그리젠토(주)
    살충제 설폭사플로르 액상수화제 7% 트랜스폼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3일전 3회 4c (주)팜한농
    살충제 피리플루퀴나존 액상수화제 6.5% 팡파레에스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14일전 3회 이내 9b (주)경농
    살충제 크로마페노자이드.에토펜프록스 유제 13(3+10)% 프라우스 Ⅳ급(저독성) Ⅱ급 1000배 - 수확 21일전 2회 이내 18+3a (주)동방아그로

    10.박쥐나방 (excrescens)

     

    목/과명

    나비목/박쥐나방과

     


    속명

    Endoclyta

     


    생태정보

    1년에 1세대 또는 2년에 1세대 발생한다.
    지표면에서 알로 월동하여 5월에 부화하고 어린 유충은 처음에는 연한 줄기 속을 먹다가 나무의 줄기나 가지로 이동하여 생활한다.
    번데기 기간은 2~4주간이고 갱도(坑道) 안을 자유로이 이동하며, 우화기가 가까워지면 뚫고 들어간 구멍에 번데기의 반 정도를 내놓고 우화한다.
    8월 하순~10월 상순에 우화한 성충은 박쥐처럼 저녁에 활발히 활동하며 날면서 많은 알을 땅에 산란한다.
    산란수는 3000~8000개이며 때로는 1만개 이상 낳기도 한다.
    예찰은 성충을 육안으로 직접 발견하기는 쉽지 않고, 유충의 발생을 조사한다.
    유충은 땅에서 위로 20㎝이내에 집중 가해하므로 이 지점을 중심으로 피해 흔적을 찾아본다.


    피해정보

    부화유충이 주로 땅에 접한 표피를 둥글게 가해하고 목질부로 파고 들어가 피해를 준다.
    가해하면서 배출한 배설물을 파고 들어간 구멍 입구에 붙여 놓고, 또한 피해를 받은 줄기는 잘 꺾어지므로 눈에 쉽게 띤다.
    살아있는 식물은 물론 말라죽은 나무에도 뚫고 들어 간 것을 볼 수 있다.


    방제방법

    유충이 줄기나 가지 속으로 들어가면 방제가 곤란하기 때문에 과원 내에 1차 기생식물인 잡초를 없애면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잔가지의 피해가 확인되면 전정하여 소각하고 큰 가지의 경우에는 먹어 들어간 구멍에 철사 등으로 직접 포살한다.

     

    11.배나무굴나방 (astaurota)


    목/과명

    나비목/가는나방과

     


    속명

    Spulerina

     


    생태정보

    년 2회 발생하고 가지의 표피밑에서 2령유충으로 월동한다.
    제1회 성충은 6월하순-7월, 제2회는 8-9월에 나타난다.
    일반 과수원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무방제원에서는 피해가 심한 경우가 있다.

     


    피해정보

    유충이 비교적 어린가지의 표피를 불규칙한 선상으로 먹고 다니며 점차 식해흔을 넓혀서 갈변하게 된다.
    이 부분은 후에 벗겨져 가루깍지벌레나 점박이응애의 월동처로 이용되며 드물게는 과실표피도 식해한다.

     

    12.배나무면충 (kuwanai)

     

    목/과명

    매미목/면충과

     


    속명

    Prociphilus

     


    생태정보

    가지의 눈기부에서 난으로 월동하여 4월에 부화한다.
    4∼6월에 걸쳐 주로 과총 잎에 피해를 주고 6월경 유시충이 나타나서 여름기주로 이주하여 여름동안은 배나무에서 발견할 수 없다.
    10월 상순이 되면 유시충이 배나무로 날아와서 월동알을 눈기부에 낳는다.

     

    피해정보

    신초 선단의 어린잎에 다발생하나 나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밀도가 급증하면 배설물인 감로가 신초나 과실에 그을음병을 유발사킨다.

     

     


    방제방법

    생육초기 발생 후 다른 기주로 이동하므로 배에 큰 피해는 주지 않는다.
    다른 해충방제와 동시방제 되도록 하고 겨울을 보내는 시기에 기계유유제를 살포한 경우에는 거의 문제되지 않는다.
    등록된 약제로 방제하면 효과적이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충제 뷰프로페진.설폭사플로르 액상수화제 15.1(12+3.1)% 기사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16+4c (주)경농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뷰프로페진 액상수화제 19(4+15)% 깍지킬골드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4a+16 아그리젠토(주)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8% 모스피란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0일 전까지 3회 이내 4a (주)경농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뷰프로페진 유제 19(4+15)% 바람탄 Ⅲ급(보통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0일 전까지 2회 이내 4a+16 (주)경농
    살충제 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50% 버팀목 Ⅳ급(저독성) Ⅲ급 10000배 - 수확 21일전까지 3회 이내 29 지우바이오텍 주식회사
    살충제 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50% 세티스 Ⅳ급(저독성) Ⅲ급 10000배 - 수확 21일전 3회 이내 29 ISK바이오사이언스 코리아(주)
    살충제 디노테퓨란 액제 10% 슐탄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4a (주)농협케미컬
    살충제 설폭사플로르 입상수화제 7% 스트레이트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4c (주)동방아그로
    살충제 플로니카미드 유상수화제 10% 애피킬 Ⅲ급(보통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14일전 3회 29 ISK바이오사이언스 코리아(주)
    살충제 플로니카미드 유상수화제 10% 애피킬 Ⅲ급(보통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14일전 3회 이내 29 (주)팜한농
    살충제 메톡시페노자이드.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16(8+8)% 에스지블루밍 Ⅲ급(보통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14일전 3회 이내 18+4a 한국삼공(주)
    살충제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10% 칼립소 Ⅲ급(보통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21일 전까지 3회 이내 4a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살충제 이미다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8% 코니도 Ⅲ급(보통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4a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살충제 아세타미프리드.에마멕틴벤조에이트 분산성액제 10(8+2)% 크레모아 Ⅲ급(보통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4a+6 (주)동방아그로
    살충제 피리플루퀴나존 입상수화제 10% 팡파레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9b (주)경농
    살충제 플로니카미드 입상수용제 50% 헥사곤 Ⅳ급(저독성) Ⅲ급 10000배 - 수확 14일전 3회 이내 29 ISK바이오사이언스 코리아(주)

     

    2022.06.22 - [병해충정보/과수] - 배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1편

    2022.06.22 - [병해충정보/과수] - 배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