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곰팡이병84

부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균핵병 병원체 Sclerotinia sclerotiorum 발생환경 부추 균핵병은 겨울철 하우스재배에서 발생하며, 과습하고 환기가 불량할 때 피해가 크다. 병원균은 균핵이 병든 식물체의 잔재물이나 토양에서 월동하여 다음해 1차 전염원이 되는 토양병원균으로 환경이 좋아지면 균핵이 발아하여 흰색의 균사를 뻗어 식물체에 침입한다. 병발생은 12월∼3월, 비교적 저온기에 하우스에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데, 5월 이후에는 병의 발생이 정지된다. 감염된 묘상에서 자란 묘가 다른 포장에 재식될 때 전염되며, 농기계에 묻은 흙에 의해서도 다른 포장으로 전반될 수 있다. 증상설명 뿌리와 줄기에 주로 발생한다. 발생초기에는 지하부 줄기에 회백색의 균사가 나타나고, 점차 진전되면 뿌리와 줄기가 썩는다. 심하면 지하부 줄.. 2022. 6. 19.
미나리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갈색무늬병 (褐斑病,Brown leaf spot) 발생환경 병원균의 월동은 아직 조사된 바 없으며, 밭 미나리 재배지에서 다소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에 발생한다. 잎에 처음에는 적갈색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불규칙한 대형 병반으로 확대된다. 심하면 잎 전체가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일찍 제거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테부코나졸 입상수화제 25% 구급탄 Ⅳ급(저독성) Ⅲ급 2000배 - 수확 14일 전까지 3회 이내 사1 지넥스(주) 살균제 디페노코나졸 수화제 10% 균가네 Ⅳ급(저독성) Ⅱ급 2000배 - 수확 7일 전까지 2회 이내 사1 선문그린사이언스(주) 살균제 아족시스트로빈 수.. 2022. 6. 19.
시금치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노균병 (露菌病,Downy mildew) 병원체 Peronospora farinosa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나 병든 식물체에서 균사로 월동하며, 땅속에서는 주로 난포자로 월동한다. 식물체에서 포자낭을 형성하는 온도 범위는 8~13℃이며, 포자낭의 발아 온도범위는 3~30℃이다. 다른 채소 작물에 발생하는 노균병과 마찬가지로 시설재배에서 발생이 많으며, 저온 (5~10℃)과 다습(상대 습도 95% 이상) 환경이 발병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증상설명 전 생육기에 발생되며, 노지재배보다 시설재배에서 발생이 더 심하다. 잎의 표면에 부정형의 황색 반점이 희미하게 퍼지고, 뒷면에는 회색 혹은 연보라색의 곰팡이 균체가 보인다. 병반은 점점 커져 잎 전체에 퍼지고, 암갈색으로 변해 말라죽는다. 심한 경우에는 .. 2022. 6. 19.
상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7.뿌리썩음병 (根腐病,Pythium root rot) 병원체 Pythium ultimum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속에서 난포자를 형성하여, 토양속에서 월동후 다시 발아하여 1차전염원이 된다. 기온이 다소 서늘하고(20℃이하) 토양이 다습한 조건에서 발생이 심하지만 외부 병징은 고온 건조시에 잘 나타난다. 병든 식물체내에서 난포자 상태로 월동한 병원균은 이듬해에 토양온도가 10℃이상이 되면 다시 발아하여 활동을 시작한다. 병원균은 물을 따라 전반되며, 관수후 2~3일내에 식물체를 침입한다. 전염원은 주로 토양에 존재하나 관수로 전염될 수도 있으며, 병원균은 상처 없이도 침입이 가능하지만 상처가 있을 때 침입이 더 용이하다. 종자전염이 가능하나 병원균은 주로 토양전염 되며, 작물이 습해를 받게.. 2022. 6. 18.
상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갈색무늬병 (褐斑病,Cercospora leaf spot) 병원체 Cercospora lactucae-sativae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잎에서 균사와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병은 아래쪽 잎에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위쪽 잎으로 전염되어 올라가는데, 주로 생육 후기에 이르러 발생한다. 증상설명 잎에 처음에는 수침상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암갈색의 부정형 반점으로 확대된다. 병반은 약간의 겹무늬로 나타나고, 그 중앙에는 눈동자와 같은 회색 반점이 형성된다. 심하게 감염된 잎은 병반들이 서로 융합하여 커지고, 잎이 누렇게 변하여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 - 병든 잎은 조기에 제거한다. - 재배 시 균형시비를 한다. 2.균핵병 (菌核病,Scler.. 2022. 6. 18.
양배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검은무늬병 (黑斑病,Black spot) 병원체 Alternaria brassicae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나 병든 부위에서 균사 혹은 분생포자의 형태로 월동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보통 가을철 비가 많이 온 후에 심하게 발생한다. 증상설명 처음에는 흑색의 작은 점무늬증상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확대된다. 후에 병반이 서로 융합하여 커지고, 심하면 잎이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건전종자를 선별하여 파종한다. -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 작물의 생육 중에 비료가 부족하기 않도록 주의하고, 균형시비를 한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디페노코나.. 2022. 6. 18.
배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13.역병 (疫病,Phytophthora root rot) 병원체 Phytophthora cryptogea 발생환경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거나 침수되면 발생하기 쉽다. 거의 모든 십자화과 작물에 발생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배추와 시금치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병원균은 종자 전염이 가능하나 대부분의 전염원은 토양에서 유입되며, 병든 식물체의 조직에서 균사나 난포자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에 다시 발아하여 1차 전염원이 되는데, 토양 온도가 10℃ 이상 올라가면 활동하기 시작한다. 배추 역병균은 국내에 널리 퍼져 있으며, 각종 채소와 약초류 및 수목 등을 침해하지만 아직 배추에는 큰 피해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배추 역병균의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배추는 감수성, 무는 중도저항성, 양배추, 케일, 치커리, .. 2022.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