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묘목심기
❍재식시기 : 봄심기 및 가을심기
❍심는거리 : 정방형식 6.0×6.0m Y자형 6.0×1.5~2.0m
❍수분수 섞어심기 : 주품종에 대하여 20~30% 수분수 혼식
■ 동계약제 살포
❍석회보르도액 : 만개직전 살포
❍석회유황합제 : 만개 20~30일전 살포
❍기계유유제 : 만개 50~60일전 살포
■ 시 비 (성목기준 kg/10a)
비료명 | 총량 | 밑거름 | 웃거름 |
질소 | 12.5 | 10 | 2.5 |
인산 | 6.2 | 6.2 | 0 |
칼리 | 10.0 | 6 | 4 |
퇴비 | 2000 | 2000 | |
석회 | 200 | (2~3년에 한번) | |
붕소 | 2 | (2~3년에 한번) |
■재배적 특성
학명 | Prunus ansu MAXIM |
분류 | 장미과 |
재배적지 | 연평균기온 11~15℃ 생육기(4월~10월)강수량 800~1000mm 한계저온 -20~-25℃ 개화기 전후 늦서리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 |
생리적 특성 | ㅇ 뿌리는 침수에 매우 약하므로 지하수위가 높거나 물빠짐이 나쁜 과원에서는 나무가 말라 죽음 ㅇ 경사지 재배의 경우 경사가 남~남서향이면 동해나 줄기마름병(동고병)의 발생 우려 ㅇ 최근 도입된 품종은 자가 불화합성이 있어 수분수의 혼식이 필요 (주품종의 20~30%) |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 내용 |
결실량 확보 | ㅇ 적과에 의한 결실량 조절 ㅇ 지나친 질소질 비료의 시비 및 강전정을 피함 ㅇ 수확후 약제방제를 통해 조기낙엽 방지 ㅇ 동해 및 늦서리 피해 예상지역은 연소법, 살수법, 송풍법으로피해 예방 ㅇ 수분수 섞어심기와 방화곤충 확보 |
붕소결핍현상 | ㅇ 신개간지 토양에서 발생하기 쉬움 ㅇ 증상 : 과실 표피 아래 부분이 코르크화되어 과면이 움푹 들어감 ㅇ 방지대책 : 3~4년에 주당 20~100g 붕소 살포 |
결실량 조절 | ㅇ 안정생산을 위한 착과수는 개화수의 20~30% ㅇ 열매솎기 시기 : 만개후 20~30일에 시작하여 만개후 40일까지는 마침 ㅇ 열매솎기 정도 : 중간크기의 과실은 2~3cm 당 1과, 큰 품종은4~7cm에 1과 |
열매터짐현상 | ㅇ 과피와 과육 조직 간의 비대속도가 균형을 이루지 못할 때 발생 ㅇ 수확직전에 비가 많으면 발생이 많아짐 ㅇ 방지대책 - 열매터짐이 적은 품종 선택 - 경핵기 이전에 관수시설로 토양건조 방지 - 수관밑 멀칭 재배 - 예초를 통해 잡초와 수분경쟁을 줄임 |
반응형
'농사일정 > 과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위(참다래)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2 |
---|---|
체리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2 |
사과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2 |
복숭아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2 |
배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