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정/과채류

파프리카 재배방법(농작업일정) - 하우스 재배

by 투농부 2022. 6. 1.
반응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식준비

❍시설내 공간소독 : 바이오스판(1.5kg/), 포르말린 400, P3 400

❍양액공급관 소독 : 차아염소산나트륨 100배액 1일 소독

 

 

 

  

❍고온기 온도유지 전략 필요

- 30℃ 넘지 않도록 냉방장치 설치

❍이식후 급액 EC : 2.03.0dS/m(3일간격 0.2상승)

❍양액공급 : 2-3일 간격(블럭무게 370g 이하에 급액)

❍진딧물 방제 철저(바이러스 예방)

 

 

 

  

❍재식밀도 : 150 X 33cm(10/3.3)

❍양액(EC 3.0dS/m)으로 정식 하루전에 슬라브 포수

❍활착 후(정식 5일후) 역병, 진딧물 예방농약 관주

 

 

 

 

 착과

4분지부터 줄기 당 3개 착과

❍배지함수율 65%, EC5~6dS/m, 배액 20%내외

❍주간 25, 야간 17, 탄산가스 600ppm 유지

 

 

 

 

 표준액

구분 NO3-N NH4-N P K Ca Mg S Fe B Mn Zn Cu Mo
단위 ----------mM--------- ----------μM---------
표준 17.5 0.8 4.2 7.1 5.2 1.9 1.6 0.95 0.36 0.55 0.26 0.051 0.048
중기       +0.5 -0.25                
후기 -0.5 -0.5   -0.5 +0.25                

 

 겨울철 생육관리

❍온도관리

- 착과기는 일몰 후 17℃까지 빨리 떨어뜨리고 11시부터 18

- 영양생장기는 일몰후 초저녁온도를 18℃까지 서서히 떨어뜨림

- 꼬리달린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착과기 저온장해 유의

 

 

 

 

 3 이후 생육후기

3그룹 수확기에 세력이 강한 측지 1본 추가유인

❍일출ㆍ몰 시간변경에 따른 급액시간 조절로 적정 함수율 유지

- 배꼽썩음과 및 미세열과 발생 경감

❍착색불량과 발생 경감을 위한 KCI 1~2mM 추가 공급

❍일소과 발생 경감과 광합성 효율증대를 위한 측지엽 확보

 

 

 

■재배적 특성

학명 Capsicum annum L.
분류 가지과
생육온도 발아적온 24~25℃ 육묘적온 22~25℃ 야간적온 18~20℃ 생육적온 22~25℃ 평균온도 19~22℃ 저장적온 10~12
생리적특성 ㅇ 가지과, 고추속, 고추종에 속하는 단고추(Sweet pepper) ㅇ 잎은 난형이며 엽병의 길이는 0.5~2.5
ㅇ 화관은 8~ 15, 수술은 5~6, 자방은 2~4개실
 1번 꽃은 8~10마디에 착생, 양측에 영양아가 발생
ㅇ 각각의 분지점에서 꽃눈 발육
주요기술  U자이식 : 관행대비 9% 증수
 2월 추가유인 : 관행대비 15% 증수
 KCl 2mM 시용 : 관행대비 소득향상 1,49 3,900/10a ㅇ 일출 90분 후 급액 : 관행대비 소득향상 1 ,184,900/10a
 4분지 착과 : 관행대비 소득향상 1,031 ,100/10a
ㅇ 어린묘(30일 전후) 정식으로 활착 촉진 및 강한 초세유지
ㅇ 겨울은 착과위주 관리, 봄가을은 초세유지 관리
ㅇ 경제적 탄산가스 농도 유지(400~600ppm)
ㅇ 충분한 군락엽면적 확보로 최대 광합성 유지

 

 

 

■작형별 출하시기

작 형 파 종 기 정 식 기 수 확 기
겨울재배 7~ 8~9 11~7
여름재배 2~3 3~4 6~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내용
역병, 잘록병 ㅇ 육묘기, 정식 후 활착기에 발생
ㅇ 이식시에 등록된 약제의 50%농도로 예방
ㅇ 정식 5일 후 등록약제 관주
담배나방 ㅇ 주로 육묘기나 생육초기에 발생
ㅇ 예방위주로 등록약제 살포
바이러스 ㅇ 육묘기에 매개충(진딧물, 담배가루이 등) 집중관리 ㅇ 바이러스 조기진단으로 확산방지
흰가루병 ㅇ 초기 착과기 배지건조 상황에서 발생 시작
ㅇ 고온건조의 발생 확산 조건을 피함
ㅇ 유황훈증이나 등록된 약제로 조기방제
꼬리달린과 ㅇ 겨울철 착과시 야간저온에 유의
배꼽썩음과 ㅇ 착과시 낮은 함수율에 의해 칼슘결핍 발생
ㅇ 환경이 급변하는 3월이후, 어린과실에 발생 많음
ㅇ 배지 함수율 65% 유지, 급액방법 조절
ㅇ 염화칼슘이나 질산칼슘 0.1%액 살포
미세열과 ㅇ 성숙단계의 과실에서 많이 발생
ㅇ 시설내 습도 및 첫 급액시간 조절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