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과수

감귤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4편

by 투농부 2022. 6. 26.
반응형

 

18.접목부이상병 (接木部異常病,Bud-union disorder, Tattar leaf-citrange stunt)

 

병원체

Citrus tatter leaf virus

 


발생환경

접목 및 즙액에 의해 전염된다.
바이러스를 무독화하는 방법으로 주간 40℃, 야간 30℃로 3개월간 처리하면 효과가 있다.


증상설명

대목과 접수간의 불친화로 인하여 접목부위 바로 위의 접수부위가 팽대해 지고 그 부분의 껍질을 벗겨 보면 대목과 접수 사이가 뚜렷한 이층이 생겨서 잎에서의 동화산물이 뿌리로 이동하는 것과 뿌리에서 흡수한 양,수분들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여 결과적으로 수세가 약화된다.
어린 묘목의 경우 황화되고 강한 바람이나 약간의 충격에도 쉽게 그 부위가 부러진다.
하지만 감염된 모든 나무가 이런 불친화 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지 잎이 작아지고 수세가 약해지기도 한다.
또한 멕시칸라임, Citrus excelsa, citrange 등에서는 잎이 부분적으로 황화되고 뒤틀리는 증상을 보인다.


방제방법

- ELISA법과 사과줄기홈바이러스의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RT-PCR법에 의해서 쉽게 진단할 수 있으며 러스크시트레인지(rusk citrange)와 청명아주등이 진단에 이용되는 지표식물이다.
- 다른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접목 시 건전한 접수를 사용하며 일단 증상이 보이거나 검정하여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나무는 과감히 잘라 내는게 좋다.

 

 


19.청색곰팡이병 (靑黴病,Blue mold)

 

병원체

Penicillium italicum

 


발생환경

균사생장과 병 발생 적온은 20~25 ℃ 이며 10~30 ℃ 에서는 병 진전이 상대적으로 녹색곰팡이병에 비해 느리지만 10 ℃ 이하에서는 녹색곰팡이병보다 발병이 심하다.
따라서 저온 저장 시, 그리고 상온 저장의 경우 1~2월 경에 많이 나타난다.
침입과 포자형성의 주기(cycle)는 한 시즌에 저장고에서 여러번 반복된다.
따라서 주의를 하지 않으면 병원균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그 피해가 매우 클 수가 있다.

 


증상설명

초기에 연부로 시작되기는 녹색곰팡이병과 비슷하지만 녹색곰팡이병과 같이 급속하게 연부조직이 확산되지 않으며 금방 포자가 형성되어 청색의 포자로 뒤덮히고 시간이 지나면서 회청색으로 변한다.
가장자리에 흰색의 띠가 형성되는 것은 녹색곰팡이병과 유사하지만 그 폭은 녹색곰팡이병에 비해 상당히 좁다.


방제방법

- 예방적 차원에서 상처 과일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상처 과일을 저장해서는 안된다.
- 저장 중 감염되지 않도록 저장 전 저장고 소독을 해주고 미리 건조를 하거나 수확 전에 등록약제를 살포하여 과일표면의 과습을 방지한다.
저장고의 환기를 철저히 하며 되도록 저온을 유지함으로써 병 진전 속도를 늦추고 저장 중 부패과를 선별, 제거하여 저장고내 병원균 밀도 를 최대한 낮게 유지한다.

 

 

 


20.탄저병 (炭疽病,Anthracnose, White tip)

 

 

병원체

Gloeosporium foliicolum


발생환경

병 발생은 서남면 경사지로써 강한 햇빛을 받는 곳에서 많고 특히 비대기가 끝날 무렵부터 비가 내린 직 후 바람없이 맑은 날씨가 될 때 발생이 많다.
한 나무중에서도 남서측 수관 표면의 상, 중부 과실에 많고 보통 9월 하순경부터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기상조건 특히, 9월 상중순 기후의 영향이 발생을 좌우하기 때문에 년차별 발생 변동이 크다.


증상설명

과피가 얇은 계통에서 발생이 많으며 특히 극조생 계통에서 피해가 크다.
초기에는 강한 햇빛에 의해서 과일표면 온도가 국부적으로 상승하고 2, 3개의 유포가 파괴되어 소립 반점으로 되고 점차 확대되어 크게는 과일 표면의 50 % 이상에서 병징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보통 일소증이라 한다.
착색기가 되어도 병반 주변은 착색이 잘 되지 않아 녹색으로 남아 있지만 점차 시간이 지날수록 착색이 되기 때문에 외관이 좀 나빠져도 큰 피해는 없다.
하지만 습윤한 기상이 계속되고 그 정도가 심해지면 과일표면에 잠재해있던 탄저병균이 강한 햇빛으로 인해 파괴된 유포로부터 번식하기 시작하여 병반이 급격히 확대 되어 갈색으로 되고 중앙부는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분생포자층인 흑색소립점이나 담육색의 포자괴를 형성하고 함몰하게 된다.
이러한 부패 과일은 수확을 포기해야 하기 때문에 피해가 매우 크다.
또한 이들 병반과는 다른 형태의 병반이 연한 잎에서 발생하는데 노지의 경우 주로 장마기 때에 발생한다.
잎의 끝부분부터 물러지고 진한 갈색 또는 고동색으로 썩어 들어가다 최종적으로는 낙엽이 된다.
약간 건조한 조건에서는 감염부위를 중심으로 제한된 괴사모습을 보인다.
외국에서는 postbloom fruit drop과 lime anthracnose도 보고 되고 있다.


방제방법


- 햇빛을 많이 받는 과실에 차광천을 씌워 주는 게 효과적이다.
병에걸린 과일을 제거한다.


21.흰곰팡이병 (白黴病,Sour rot)

 

발생환경

이 병은 특히 플라스틱 용기속에서 운송하거나 저장하여 과습이 됐을 때 매우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병원균은 토양에서 발생하여 수확 전이나 수확 후에 여러 종류의 상처를 통하여 감염되어 과실을 부패시키는데 주로 토양에 정착하여 있다가 비가 올 때 빗방울이 오염된 토양에서 튀기거나 바람에 의해 과실로 병원균이 전파되는데 주로 수관 밑의 과실에서 발생된다.
또한 수확 중에 땅에 떨어지거나 토양이 묻어서 저장된 과실일수록 발병율이 높다.
병이 진전되면 고약한 냄새를 발생시켜 상품성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파리를 유인하고 포장상자를 젖게 하여 운송에서도 문제가 된다.
이 균은 오직 상처에 의해서만 병원성을 가지나, 과피가 연약해지면 부패된 과실과 인접한 과실에 발병되기도 한다.
온주밀감에서는 상처접종 시 2일 후에 병징을 보인다.
이 병의 발생은 기후 및 지리적 요건에 따라 해마다 다르게 발생되지만, 부피과, 과숙과 및 오래 저장된 과실에 높은 발병율을 보인다.
또한 병이 진전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습도가 요구되며, 온도는 10℃이상(최적 25~30℃)에서 병원균이 감염될 수 있으며 2 ℃이하에서는 병원균의 활성이 없다.


증상설명

보통조건에서는 건전부위와 병에 걸린 부위간에 외관상 거의 색감 차이를 보이지 않으면서 병에 걸린 부위는 물러지며 빠르게 썩는다.
포장상자 속의 병징은 주로 흰색 포자괴가 물결을 이루며 시큼하고 불쾌한 냄새가 난다.
주로 푸른곰팡이병, 녹색곰팡이병과 더불어 복합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방제방법

- 불결한 과실을 저장 전에 선별하고 특히 곤충이나 수확 시 전정가위에 의해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 해야한다.
- 저장 용기 및 저장고내의 청결을 유지하고 저장 전 예조를 철저히 행하여 저장 중 과습하지 않도록 하며 환기에도 신경을 써야한다.
- 유통 시 상자의 압상에 유의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오래 방치하지 않아야 한다.

 


 

2022.06.26 - [병해충정보/과수] - 감귤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2편

2022.06.26 - [병해충정보/과수] - 감귤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3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