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번식방법
❍종자,삽목,분주법, 휘묻이법
- 주로 종자를 이용한 실생 번식법 이용
■ 주요 관리작업
❍중경 및 제초
- 정식후 수시 중경 및 제초실시 : 뿌리부근 자극방지
❍지주세우기
❍낙과 방지
- 토양에서 오는 낙과방지
- 양분 결핍에서 오는낙과방지
❍전지 : 저년생 줄기에서열매맺는 결과습성
- 땅에 불필요한 번식지 제거
- 노목갱신 위한 햇줄기 대처
- 여름 도장지, 번식지제거 수세회복 결실 증대
- 항상예비지 둘것
■ 정 식
❍정식시기 및 재식거리
- 시기
- 봄 : 3월하순~ 4상순
- 가을 : 10월중~ 하순
- 재식거리 : 이랑나비 1~1.2m ×주간거리 60cm 2열배식
❍시비량
- 밑거름(kg/1구덩이) : 완숙퇴비3, 깻묵0.5, 계분1
- 웃거름(2년째부터) : 6월중~하순, 8월상~중순 (완숙퇴비4kg, 복합비 50g/주당)
■ 수확 및 조제
❍수확시기 : 9상순 ~10하순
※ 정식 3년째 수확시기(성숙기 5년째)
- 중만생종으로 익음상황따라 수확
- 맑은날 아침이슬 마른후 수확 품질향상
❍조제
- 수확열매음건 : 1주간 건조
※ 건조도중 비맞으면 품질저하
- 건조기 이용시 적정 온도 유지 : 40℃전후
※ 건조 오미자 종이봉지, 마대 포장 보관
❍수량(10a) : 120kg/3년생 270kg/4년생
■ 재배특성
* 주성분 : Schixandrin, Gomisin A~Q, Citral
* 분 포 : 중북부
* 용 도 - 열매 : 자양(滋養), 강장(强狀), 진해(鎭咳), 익신(益腎), 윤폐(潤肺), 지한(止汗)
※ 오미자술, 오미자차, 오미자쥬스 등
* 형 태
- 줄기 : 낙엽만경(蔓莖)으로 5~8m 까지 자람
- 잎 : 호생(互生)하며 타원형(楕圓形) 또는 도란형(倒卵形)
-열매 : 9~10월 성숙 심홍색(審紅色)
* 재배적지
- 기후 : 전국재배 가능하나 반음지로 서북향의 서늘하고 경사도 낮은지대
- 토양 : 배수잘되고 통풍이 좋으며 부식질이 많은 적습한 사질양토 좋음
※ 뿌리는 세근성이며 호기성으로 지하 3m 내외 옆으로 자라므로 지대에서는 생육불량
* 품 종 : 오미자(북)
* 번 식 : 실생, 분주, 분근, 삽목 및 접목법(주로 실생 및 삽목번식 이용)
■ 작형별 출하시기
작형 | 파종기 | 정식기 | 수확기 | 출하기 | 성출하기 | 저장출하기 |
보통재배 | 3하~4상 | 3하~4상 | 9상~10하 | 11상~4하 | 1상~2하 | 5상~8하 |
■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대책
항목 | 내용 |
가뭄피해 | * 파종후 짚 등 덮기로 수분증발억제 발아율 향상 * 덮은 짚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사전조치 * 관수가능지역 스프링클러 이용 입모율 향상 |
장마(습해) | * 배수구 정비로 습해 사전예방-낙엽방지 * 습해로 인한 병발생 포기 조기제거 |
낙과방지 | * 토양에서 오는 낙과방지 - 산성토양개량: pH 5~6 - 배수와 통기양호한 적지 선택 * 양분의 결핍에서 오는 낙과방지 -마그네슘 결핍방지:마그네슘 5~6kg/10a -붕소결핍방지:5상순 붕사 3~4kg살포/10a |
병해 | * 흰가루병, 갈반병, 뿌리썩음병 방제 - 흰가루병 7하순 4-4식 보르도액, 갈반병 6월상순 유황합제 100배액 살포 |
충해 | * 응애방제 : 적용응애약 수시살포 |
'농사일정 > 특용작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약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5 |
---|---|
율무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4 |
시호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4 |
마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4 |
산수유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