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정/화훼

포인세티아 재배방법(농작업일정)

by 투농부 2022. 6. 3.
반응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포인세티아

 

 

 

 

  

❍삽목시기 : 가을 출하용은 5~6월 겨울 출하용은 7~8

❍삽수조제 : 청결한 칼이나 가위를 이용 5~8cm 길이로 조제

❍발근배지 : pH 5.5~6.5의 청결하고 배수성이 좋은 모래, 피트,

펄라이트, 질석, 오아시스 등 배지온도 22~24

❍삽목환경 : 삽목후 즉시 미스트 가동하여 수분스트레스 최소화

 

 

 

  

❍발근묘를 다공성의 깨끗한 용토에 정식

❍용토의 pH 5.5~6.5 범위가 적당 피트와 펄라이트 혼합용토 주로 사용

 

 

 

  

❍재배품종의 분지력과 분크기를 고려하여 적심

- 10cm  : 4~5마디위에서 적심

- 15cm  : 6~7마디위에서 적심

 

 

 

 생장억제제 처리

❍적심 후 신초길이가 3~5cm 될 때 처리 살포나 토양관주 처리

❍이른 아침이나 저녁에 처리 고온강광하에서 살포처리하면 잎에 황화현상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화아분화 이후에 처리하면 개화가 지연되고 포엽폭이 축소될 수 있음

 

 

 

 

 단일 처리

❍촉성재배시 개화기대일로부터 8~10주전부터 1 14시간이상 암막처리

 

 

 작형별 출하시기

작 형 삽목 재배 출하기
전조 및 차광재배 1~1 2~5 5~6
차광재배 5~5 6~8 9~10
자연재배 7~8 8~11 11~12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병해

항목 내용
잿빛곰팡이병 ㅇ 잎과 줄기에 갈색의 타원형 반점 발생
ㅇ 방제 : 시설내부 과습방지, 칼리질비료 시용, 여러 약제의교호살포
역병 ㅇ 수생성 곰팡이균이 줄기, , 뿌리에 침입하여 지제부의 줄기가 검게 변하며 지상부가 급격히 시들어버리는 증상
ㅇ 방제 : 장마철, 환절기 등 다습한 시기에 살균제를 충분히 관주처리

충해

항목 내용
온실가루이 ㅇ 잎 뒷면에서 흡즙하여 퇴색 및 위축현상 발생 심할 경우 고사하거나 온실가루이가 배출한 감로에 그을음병이 발생하여 상품가치 저하
ㅇ 방제 : 수프라사이드, 데시스 등으로 방제. , 유충, 성충은 잎 뒷면에 붙어 있으므로 약제가 잎 뒷면에 골고루 묻도록 살포
꽃노랑총채벌레 ㅇ 어린 잎을 주로 가해하며 흡즙한 상처부위는 잎이 전개되며 비뚤어지거나 기형이 되어 상품가치 하락
ㅇ 방제 : 코니도, 올스타, 리전트 등을 2~3일 간격으로 2~3회 간격으로 연속 방제

생리장해

항목 내용
세갈래 줄기 갈라짐 ㅇ 적심하지 않은 줄기선단이 자연적으로 세갈래로 갈라져 분지되는 현상
ㅇ 대책 : 충분한 일장조건과 광도에서 영양생장. 6~8매이상 성엽이 부착된 과숙한 가지는 삽수로 사용하지 않음
배상화서 조기 탈락 ㅇ 실제 꽃인 배상화서가 성숙하기 전에 탈락
ㅇ 대책 : 낮은 광도, 고온, 수분스트레스에 의해 주로 발생하므로 충분한 광조건, 재배 후반기 온도 강하, 수분스트레스 방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