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팔레놉시스

■ 개화기관리
❍온도관리
- 밤 : 15~18℃
- 낮 : 24℃~29℃가 적당
- 거실의 경우에는 창가에 놓는 것이 개화에 도움이 된다.
- 창가는 외기의 온도 변화 잘 반영
- 밤기온이 15도 내외일 때면
- 밤동안 베란다에 놓아두는 편이 좋음
- 농장에서는 인위적으로 온도를 높였다가 떨어뜨려 꽃눈 형성
■ 생장기 관리
❍생장기 : 새 뿌리, 새잎발생으로 생장기 판단
❍시비
- 시기 : 4월중 생장기에 비료를 줌.
- 농도 : 1500배 액비를 물 대신 가을까지 줌. 또는 물주기와 별도로 주 1회1000배 액비를 주어 튼튼하게 키움
❍물주기 : 물을 주는 방법은 마른 후
❍분갈이 : 생장기에 들어가기 시작했을 때 실시함
❍온도 : 20~28℃관리
❍병,해충방제
- 세균성병 다발생하므로 항생제 등을 살포, 해충발생은 민달팽 이가 주로 발생되므로 ‘나메톡스’ 등 구제약을 놓음
❍두는 장소
- 햇빛을 매일 7~8시간 쬐고, 강한 햇빛 피하고 50% 차광
■ 화아분화기 관리
❍생장기와 휴지기 구분 : 관리 온도가 기준
❍온도 : 최저 20℃
- 난방실시
❍광 : 약한 차광
- 늦가을부터는 햇빛을 오래 쬐도록 해서 포기를 튼튼하게 만듦.
❍물주기 : 표면이 마르면 줌
❍비료 : 주지 않음
■ 겨울관리(온도, 수분관리 주의)
❍봄까지는 될 수 있는 대로 추위에 노출되지 않게 함
- 20℃ 이하 관리는 잎, 꽃에 저온피해 발생 우려
❍물주기 : 실내 온도에 따라 다름
- 15℃ 이상일 때 최저 15℃로 유지시 표면이 마르면 줌
- 10℃정도일때는 물이 말라도 1~2일 후 관수
* 낮은 온도에서 관수는 뿌리를 썩게하는 원인이 됨
■ 재배적 특성
학명 | Phalaenopsis spp |
분류 | 난과 |
생육온도 | 육묘적온 25~28℃ 생육적온 25~28℃ 개화적온 23~25℃. |
재배적지 | 시설재배 작물로 시설 내 온도가 15~35℃ 범위의 전국 |
생리적 특성 | ㅇ 고온성작물, CAM성 식물이며 건조한 지역 잘 견딤 - 저온에서는 피해가 심함 ㅇ 생육적온 : 주간 25~30C, 야간 20~25C ㅇ 화아분화는 온도 18~20℃, 단일조건하에서 촉진됨. 주간 25℃ 야간 20℃에서 꽃대발생 100% - 온도가 높고 장일조건이면 꽃눈이 잎눈으로 변화하여 고아로 발달 ㅇ 적정광도는 15,000~30,000Lux임 ㅇ 수분관리는 재배온도에 따라 다르게 하며 약간 건조하게 관리함 |
주요기술 | ㅇ 적정재배 온도관리와 함께 화아분화기에 단일조건하에서 온도 주간 25℃, 야간 20℃, 100% 꽃대가 발생됨 |
■ 작형별 출하시기
작 형 | 입 식 기 | 화아분화기 | 개화기 |
보 통 재 배 | 3하~4상 | 9하~10상 | 1~3월 |
촉 성 재 배 | 12하~1상 | 6하~7상 | 10하~11상 |
억 제 재 배 | 8중~9상 | 3상~3하 | 6하~12상 |
■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 내용 |
저온 | ㅇ 저온피해 온도 : 10℃ 이하 ㅇ 난방기 가동 |
강광 | ㅇ 차광망 설치 ㅇ 환기 |
잎의 생육이상 | ㅇ 이상묘 확인주 제거 ㅇ 온도, 광 등 적정 재배조건하 관리 |
'농사일정 > 화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지아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3 |
---|---|
포인세티아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3 |
튤립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3 |
칼랑코에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3 |
칼라 재배방법(농작업일정) (0) | 2022.06.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