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정/화훼

장미 재배방법(농작업일정)

by 투농부 2022. 6. 3.
반응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장미

 

 

 

 

 우량풍좀 선택

❍고온과 저온에 강한 품종

❍내병성과 내공해성이 강한 품종고품질 다수성 품종

❍절화수명이 길고 수송, 저장력이 강한 품종

❍수요자의 기호에 맞고 국제 경쟁력이 있는 품종

 

 

 

 국내 육성품종

❍스탠다드 : 펄레드(), 스노우볼(), 허니레몬(), 오렌지쥬얼(주황), 핑크볼(분홍), 핑크엔젤(분홍/)

❍스프레이 : 핑크레이디(/분홍), 써니레이디(), 핑키(진분홍),스노우벨()

 

 

 고품질 장미 생산기술

❍재식밀도 : 3.3㎡당 16~23 (주간거리 20~30cm)

❍재배환경 관리

낮온도 : 24~27

밤온도 : 15~18

광도 : 50,000Lux 이상

- CO2 : 1,000~1,500ppm (일출후 2~3 시간)

 

 

 병해충 방제

❍발병시기

- 흰가루병 : 5~6월과 9 (온실에서는 연중)

- 노균병 : , 가을철의 밤온도가 낮을 때

- 잿빛곰팡이병 : 저온기, 장마기 습도가 높을때, 또는 겨울철 환기

불량 시 발생

- 응애류 : 고온건조기

- 총채벌레 : 고온기(야행성이므로 오후에 약제살포)

- 진딧물 : 4~6월과 9~10 (온실에서는 연중)

❍방제법

- 저항성 품종 선택

- 과습방지, 전염원 조기제거

- 예방위주 적용 약제 방제

 

 

 절화 수확 요령

❍수확시기

- 여름철 : 꽃받침이 수평으로 전개될 때

- 겨울철 : 꽃잎이 벌어지기 시작할 때

❍화위치 : 1~2 5매엽 상단

❍선별 : 절화길이 10cm 단위로 10송이씩 다발 포장

 

 

 

작형별 출하시기

구 분 정식기 출하기 수확기 단경기
연중재배 2~5 연중 연중 없음
여름재배 2~5 5~11 5~11 12~4


※ 세계 3대 절화의 하나로 우리나라 절화재배 면적의 17.2%를 차지하고 있으며 ’91년 이후 비약적인 성장을 하였고 ’03년 최대의 면적을 보였으나 서서히 700ha 선에서 안정화 되고 있음 ㅇ 주재배지역 : 고양, 파주, 김해, 부산, 강진, 태안 ㅇ 주재배품종 : 비탈, 티네케, 사피아 등

ㅇ 출하물량은 연중 출하되나 2-6월에 집중되고 있으며 가격동향은 졸업시즌과 연말 수요로 12-2월이 가장높게 형성되고 있음

 

 

 출하규격

초장(cm)-1등급 초장(cm)-2등급 초장(cm)-3등급 1속본수
70이상 70-60 60-50 10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내용
블라인드 현상 ㅇ 꽃눈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퇴화되는 현상
ㅇ 주요 원인 - 광조건 불량, 낮은 야간온도 조건 - 잎수 부족에 따른 영양생리 장해
ㅇ 방지 대책 - 겨울동안 광조건 개선 - 야간의 최저온도를 14℃ 이상으로 관리 - 환경불량이나 병해충 발생에 의한 낙엽현상 방지
기형화 발생 ㅇ 화변이 짧고 화변수가 많아서 꽃봉우리가 짧고 단단해 지는 현상
ㅇ 주요원인 - 화아분화 초기의 저온에 접했을 경우
ㅇ 방지 대책 - 꽃눈 분화기 보온관리 철저
화색변화 ㅇ 박카라 등의 품종에서 꽃색깔이 검게 나타나는 현상
ㅇ 주요원인 - 온도의 일교차가 심하고 햇빛조건이 불량할 때
ㅇ 방지대책 - 광선, 온도, 등 재배환경 개선 관리 철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