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정/화훼

온시디움 재배방법(농작업일정)

by 투농부 2022. 6. 2.
반응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온시디움

 

 

 

  

❍조직배양 (메리크론묘, 실생묘)

❍봄에 포기 나누기

❍분갈이 : 봄에 새싹이 나오기 시작할 무렵

 

 

 영양생장기 관리

❍재배환경관리

- 낮온도 : 25

- 밤온도 : 15

- 공중습도 : 60~70%

- 차광 : 50~60%

- 배지 : 바크, 훈탄, 수태 등

❍시비

- 하이포넥스 1000~1,500배액 (2~6월까지 월 2~3)

- 완효성 고형비료 (오스모코트, 몰코트, 롱커 등)

 

 

 개화 조절

❍고랭지 재배

- 벌브가 3~4개된 개화주 이용

- 7월상순부터 9월중순까지

- 관수 : 약간 많이 하지만 과습이되지 않도록 주의

- 시비는 5월경까지

- 고랭지에서 재배된 주는 화아가 일제히 나오며 개화도 빠르지만 평지 재배보다 크게 차이는 나지 않음 이것은 화아분화, 개화가 저온보다는 일장에 큰 영향을 미침

❍전조에 의한 일장조절기술

- 화경출현 후의 전조를 40일간 처리할 경우 개화가 억제

(품종간 차이는 있음)

 

 

 

 병해충  생리장해

❍발병시기

- 부패병 : 고온다습시

- 연부병 : 고온다습시

- 응애 : 고온건조시

- 달팽이 : 장마철

❍생리장해

- 고온장해 : 품종에 따라 반점이 생김

- 건조 : 잎이 쭈글거리거나 벌브가 쭈글거림

 

 

 

 

재배적 특성

재배적지 pH 5.5, 수태, 바크, 훈탄혼용(바크 등)
개화특성 ㅇ 온도와 개화 보이시엔스의 신경생장과 화경출현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이 고온에서 촉진. 그러나 화경의 분지수와 화경당 소화수는 오히려 15℃에서 많아짐. 즉 화아형성과 개화의 속도는 고온에서, 화수의 증가는 저온에서 촉진. 이점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10℃ 이하에서는 화경이 출현하지 않고, 30℃에서는 신장하기 시작한 화서가 고사
ㅇ 일장과 개화 일장의 영향은 벌브의 생장단계에 따라 반응이 다르다

 

 

재배 품종  원종 특성

구 분 원 종 관 수 비 고
얇은 잎
(薄葉種)
앵글로섬, 앤시페룸, 케이로포룸,콘컬러, 포베시, 프렉스오섬, 레우코키룸, 매크라툼, 마샤리아눔, 오브리점, 오니소린쿰, 포에리, 푸베스, 라나페룸, 바리코섬 등 (적온 : 15℃이상, 차광 : 여름 50~60%) 충분히 분에식재하고 통풍이 잘되게
두꺼운 잎
(厚葉種)
비카로섬, 카벤디시아눔, 크라메리아눔, 란세아눔, 파피리오, 피마트키룸, 스프렌디담, 스트라미네움 등 (적온 : 15℃이상, 차광 : 여름 0~30%) 건조하게 헤고판
막대모양 잎
(棒狀葉種)
카로키룸, 세보레타, 죠네시아넘. 스플세이 등 (적온 : 15℃이상, 차광 : 여름 0~30%) 건조하게 헤고판
낫모양 잎
(劍狀葉種)
데셀트눔, 푸시룸, 데트라페다룸, 트리쿠에트룸, 바리에가툼, 풀케럼 등 (적온 :20℃이상 차광 :여름 0~30%) 공중습도로유지됨 헤고판
생리장해
항목 내용
고온장해  '샤리베이비'라는 품종에 있어 잎에 바이러스에 의한 괴저로 검은 반점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 증상은 고온 30℃이상이 되면 생김. 개화주의 경우는 고랭지에 옮긴다든가 온도를 낮추어 관리
주야간온도차 ㅇ 특히 봄과 가을, 주야간의 온도 교차가 심할 경우 새 벌브에서 전개되는 잎이 융단처럼 포개져 주름이 생김
엽소현상 ㅇ 빛이 강할 경우 엽색이 누렇게 변색되고 생육이 저하되므로 적정 차광 조건(50% 차광)을 유지
극 건조 ㅇ 건조에 강하나 건조가 심할 경우 모벌브도 쪼그라드는 현상발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