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리2

보리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6.속깜부기병 (堅黑穗病,Covered smut) 병원체 Ustilago hordei [ = Ustilago hordei ] 발생환경 속깜부기병균은 후막포자(동포자)형태로 종자에 부착하거나 토양 속에서 겨울을 보낸다. 종자가 발아하면서 포자도 발아하여 소생자를 형성하고 이것이 자엽초(떡잎짚)를 침입한 후 생장점 아래에 도달한다. 꽃이 형성될 때 균은 씨방 조직으로 들어가서 종자 대신 균 덩어리를 형성한다. 후막포자는 전체 이삭을 둘러싸는 막 내에 존재하다가 수확기에 방출된다. 증상설명 깜부기병은 속깜부기병과 겉깜부기병이 있다. 속깜부기병은 겉깜부기병보다 피해가 적고 건전한 보리보다 다소 늦게 출수하거나 많은 경우에는 잎집에 싸여 출수하지 못한다. 암갈색~흑색의 후막포자 덩어리가 씨알에 발생하며 백색의 피.. 2022. 6. 9.
보리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1.겉깜부기병 (裸黑穗病,Loose smut) 발생환경 겉깜부기병균은 종자의 배에서 휴면 균사체로 생존한다. 감염종자가 발아하면 병원균도 발아하여 경정부위로 이동하고, 종자 원기에 도달한다. 모든 이삭조직은 후막포자로 전환된다. 후막포자는 보리 개화기에 바람에 의해 비산하여 주두와 자방벽을 침입한다. 균사체는 세포사이로 퍼져나가며 주로 배반조직에 존재한다. 개화기 중 상대습도가 높고 16~22℃의 온도가 유지되면 균의 포자 발아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개화기간을 증가시켜 포자가 화기조직과 접촉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므로 서 균의 침입을 쉽게 한다. 증상설명 깜부기병은 속깜부기병과 겉깜부기병이 있다. 겉깜부기병은 출수 직후 씨알에 발생하며 화기 전염한다. 출수기와 성숙기사이에 뚜렷하여 처음 발병된 이삭은 검.. 2022.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