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론2 멜론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과실썩음병 병원체명 Acidovorax citrulli 발생환경 과일썩음병은 30℃ 이상의 고온·다습 환경에서 발생 증상설명 발병 초기에는 엽맥이 수침상으로 갈변하는 병징에 의해 노균병과 구분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발병 후기에 엽육세포도 갈변하는 증상은 노균병과 유사하여 노균병과 혼동하기쉽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현미경 관찰을 통해 세균 분출을 확인하거나 진단키트 검사가 필요합니다. 방제방법 발병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고 의심 증상이 있는 식물체는 바로 제거합니다. 발병 초기에 전문약제를 살포하여 전염을 예방합니다. 하우스 내부의 환기를 자주하여 습도가 높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2.괴저반점바이러스병 병원체명 Melon necrotic spot virus 발생환경 병원 바이러스는 직경 30㎚내외의.. 2022. 6. 15. 멜론 재배방법(농작업일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토양수분관리 ❍정식하여 활착기까지는 토양수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관리 ❍활착후에는 점차 수분을 줄여 교배기에는 건조하게 관리 ❍과실비대기에는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여 과실 비대를 촉진 ❍수확기에는 토양수분을 줄여서 당도의 축적을 유도 ■ 멜론의 비료성분 흡수량 구분 질소 인산 칼리 석회 마그네슘 주당흡수량 예 1 (1주 1과) 예 2 4.4g 1.6 6.8 9.3 1.2 5.5 2.2 6.7 7.5 2.6 10a당 흡수량 예 1 (2,400주 정식) 예 2 10.6kg 3.8 16.8 22.3 2.7 13.2 5.3 16.2 18.0 6.2 * 일반적으로 멜론의 비료 흡수량은 그다지 많지 않다 시비량은 흡수 되지 않거나 용탈 또는 휘산되는 양이 있기 .. 2022. 5.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