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검은점무늬병 (黑點病,Black spot)
병원체
Phomopsis sp.
발생환경
병자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후 병포자를 비산하여 전염원이 된다.
증상설명
과실과 잎에 발생한다.
과실에서는 소립의 까만 점이 다수 형성되어 상품가치를 떨어트린다.
잎에서는 처음 원형의 검은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부정형으로 확대되면서 병반의 내부는 갈색을 띠고, 병반의 테두리는 암갈색 내지 흑색을 띤다.
방제방법
- 병든 과실은 조기에 솎아내어 땅속에 파 묻는다.
- 병든 낙엽은 모아서 불태운다
2.그을음병 (煤病,Sooty mold)
병원체
Capnophaeum fuliginodes
발생환경
깍지벌레류 등의 배설물에 기생하면서 비, 바람에 의해 주로 전염되고, 간혹 곤충이나 새 등에 의해서도 전염된다.
증상설명
잎, 가지, 과실에 발생한다.
보통 깍지벌레류 등의 배설물이 묻어 있는 부위에 그을음모양의 균총이 형성된다.
심하면 잎이나 가지의 생장이 불량해지고, 과실은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방제방법
- 깍지벌레류 등의 방제를 철저히 한다.
3.둥근무늬낙엽병 (圓星落葉病,Circular leaf spot)
병원체
Mycosphaerella nawae
발생환경
병든 잎에서 자낭각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다음 자낭포자를 비산하여 전염원이 된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 병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주로 잎에 발생하며 드물게 감 꼭지에도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에 흑색의 둥근 반점이 형성되고 병반이 확대되면서 병반의 내부는 담갈색 내지 적갈색을 띠고 병반의 테두리는 흑자색을 띤다.
원형병반이 융합하면 부정형으로 커지고 오래된 병반에는 자낭각이 형성되어 흑색의 소립점으로 보인다.
병 발생이 심한 잎은 일찍 떨어져 나무의 생장 및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방제방법
- 이른 봄 과수원의 낙엽을 모아 불태운다.
- 비배관리에 유의하고 수세가 약해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 예방에 중점을 두어 약제를 살포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캡탄.플루트리아폴 입상수화제 | 57.5(50+7.5)% | 과수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 카+사1 | (주)팜한농 |
살균제 | 이프로디온 수화제 | 50% | 균사리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마3 | (주)팜한농 |
살균제 | 이프로디온 수화제 | 50% | 균프로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마3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크레속심메틸.트리플루미졸 액상수화제 | 35(20+15)% | 드림하트 | Ⅳ급(저독성) | Ⅱ급 | 1500배 | - | 수확14일전 | 3회 | 다3+사1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보스칼리드.피라클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20.4(13.6+6.8)% | 라이센스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30일전 | 4회 이내 | 다2+다3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메펜트리플루코나졸 액상수화제 | 10% | 레빅사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3회 이내 | 비대상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이프로디온 수화제 | 50% | 로데오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마3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이프플루페노퀸 액상수화제 | 20% | 미기와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7일전 | 3회 | 비대상 | (주)경농 |
살균제 | 이프로디온 수화제 | 50% | 벤프로디온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전 | 5회 이내 | 마3 | 유원에코사이언스(주) |
살균제 | 카벤다짐.디페노코나졸 입상수화제 | 15(6+9)% | 블루칸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사1 | (주)신농팜케미컬 |
살균제 | 카벤다짐.디페노코나졸 입상수화제 | 15(6+9)% | 블루칸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나1+사1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이프로디온 수화제 | 50% | 새노브란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마3 | 선문그린사이언스(주) |
살균제 | 이프로디온 수화제 | 50% | 인바이오이프로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마3 | 인바이오(주) |
살균제 | 이프로디온 수화제 | 50% | 잿빛곰팡이마름뚝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마3 | (주)대유 |
살균제 | 디메토모르프.메트코나졸 액상수화제 | 36(16+20)% | 콤파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3000배 | - | 수확14일전 | 3회 | 아5+사1 | (주)천지인바이오텍 |
살균제 | 피라클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20% | 쾌청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20일전 | 4회 | 다3 | (주)새한농 |
살균제 | 테부코나졸.트리플록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 30(20+10)% | 크리티컬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30일전까지 | 3회 이내 | 사1+다3 | 아그리젠토(주) |
살균제 | 플루트리아폴 액상수화제 | 20% | 클라웃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21일전 | 3회이내 | 사1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카벤다짐.테부코나졸 액상수화제 | 25(12.5+12.5)% | 탄탄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30일전 | 3회 | 나1+사1 | (주)경농 |
살균제 | 트리플루미졸 수화제 | 30% | 트리후민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 사1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디페노코나졸 수화제 | 10% | 푸른대로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5회 이내 | 사1 | 유원에코사이언스(주) |
살균제 | 이프로디온 수화제 | 50% | 프로디온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5회 이내 | 마3 | ㈜이엑스아이디 |
살균제 | 디메토모르프.메트코나졸 액상수화제 | 36(16+20)% | 하드코어 | Ⅳ급(저독성) | Ⅲ급 | 3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 아5+사1 | (주)한얼싸이언스 |
4.모무늬낙엽병 (角斑落葉病,spotted leaf cast)
병원체
Cercospora kakivora
발생환경
균사체로 겨울을 지낸 후 분생포자를 비산하여 공기전염하는 것으로 추정되나 아직 상세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다.
증상설명
잎이 처음에는 원형의 흰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병반이 다각형으로 변하는데, 병반의 중앙부위는 담황색이고, 주위는 암갈색을 띤다.
심하게 걸린 잎은 일찍 말라서 떨어진다.
방제방법
- 수세를 강하게 관리하고 균형시비를 한다.
- 이른 봄 낙엽을 모아 불태운다.
- 동계방제를 철저히 하고 포자가 비산되는 6-7월경에 집중 방제를 한다.
5.잎마름병 (葉枯病,Leaf blight)
병원체
Pestalotiopsis guepini (Desmaz.)
발생환경
병든 부위에서 균사의 형태로 겨울을 지낸 후 분생포자를 비산하여 공기전염 한다.
증상설명
주로 잎에 발생하며, 간혹 가지와 과실에도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 부정형의 작은 암갈색 반점으로 나타나며 진전되면 암갈색의 부정형 병반으로 확대되면서 병반 내부에 형성된 분생포자층이 흑색의 작은 점으로 보인다.
심한 경우에는 병반이 확대되어 잎이 마른다.
가지와 과실에서는 일정한 병반을 형성하지 않고 표면에 흑색의 소립점으로 나타난다.
방제방법
- 심하게 발병되었을 경우에는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2022.06.25 - [병해충정보/과수] - 감 주요 병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병해충정보 > 과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25 |
---|---|
감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25 |
블루베리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24 |
블루베리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24 |
블루베리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0) | 2022.06.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