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해충정보/엽채류

샐러리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by 투농부 2022. 6. 20.
반응형

 

1.검은무늬병 (黑斑病,Early blight)

 

병원체

Cercospora apii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의 형태로 월동하여 1차전염원이 된다.
시설재배 포장에서 심하게 발생하며, 과습하고 밀식된 포장에서 피해가 크다.
병든 식물체에서 채종하면 종자전염도 된다.

 


증상설명

잎, 줄기, 잎자루에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 황녹색, 수침상의 작은 반점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회갈색 내지 암갈색의 원형병반으로 확대된다.
줄기와 잎자루에는 수침상의 타원형 병반이 형성되고, 진전되면 암갈색 병반이 된다.
심하면 잎과 줄기가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포장내의 습도를 줄여준다.
- 밀식하지 말고 웃자람을 방지한다.
- 병든 식물체는 조기에 제거한다.

 

 


2.무름병 (軟腐病,Soft rot)

 

병원체

Erwinia carotovora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殘滓), 혹은 토양 속에서 존재하다가 1차전염원이 된다.
또한 고자리파리를 위시한 파리목 곤충의 번데기속에서 독립적으로 월동하여 다음해의 1차전염원이 되기도 한다.
병원균은 보통 곤충의 유충이 기주를 가해함과 동시에 침입하며, 또한 일반적인 상처를 통해 침입하기도 한다.
침입한 세균은 펙틴분해효소를 분비하여 세포벽 중엽(中葉)의 펙틴질을 분해하고, 또한 섬유소 분해효소로 세포벽 섬유소를 분해하여, 세포사이로 이동하면서 인접한 세포를 파괴함으로서 무름증상을 나타낸다.

 


증상설명

줄기의 지제부에서 병반이 형성되어 위쪽으로 점점 진전되면서 담갈색 수침상으로 썩는다.
진전되면 감염부위가 물러 썩고, 악취가 난다.


방제방법

- 벼과나 콩과 작물로 돌려짓기한다.
- 이 병원균은 건조에 약하므로 배수와 통풍이 잘되는 밭을 선택한다.
- 등록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더보기
살균제 옥시테트라사이클린칼슘알킬트리메틸암모늄 수화제 17% 성보싸이클린 Ⅳ급(저독성) Ⅲ급 1000배 - 수확 7일 전 2회 이내 라5 성보화학(주)

3.잎마름병 (葉枯病,Late blight)

 

병원체

Septoria apiicola

 


발생환경

병원균은 종자 혹은 병든 식물체의 병든 부위에서 병자각의 형태로 월동후, 병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병든 식물체에 붙어 있던 병원균이 토양에 유입되면 토양전염이 된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비가 오는 시기에 병포자가 흩날려 병이 전염된다.

 


증상설명

주로 잎에 발생하며, 잎자루와 줄기에도 간혹 발생한다.
잎에서는 처음에 자주색의 작은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원형의 적자색 병반으로 확대된다.
병반의 주위는 황색을 띠며, 병반의 중앙부위는 회색으로 변하면서 흑색의 소립점이 보인다.
심하게 감염된 잎은 황갈색으로 변하여 말라죽는다.
잎자루와 줄기에는 자갈색 내지 암갈색의 타원형 병반으로 나타나고, 오래된 병반에는 병자각이 형성되어 흑색의 소립점으로 보인다.


방제방법

- 건전한 종자를 선별하고, 소독하여 파종한다.
- 퇴비를 시용하여 작물의 초세(草勢)를 좋게 한다.
- 재배시 균형시비(均衡施肥)를 한다.

 

 


4.잿빛곰팡이병 (灰色黴病,Gray mold)

 

병원체

Botrytis cinerea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부위에서 균핵 혹은 분생포자의 형태로 월동하여 전염원이 된다.
시설재배시 기온이 20℃내외이고 습도가 높을 때 많이 발생하며, 노지재배시는 여름철 장마기때 주로 발생한다.
과실의 감염은 주로 꽃이 달린 부위에서부터 시작되므로 과실이 커지면서 꽃이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 품종에서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잎과 줄기에 발생한다.
잎과 줄기에 처음에는 작은 수침상의 적갈색 병반이 나타나고, 진전되면 갈색 부정형의 대형병반으로 확대된다.
심하면 잎과 줄기가 말라죽는다.
병반상에는 잿빛의 곰팡이가 형성되고, 땅가부분의 줄기에는 흑색 균핵이 형성된다.


방제방법

- 실내의 온도와 습도관리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 병든 과일이나 잎은 제거하고 포장을 청결하게 한다.
- 통풍과 투광을 좋게 한다.
- 분생포자의 밀도증가가 매우 빠르므로 초기방제가 매우 중요하다.
- 병원균의 약제내성이 매우 빠르므로 계통이 다른 등록약제를 번갈아 살포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