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균핵병 (菌核病,Sclerotinia rot)
병원체
Sclerotinia sclerotiorum
발생환경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내에서 균핵의 형태로 월동하거나 감염된 식물체내에서 균사상태로 월동한 다음, 발아하여 자낭반과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자낭포자는 식물체의 약한 부위에 부착하여 침입하며, 균핵 및 균사체로부터 발아하여 뻗어 나온 균사가 식물체를 직접 침해하기도 한다.
습도가 높고, 기온이 15~25℃의 서늘한 상태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
줄기와 잎에 발생한다.
주로 줄기의 지제부에서부터 병반이 나타나며, 감염부위는 물러 썩고, 그 위에서 흰 균사가 자라며, 후에 부정형의 검은 균핵이 형성된다.
심하게 감염된 그루는 전체가 썩고,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뽑아내어 땅속 깊이 파묻는다.
- 시설재배 포장에서는 저온다습(低溫多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아주심기후 비닐을 멀칭하여 재배하면 멀칭하지 않은 재배에 비해 병발생 억제효과가 있다.
- 담수(湛水)가 가능한 곳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담수하여 균핵을 부패시킨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디에토펜카브.티오파네이트메틸 수화제 | 55(25+30)% | 골자비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2회 이내 | 나2+나1 | (주)동방아그로 |
살균제 | 보스칼리드.피라클로스트로빈 입제 | 1.05(0.8+0.25)% | 벨리스플러스 | Ⅳ급(저독성) | Ⅰ급 | 6㎏/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다2+다3 | (주)경농 | |
살균제 | 보스칼리드.플루디옥소닐 액상수화제 | 28.5(23.5+5)% | 에스원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2회 이내 | 다2+마2 | (주)팜한농 |
살균제 | 디페노코나졸.피리벤카브 액상수화제 | 16(6+10)% | 차단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다3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펜티오피라드 유제 | 20% | 크린캡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다2 | (주)경농 |
살균제 | 펜피라자민 입상수화제 | 60% | 펜피라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 까지 | 3회 이내 | 사3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헥사코나졸.티플루자마이드 입제 | 3(2+1)% | 핵폭탄 | Ⅳ급(저독성) | Ⅲ급 | 4㎏/10a | 파종·정식기 | 1회 이내 | 사1+다2 | (주)팜한농 |
2.모자이크병 (Mosaic)
병원체
Turnip mosaic virus
발생환경
CMV ; 무모자이크병 참조. WMV는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 19종의 진딧물이 옮기며, 비영속형전염을 한다.
또한 즙액전염을 하므로 상처부위가 접촉될 때도 전염이 된다.
획득 흡즙시간은 30초이며, 진딧물의 보독기간은 5시간이고, 1시간 정도 지나면 50%이하로 전염율(傳染率)이 떨어진다.
WMV의 1차전염원은 병든 식물의 유체(遺體)에서 비롯되는데, 최근에는 작물이 시설하우스내에서 연중 재배되고 있으므로 전염원은 항상 존재하고 있다.
이 병은 호박, 참외, 오이, 박, 수박, 메론 등 과채류와 수 종의 콩과 작물에서 자연발생이 잘 된다.
증상설명
2종류의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된다.
CMV에 의한 증상은 잎에 명료한 황색의 모자이크로 나타난다.
TuMV에 의한 증상은 잎에 처음에는 황색반점(黃色斑點)으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황색의 모자이크로 변하며, 심하면 잎이 위축(萎縮)되고, 기형(奇形)이 된다.
방제방법
○ CMV 방제
- 진딧물이 전염시키므로 진딧물의 기주를 제거한다.
-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 작물의 잔재물을 제거하고, 작물의 파종시기 및 옮겨심기 시기를 조절한다.
- 바이러스의 잠재적인 보존원인 잡초나 중간기주를 제거한다.
- 전염원이 되는 병든 식물은 발견 즉시 제거한다.
○ TuMV 방제
- 유채, 무, 배추, 시금치, 쑥갓, 참깨 등에서 자연발병이 되므로 계속하여 재배하지 말아야 한다.
- 유묘 단계에서 2차 바이러스 전염원이 되는 이병주를 제거한다.
- 진딧물에 의해 주로 전염되므로 등록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을 방제한다.
- 전염원이 되는 배추과 잡초를 제거한다.
3.잘록병 (立枯病,Damping-off)
병원체
Rhizoctonia solani
발생환경
병원균의 균사융합군은 AG-4이다.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혹은 토양내에서 균사나 균핵의 형태로 존재하며, 월동후 발아하여 균사가 식물체의 지제부 혹은 지하부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킨다.
보통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발병이 잘 된다
증상설명
유묘기에 잘록증상으로 나타나며, 병든 묘는 잘 쓰러지고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병발생이 심한 포장은 다른 비기주작물과 돌려짓기를 한다.
- 포장의 토양이 다습(多濕)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병해충정보 > 엽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갓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0) | 2022.06.19 |
---|---|
쑥갓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0) | 2022.06.19 |
부추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0) | 2022.06.19 |
미나리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0) | 2022.06.19 |
시금치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0) | 2022.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