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담배거세미나방 (litur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가온을 하는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남부지방에서 많이 발생하며, 연 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발생 시기는 5월 상순, 6월 중하순, 7월 하순, 8월 하순, 9월 하순으로 발생최성기는 4세대 발생기인 8월 하순이지만 해에 따라 돌발적으로 발생한다.
알기간은 7일, 유충기간은 13일, 번데기 기간은 10~13일, 성충의 수명은 10~15일, 산란수 1,800개, 난괴로 낳으며, 산란한 알은 인편으로 덮어둔다.
성충은 우화 후 2~5일 동안 1,000~2000개의 알을 100~300개의 난괴로 잎 뒷면에 산란한다.
유충은 일반적으로 6령을 거치지만 온도에 따라 다르고,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진다.
성충수명은 암컷 9.8일~11.7일, 수컷 13.8일~15.8일로 수컷이 암컷보다 길다.
노숙유충은 식물체 주변의 토양내에 흙고치를 짖고 번데기가 된다.
피해정보
거의 모든 채소류와 밭작물은 물론 과수 화훼 특용작물 사료작물 정원수 잡초 가로수 등을 가해하며, 알에서 부화한 어린 유충은 군집생활을 하고 2~3령이 되면 분산한다.
발생이 많으면 식물체의 줄기만 남기고 폭식하는 경우도 있다.
방제방법
시설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침입을 막는다.
야간에 황색등 설치로 교미를 못하게 하여 알을 낳지 못하게 한다.
어린 유충발생기(3령이하)에 약제를 살포해야 효과적이며, 유충은 야간에 활동하는 습성이 있어 작물체에 붙어있는 아침이나 저녁에 약제를 살포하면 방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곤충병원성선충, 또는 곤충기생균을 이용한다.
곤충병원성선충의 살포는 자외선이 없는 햇빛이 없는 시간에 하고 젖을 정도로 흠뻑 뿌려 주어야 한다.
약제방제시 저항성 개체의 출현이 빨라 방제에 어려움이 있으나 적용약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2.명주달팽이 (despecta)
목/과명
병안목/달팽이과
속명
Acusta
생태정보
국내에서 가장 흔한 종으로 전국의 논, 밭가의 돌 밑이나 풀 속 및 등 인가 주변과 시설 내 낙엽이나 잡초 아래 서식하며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종이다.
노지에서는 연 1회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나 간혹 봄, 가을에 연 2회 발생하고, 시설에서는 연중 발생한다.
노지에서 달팽이는 6월 하순부터 8월 하순까지 산란하며 11월부터 3월까지 동면한다.
알은 직경 1.93㎜의 백색 구형으로 1회 약 28개의 알을 덩어리 형태로 낳으며, 18~25℃의 온실조건에서는 알을 낳은 후 12일 정도면 부화한다.
예찰은 달팽이는 껍질이 있어 땅속이나 돌 밑으로 들어가기가 어려워 주로 식물 잔재물이나 잡초 더미 속에 숨어 지낸다.
그러므로 이들 은신처를 살펴보거나 민달팽이류와 같은 방법으로 예찰하면 된다.
피해정보
시설보다 노지에서 발생이 많고, 감귤, 포도, 키위 등 과수와 배추, 인삼 등 노지작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피해증상은 민달팽이나 달팽이와 마찬가지로 작물의 잎, 꽃 및 열매를 갉아먹거나 상처를 주어 수량을 감소시키며 점질액의 분미물에 의한 흔적으로 상품성을 저하시킨다.
방제방법
민달팽이류와 동일한 방법으로 방제하면 되며, 가장 효과적인 방제법은 토양 표면이나 작물체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관리하여 달팽이 발생이 적게 되게 한다.
토양중에 석회가 결핍되면 발생이 많아지므로 석회를 시용하고, 발생이 많을 때는 유인제를 이용하여 방제한다.
3.목화진딧물 (gossypii)
목/과명
매미목/진딧물과
속명
Aphis
생태정보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시설내 박과작물에서 가장 문제되는 해충 중 하나이다.
무궁화, 석류나무 등의 겨울눈이나 겉껍질에서 알로 겨울을 지낸다.
이 진딧물은 복숭아혹진딧물과 같이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10여 세대를 단위생식으로 번식한다.
7~8월부터 한여름에는 밀도가 줄지만 9월부터 다시 번식이 왕성해진다.
한세대 발육기간은 약8일, 생식기간은 19일, 수명은 약 29일 정도이다.
암컷은 70마리 정도의 새끼를 낳는다.
피해정보
성충이나 약충이 기주식물의 잎뒷면, 순 등에서 집단으로 서식하면서 가해를 한다.
진딧물에 의한 작물의 피해는 일차적 흡즙에 의해 탈색, 왜소해질 뿐만 아니라 각종 식물바이러스를 전염시키므로 그 피해는 더 크다.
또한 이들이 배설한 감로는 식물체의 잎을 오염시키고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동화작용을 억제시키거나 배설물에 의한 오염으로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린다.
방제방법
진딧물은 비가 많이 오면 밀도가 떨어진다.
이와 반대로 가뭄이 지속되면 다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방제조치를 해야한다.
시설재배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비래해 오는 진딧물을 차단한다.
입제 농약을 정식할 때 구멍을 파고 0.5~2g씩 넣어주거나, 희석제를 살포한다.
약제 살포여부 결정은 진딧물 발생추이를 관찰하여 천적 발생이 없거나, 발생환경이 좋아 지속적으로 밀도 증가가 예상될 때 살포한다.
이와달리 천적 발생이 많거나 발생환경이 좋지 않아 밀도증가가 멈출때는 약제방제를 하지 않는다.
천적으로 콜레마니진디벌, 진디혹파리, 무당벌레, 풀잠자리, 꽃등애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콜레마니진디벌이 시설작물에서 널리 이용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스피로테트라맷.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 22(11+11)% | 깍지탄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14일전 | 2회 | 23+4a | (주)팜한농 |
살충제 | 에토펜프록스.피메트로진 유현탁제 | 18(10+8)% | 킹스타일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7일전 | 2회 | 3a+9b | (주)천지인바이오텍 |
살충제 | 클로란트라닐리프롤.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 19(4+15)% | 큐어링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배 | 5㎖/주 | 정식전 | 1회 이내 | 28+4a | 성보화학(주) |
살충제 | 벤퓨라카브 입제 | 3% | 큐라스타 | Ⅳ급(저독성) | Ⅱ급 | 4㎏/10a | 정식기 | 1회 이내 | 1a | (주)동방아그로 | |
살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 | 10% | 코사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입제 | 2% | 코모도 | Ⅳ급(저독성) | Ⅲ급 | - | 3g/주 | 수확 45일 전까지 | 2회 이내 | 4a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입제 | 2% | 코만도 | Ⅳ급(저독성) | Ⅲ급 | - | 3g/주 | 수확 45일 전까지 | 2회 이내 | 4a | (주)팜한농 |
살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 | 10% | 코니도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주)팜한농 |
살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입제 | 2% | 코니도 | Ⅳ급(저독성) | Ⅲ급 | - | 3g/주 | 수확 45일 전까지 | 2회 이내 | 4a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살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 | 10% | 코니도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살충제 | 피메트로진 수화제 | 25% | 체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3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9b | 신젠타코리아(주) |
살충제 | 피메트로진 수화제 | 25% | 체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3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9b | (주)농협케미컬 |
살충제 | 아바멕틴.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 10.7(1.2+9.5)% | 완타치 | Ⅳ급(저독성) | Ⅰ급 | 3000배 | - | 수확 7일전까지 | 3회 이내 | 6+29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디노테퓨란 수화제 | 10% | 오신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주)팜한농 |
살충제 | 티아메톡삼 입상수화제 | 10% | 아타라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신젠타코리아(주) |
살충제 | 티아메톡삼 입제 | 1.5% | 아타라 | Ⅳ급(저독성) | Ⅲ급 | 3㎏/10a | 정식기 | 1회 이내 | 4a | 신젠타코리아(주) | |
살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 | 10% | 아리이미다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주)농협케미컬 |
살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입제 | 2% | 아리이미다 | Ⅳ급(저독성) | Ⅲ급 | 3g/주 | 수확 45일 전까지 | 2회 이내 | 4a | (주)농협케미컬 | |
살충제 | 카보설판 입제 | 3% | 쏘버린 | Ⅳ급(저독성) | Ⅲ급 | - | 3g/주 | 정식기 | 1회 이내 | 1a | (주)팜한농 |
살충제 | 카보설판 입제 | 3% | 쌀지기 | Ⅳ급(저독성) | Ⅲ급 | - | 3g/주 | 정식기 | 1회 이내 | 1a | (주)경농 |
살충제 | 아피도피로펜 분산성액제 | 2.5% | 세피나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3회 이내 | 미분류 | 성보화학(주) |
살충제 | 클로티아니딘 수화제 | 8% | 세시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0일 전까지 | 3회 이내 | 4a | 성보화학(주) |
살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입제 | 2% | 비리아웃 | Ⅳ급(저독성) | Ⅲ급 | 3g/주 | 정식기 | 1회 이내 | 4a | 인바이오(주) | |
살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입제 | 2% | 베테랑 | Ⅳ급(저독성) | Ⅲ급 | 3g/주 | 수확 45일 전까지 | 2회 이내 | 4a | (주)동방아그로 | |
살충제 | 아피도피로펜 미탁제 | 2.5% | 베르시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2회 이내 | 미분류 | (주)농협케미컬 |
살충제 | 카보설판 입제 | 3% | 마샬 | Ⅳ급(저독성) | Ⅲ급 | - | 3g/주 | 정식기 | 1회 이내 | 1a | (주)농협케미컬 |
살충제 | 플로니카미드 입상수화제 | 10% | 록키 | Ⅳ급(저독성) | Ⅲ급 | 3000배 | - | 수확 7일전 | 3회 이내 | 29 | (주)태준아그로텍 |
살충제 | 이미다클로프리드 입제 | 2% | 노다지 | Ⅳ급(저독성) | Ⅲ급 | 3g/주 | 수확 45일 전까지 | 2회 이내 | 4a | (주)경농 |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 과립훈연제 | 15% | 히든키 | Ⅳ급(저독성) | Ⅲ급 | - | 50㎎/㎥ | 수확 2일전 | 2회이내 | 4a | (주)팜한농 |
4.아메리카잎굴파리 (trifolii)
목/과명
파리목/굴파리과
속명
Liriomyza
생태정보
성충은 300~400개를 산란하며, 알은 대부분 잎의 앞면에 산란하지만 뒷면에 산란하는 경우도 있다.
알부터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15℃에서 47~58일, 20℃에서 23~28일, 25℃에서 14~15일, 30℃에서 11~13일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모든 기주에서 발육기간이 급격하게 짧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발육 영점온도는 알 7℃, 유충 8℃, 번데기 10℃이며, 발육 상한온도는 약 35℃로 추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4년 1월 전남 광주 광산구 거베라 하우스에서 최초 발견되었으며, 유럽으로 부터 화훼류 수입 시 침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에서 노지 월동 여부는 불확실하나, 시설에서는 휴면없이 연중 발생하므로 15회 이상 발생할 수 있다.
예찰은 황색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예찰할 수 있다.
피해정보
유충은 잎속에 구불구불한 굴(터널)을 뚫어 가해하며, 성충은 잎에 붙어 즙을 핥아먹거나 산란하여 잎에 작은 반점을 남기는 피해를 준다.
피해는 국화과(국화, 상추), 가지과(가지, 토마토), 박과(수박, 오이, 참외, 호박, 멜론), 미나리과(셀러리), 쥐손이풀과(거베라) 등에서 나타난다.
유충이 엽육 속에서 굴을 파고 다니면서 가해하며 피해 흔적이 흰색으로 보인다.
초기 피해는 불규칙하게 도로가 난 모양이나 심하면 잎 전체가 갈색으로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
시설재배지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성충의 유입을 차단시킨다.
유충의 피해가 없는 건전한 묘를 정식한다.
천적으로 기생벌인 굴파리좀벌, 잎굴파리고치벌이 있다.
이 해충은 잎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생육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과실에는 직접 영향을 주지않기 때문에 피해가 직접 손실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자생 천적의 발생이 많아 심한 발생이 염려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농약사용은 신중히 해야한다.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을 고려하여 약제방제를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테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 | 18.18% | 바이고 | Ⅳ급(저독성) | Ⅲ급 | 5,000배 | - | 수확 14일전 | 2회 | 28 | 바이엘크롭사이언스(주) |
살충제 | 사이안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 | 18.66% | 베리마크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배 | 8㎖/주 | 정식기 | 1회 이내 | 28 | (주)팜한농 |
살충제 | 스피노사드 입상수화제 | 10% | 부메랑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5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사이안트라닐리프롤 유현탁제 | 10% | 엑시렐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배 | 8㎖/주 | 정식기 | 1회 이내 | 28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스피노사드 입상수화제 | 10% | 촌장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5 | (주)경농 |
5.오이총채벌레 (palmi)
목/과명
총채벌레목/총채벌레과
속명
Thrips
생태정보
성충 수명은 20℃에서 37일, 25℃에서 28일 정도이며, 양성생식과 단성생식을 겸하므로 번식이 빠르다.
성충은 주로 식물체의 과경, 꽃받침, 엽맥, 엽병, 엽육 등의 조직 내에 1개씩 낱개로 산란하며 한 마리 성충이 약 100개를 산란한다.
알 기간은 4~5일로 부화한 유충이 2령을 경과하여 다자란 유충이 되면 지면으로 떨어져 땅속에서 2~3㎝ 깊이의 흙 속이나 낙엽 밑, 비닐 밑 등에서 제 1, 2번데기가 된 후 성충이 된다.
1세대를 경과하는데 25℃에서 14~18일 걸리고, 시설 내에서는 연간 15세대 이상 발생하며, 발육 한계온도는 11~12℃이다.
어린 유충과 성충의 예찰은 작물체의 잎 뒷면을 확대경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백색 또는 황색 끈끈이트랩을 작물의 상부 20~30㎝ 위에 매달아 놓고서 총채벌레 성충이 끈끈이에 부착하였는지 확인하는 방법으로 쉽게 총채벌레 발생을 예찰할 수 있다.
간이적인 예찰법으로는 작물체에서 해충을 육안으로 보기가 어려우므로 흰색종이를 조사하는 부분 아래에 두고 작물체를 톡톡쳐서 종이에 떨어진 해충을 관찰한다.
피해정보
밀도가 높아지면 다 자란 잎에서도 잎 뒷면을 가해하여 황화현상이 나타나고 잎 전체가 말라죽기도 한다.
총채벌레는 노란색과 흰색을 좋아하므로 오이, 고추 등의 꽃이 피면 꽃에 달려들어 어린 과일을 가해한다.
따라서 피해 받은 과일은 자라면서 기형과가 되거나 과실의 껍질에 회색 또는 갈색의 지저분한 상처 흔적이 많이 남고 갈색으로 변하면서 콜크층이 형성되며 거칠어진다.
특히 오이에서는 곡과 및 기형과가 많이 생겨 상품가치가 없게 된다.
방제방법
오염되지 않은 건전한 묘를 사용하고 한랭사를 설치하여 시설 내로 성충의 유입을 막는다.
약제에 약한 약충이나 성충은 약제 살포 시 방제효가가 높으나 땅속의 번데기는 방제가 어렵다.
정식 전에 전작물의 잔존물, 잡초 등 발생원을 제거하고, 토양소독을 하여 번데기를 죽인다.
끈끈이를 설치하여 유인하여 죽인다.
토양에서 번데기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은색 필름으로 멀칭한다.
시설재배에서 작물 재배 후 50℃이상으로 5~7일간 밀폐하여 고온으로 죽인다.
6.점박이응애 (urticae)
목/과명
응애/잎응애과
속명
Tetranychus
생태정보
온도가 높은 시설재배 작물에서 발생이 많다.
점박이응애는 추운 지방에서는 년 9회, 따뜻한 지방에서는 10~11회 발생하고, 성충으로 월동한다.
시설작물에서는 가온하고 야간 조명을 하면 휴면하지 않는다.
월동한 성충은 처음에는 잡초에서 번식하다가 작물이 생육함에 따라 작물로 이동하여 발생하며, 8월이 가해최성기이다.
잎의 표면과 뒷면 양쪽 모두를 가해하나 주로 잎 뒷면에서 주로 서식한다.
발육시작온도는 9℃전후이고, 발육적온은 20~28℃, 최적습도는 50~80%로서, 25℃에서 알에서 성충까지 10일이 소요되는데 좋은 환경조건에서는 급속히 개체수가 증가한다.
예찰은 식물체 뒷면을 육안 또는 확대경을 이용하여 조사한다.
점박이응애의 피해를 받으면 잎 표면에 흰 반점이 나타나므로 이 반점의 유무를 확인하여 발생여부를 확인 할 수도 있다.
피해정보
잎 뒷면에서 세포 내용물을 빨아먹으므로 잎 표면에 작은 흰 반점이 무더기로 나타나고 심하면 잎이 말라죽는다.
작은 반점은 초기에는 연녹색으로 변색되다가 점차 황색~갈색으로 변하고 심하면서 낙엽이 진다.
밀도가 높아지면 상부로 올라와 피해를 주며, 피해 부위에 가느다란 거미줄을 친다.
방제방법
작물의 하위 잎에서 발생이 시작하여 새잎으로 확산된다.
점박이응애 발생지점에 물을 뿌려주면 발생이 억제된다.
작물재배 후에 작물 잔재물을 깨끗이 청소하여 발생원을 없애야 한다.
발생초기에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방제효과가 높다.
잎응애는 약제저항성이 쉽게 발달하므로 같은 계통의 약제를 계속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국내에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칠레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 긴털이리응애, 꼬마무당벌레 등이 있다.
점박이응애 밀도가 높으면 잔류기간이 짧은 응애약제를 살포한 후 천적을 방사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아사이노나피르 분산성액제 | 20% | 다이마이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2회 이내 | 미분류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비펜트린.클로르페나피르 수화제 | 3(1+2)% | 파발마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3a+13 | (주)팜한농 |
살충제 | 아사이노나피르.에톡사졸 액상수화제 | 18(15+3)% | 카스피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전 | 2회 이내 | 미분류+10b | (주)농협케미컬 |
살충제 | 플루페녹수론 분산성액제 | 5% | 카스케이드 | Ⅲ급(보통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15 | 성보화학(주) |
살충제 | 플루페녹수론 분산성액제 | 5% | 충애존 | Ⅲ급(보통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15 | 아그리젠토(주) |
살충제 | 에톡사졸 액상수화제 | 10% | 주움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3회 이내 | 10b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아사이노나피르.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 19(15+4)% | 응전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14일전 | 2회 이내 | 미분류+13 | 한국삼공(주) |
살충제 | 아바멕틴.피플루뷰마이드 액상수화제 | 9.7(1.7+8)% | 응애왕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2회 | 6+25b | (주)팜한농 |
살충제 | 페나자퀸 액상수화제 | 20% | 응애단 | Ⅳ급(저독성) | Ⅲ급 | 3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21a | (주)팜한농 |
살충제 | 페나자퀸 유제 | 10% | 응애단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21a | (주)팜한농 |
살충제 | 페나자퀸 유제 | 10% | 워나란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21a | (주)동방아그로 |
살충제 | 아바멕틴.클로란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 | 6(1.714+4.286)% | 아피스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7일전 | 3회 | 6+28 | 아다마코리아(주) |
살충제 | 아바멕틴.에마멕틴벤조에이트 미탁제 | 4.1(1.6+2.5)% | 아벰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2회 이내 | 6+6 | (주)경농 |
살충제 | 스피로디클로펜 수화제 | 36% | 시월애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3회 이내 | 23 | (주)태준아그로텍 |
살충제 | 페나자퀸 유제 | 10% | 블루터치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21a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아사이노나피르 액상수화제 | 20% | 마이트킹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2회 이내 | 미분류 | (주)경농 |
살충제 | 에톡사졸 액상수화제 | 10% | 레옹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이내 | 10b | (주)태준아그로텍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클로르페나피르 수화제 | 5.5(2.5+3)% | 닥터킹 | Ⅳ급(저독성) | Ⅱ급 | 1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2회 이내 | 4a+13 | 한국삼공(주) |
살충제 | 테부펜피라드 유제 | 10% | 피라니카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2일 전까지 | 2회 이내 | 21a | 신젠타코리아(주) |
7.파밤나방 (exigua)
목/과명
나비목/밤나방과
속명
Spodoptera
생태정보
고온성 해충으로 성충이 5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10월까지 발생한다.
8월 하순부터 10월 하순에 성충발생이 많으며 이때를 전후하여 피해도 많이 발생하며 11월까지도 피해가 나타난다.
성충의 산란 기간은 5~8일, 알 기간은 2~5일, 유충 기간은 9~23일, 번데기 기간은 5~14일이다.
암컷은 난괴로 1,000개의 알을 낳는다.
다자란 유충은 35㎜ 정도이며, 황록색~흑갈색의 체색변이가 심하지만 보통은 녹색인 것이 많다.
콩, 완두, 무, 파, 양파, 감자, 토마토, 고구마 등을 가해하며, 1988년 8월 전남 해남, 무안, 진도 등지의 지황, 배추, 파, 대파 등에 큰 피해를 주었다.
발생량은 전남, 경남, 제주 등 주로 남쪽지역에 많으나 중부이북 지역에서도 해에 따라 발생량이 많다.
노지에서 1년에 4~5회 발생하며 제주도 및 남부 해안지역의 따뜻한 지역에서는 1회 이상 더 발생할 수 있다.
예찰은 페로몬 트랩을 설치하여 발생예찰을 할 수 있다.
피해정보
유충은 잡식성으로 채소, 화훼류, 전작물 등을 널리 가해한다.
파에서는 잎 속으로 들어가 안에서 가해하며, 결구 식물에서는 결구 속으로 파고 들어가 피해를 주고, 그 외 작물은 잎을 가해한다.
2~3령까지는 집단으로 가해하고 그 후에는 분산하여 가해한다.
방제방법
농약에 저항성이 잘 생겨 방제하기 쉽지 않은 해충이며, 비교적 1~2령의 어린 유충기간에는 방제 효과가 높으나. 3령 이후의 큰 유충이 되면 방제효과가 떨어진다.
파의 경우 유충이 파속으로 들어가 가해하므로 약제에 접촉되지 않아 방제가 더욱 어렵다.
교미교란용 페로몬을 이용하여 방제하기도 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충제 |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 2.15% | 더블팜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전 | 3회 이내 | 6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충제 |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 2.15% | 파일럿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6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인독사카브 액상수화제 | 5% | 파라독스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3일전 | 3회 이내 | 22a | (주)천지인바이오텍 |
살충제 | 에마멕틴벤조에이트.인독사카브 액상수화제 | 12.15(2.15+10)% | 티렉스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 6+22a | 인바이오(주) |
살충제 |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 2.15% | 트라제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전 | 3회 이내 | 6 | (주)태준아그로텍 |
살충제 | 사이안트라닐리프롤 분산성액제 | 5% | 토리치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2회 이내 | 28 | (주)농협케미컬 |
살충제 |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 2.15% | 킹팜골드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 6 | 미래아그로 |
살충제 | 에토펜프록스.피메트로진 유현탁제 | 18(10+8)% | 킹스타일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7일전 | 2회 | 3a+9b | (주)천지인바이오텍 |
살충제 | 인독사카브 액상수화제 | 5% | 킬버튼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22a | (주)신농팜케미컬 |
살충제 | 테부페노자이드 수화제 | 8% | 쾌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18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아세타미프리드.노발루론 유제 | 16(7+9)% | 코모란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2회 이내 | 4a+15 | 아다마코리아(주) |
살충제 | 인독사카브.루페뉴론 액상수화제 | 14(10+4)% | 캐논볼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3회 | 22a+15 | (주)한얼싸이언스 |
살충제 | 에마멕틴벤조에이트.인독사카브 수화제 | 9.7(1.7+8)% | 치명타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2회 | 6+22a | 인바이오(주) |
살충제 | 테부페노자이드 수화제 | 8% | 자이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전 | 3회 이내 | 18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충제 | 테부페노자이드 수화제 | 8% | 자이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18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충제 | 테부페노자이드 수화제 | 8% | 유일나방자비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18 | (주)유일 |
살충제 |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 2.15% | 워록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3일전 | 3회 | 6 | 아다마코리아(주) |
살충제 |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 2.15% | 에코골드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 | 3회 이내 | 6 | (주)신농팜케미컬 |
살충제 | 인독사카브 유제 | 15.84% | 암메이트에스 | Ⅲ급(보통독성) | Ⅱ급 | 3,000배 | - | 수확 7일전 | 2회 | 22a | (주)경농 |
살충제 | 아바멕틴.클로란트라닐리프롤 액상수화제 | 6(1.714+4.286)% | 아피스 | Ⅲ급(보통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7일전 | 3회 | 6+28 | 아다마코리아(주) |
살충제 | 인독사카브 액상수화제 | 5% | 아리인독사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3일전 | 3회 이내 | 22a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충제 | 테부페노자이드 수화제 | 8% | 쌔콤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18 | 아그리젠토(주) |
살충제 | 인독사카브.테플루벤주론 수화제 | 3(1+2)% | 송골매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22a+15 | (주)팜한농 |
살충제 | 비티아이자와이지비413 액상수화제 | 1.0x10^7 cfu/ml% | 솔빛채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배 | - | - | - | 11a | (주)그린바이오텍 |
살충제 | 테부페노자이드 수화제 | 8% | 미믹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3일 전까지 | 3회 이내 | 18 | (주)경농 |
살충제 |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 2.15% | 맥스팜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3일전 | 3회 | 6 | (주)신농팜케미컬 |
살충제 | 메톡시페노자이드 액상수화제 | 21% | 런너 | Ⅳ급(저독성) | Ⅲ급 | 4000배 | - | 수확 7일 전까지 | 3회 이내 | 18 | (주)팜한농 |
살충제 | 브로플라닐라이드.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 6.65(4.5+2.15)% | 포르티스브이 | Ⅳ급(저독성) | Ⅰ급 | 2,000배 | - | 수확 14일전 | 2회 | 30+6 | (주)팜한농 |
'병해충정보 > 과채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외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1) | 2022.06.12 |
---|---|
참외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12 |
참외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2 |
수박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12 |
수박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