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겉깜부기병 (裸黑穗病,Loose smut)
발생환경
겉깜부기병균은 종자의 배에서 휴면 균사체로 생존한다.
감염종자가 발아하면 병원균도 발아하여 경정부위로 이동하고, 종자 원기에 도달한다.
모든 이삭조직은 후막포자로 전환된다.
후막포자는 보리 개화기에 바람에 의해 비산하여 주두와 자방벽을 침입한다.
균사체는 세포사이로 퍼져나가며 주로 배반조직에 존재한다.
개화기 중 상대습도가 높고 16~22℃의 온도가 유지되면 균의 포자 발아를 자극할 뿐만 아니라 개화기간을 증가시켜 포자가 화기조직과 접촉할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므로 서 균의 침입을 쉽게 한다.
증상설명
깜부기병은 속깜부기병과 겉깜부기병이 있다.
겉깜부기병은 출수 직후 씨알에 발생하며 화기 전염한다.
출수기와 성숙기사이에 뚜렷하여 처음 발병된 이삭은 검게 되고 건전한 이삭들 사이에서 뚜렷하게 볼 수 있다.
심하게 감염된 이삭은 건전한 이삭보다 다소 빨리 출수하는 경향이다.
병에 걸린 씨알은 처음 회색의 얇은 피막에 싸여 있다.
이 후 피막이 찢기고 속의 후막포자가 비산하면 수일 내에 이삭의 축만이 남는다.
방제방법
- 적용약제로 종자분의 처리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카복신.티람 분제 | 75(37.5+37.5)% | 비타지람 | Ⅳ급(저독성) | Ⅰ급 | 2.5g/종자1㎏ | - | - | 다2+카 | (주)동방아그로 |
2.그물무늬병 (網斑病,Net bloch)
병원체
Pyrenophora teres
발생환경
병원균은 균사나 포자의 형태로 종자에 부착하여 종자 전염하거나 병든 잔재물에서 겨울을 지나 다음 해의 전염원이 된다.
증상설명
주로 잎에 발생하지만 간혹 줄기에도 발병한다.
하엽부터 발생하기 쉽고 잎의 선단부와 가까운 쪽에서 잘 발병한다.
병반은 갈색 그물모양의 무늬가 형성되며 주변은 황화 한다.
그물모양의 병반이 뚜렷하므로 타 병해와 구분하기 쉽다.
방제방법
- 건전지에서 채종하거나 종자 소독하여 사용한다.
- 피해가 심한 포장은 수확 후 병든 잎, 잔재물을 제거한다.
3.그을음병 (黑點病,Sooty mold)
병원체
Cladosporium herbarum
발생환경
발병조건은 여러 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다.
식물체가 입고병과 같은 다른 병에 의해 피해를 받거나, 건조나 한발 등의 스트레스, 영양 불균형에 의해 식물체가 시들고, 연약해지며, 생육이 불량한 미숙 이삭에서 균에 감염되기 쉽다.
또한 진딧물 등 곤충이 분비하는 당 성분이 포함된 분비물은 그을음병균들이 생존할 수 있는 기질을 제공하여 병이 만연될 수 있다.
심하게 감염되면 식물체의 광합성이 감소된다.
기상조건은 대개 높은 상대습도와 강우 시에 발생한다.
종자에서 균은 특히 유숙기에 감염하기 쉽고, 성숙기에 습한 날씨가 지속되고 수확이 지연될 때 격발하며, 대개 5월말~6월 수확기에 심한 것을 볼 수 있다.
증상설명
시들거나 손상된 조직에서도 발생하며, 주로 이삭에서 암녹색, 회색~흑색 반점, 때로는 분홍색이나 흰색의 곰팡이 형태로 나타나 피해를 준다.
성엽에서도 자주 발생하여 그을음 증상을 나타내며 매우 지저분하게 보인다.
잎에서 곰팡이 발생 정도와 종류는 영양, 날씨조건과 관련되어있다.
식물체 표면상에 존재하는 영양분, 꽃가루 혹은 곤충의 분비물은 병 발생을 조장한다.
피해를 입은 종자는 변색, 품질저하로 인하여 상품가치가 하락하며 종자 발아율이 감소한다.
병이 발생된 포장은 수확할 때 검은 먼지를 일으키고 일부의 사람들에게는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방제방법
- 가뭄이나 영양 등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작물을 관리해야 한다.
- 진딧물 같은 충해에 대한 피해가 없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4.누른모자이크병 (Yellow mosaic)
병원체
Barley mild mosaic virus
발생환경
보리 누른모자이크병에 대한 피해는 1975년과 1976년에 전국에 대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었으며 40~50%의 감수 피해 포장도 있었다.
전라도와 경상남도, 충청북도의 일부 지역에 발생되고 있고, 경기도 지방에서도 산발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전북 익산 등 상습 발생지에서는 매년 발생되고 있으나 그 외의 지역은 심한 해에만 발생한다.
보리 누른모자이크병은 토양 전염 바이러스로서 polymyxa graminis균이 매개하여, 즙액전염, 종자전염이 안된다.
감염 시기는 파종 후 30~40일 이내로서, 파종 후 30일간 평균기온이 10~13℃일 때 발병이 많다.
파종 적기보다 일찍 파종하면 발병이 많으나 늦을 경우에는 병이 적다.
배수 불량 포장, 알칼리성과 중성 토양, 석회, 퇴비 등 유기질 비료 과용, 질소질 비료, 가리비료 부족인 경우에 피해가 많다.
증상설명
황록색 또는 황백색의 반점이 잎 전면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다.
병징이 심하지 않을 때는 비료를 준 뒤 비가 오거나 기온이 높아지면 생육이 촉진되므로 어느 정도 회복되어 초장도 큰 차이가 없으며 병징도 잘 나타나지 않고 출수도 잘된다.
발병이 심한 때는 아래 잎부터 황색으로 변하여 식물체 전체가 황색으로 변하고 초장도 훨씬 작아지며 뿌리의 발달이 극히 미약하고 흑색으로 되어 고사하는 율이 높다.
잎에는 군데군데 갈색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출수는 되나 이삭의 ⅓~½이 불임이 되어 백색으로 마르고 나머지 부분도 전혀 여물지 않거나 충실치 못하다.
보리알은 건전 잎보다 거칠고 작으며 색깔이 좋지 않고 까락이 잘 떨어지지 않는다.
발병 시기는 3월 초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4월 초, 중순이 가장 심한 증상이 나타난다.
방제방법
- 보리의 연작을 피하고 배수 불량지는 배수가 원활하게 두둑을 높이고 골을 깊게 한다.
5.붉은곰팡이병 (赤黴病,Scab, Ear blight)
병원체
Gibberella zeae
발생환경
병원균의 전염경로는 종자, 그루터기, 토양 등에서 겨울을 지나 1차 전염원이 되며 1차 병징에서 형성된 분생포자가 비산하여 급속히 확산된다.
주로 출수 후 이삭에 발생하나 유묘, 줄기, 뿌리 등에도 발생하여 피해를 주며 심하게 감염된 종자는 파종직후 발아가 불가능해지고 부패한다.
발육온도는 8~23℃ 정도이며, 발육 최적온도는 24~28℃ 정도이다.
가을 파종기의 온도가 15℃ 내외일 때 발병이 많고 10℃ 이하일 때는 발병이 적다.
병의 발생에는 습도가 가장 중요한데 강수일수가 많아 95% 이상의 상대습도가 3~5일 이상 유지될 때 병 발생이 급격히 증가한다.
특히 출수기 이후의 계속되는 강우는 병 발생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붉은곰팡이병의 피해가 큰 ’93년과 ’98년의 기상을 보면 보리 출수기 이후(4월 하순~5월 초순) 강수일수가 많고 습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감염 시기는 주로 출수기부터 유숙기 사이에 많이 감염되며, 이삭이 출수하기 전에는 거의 감염되지 않는다.
출수 전에 이삭을 채취하여 실내에서 병원균 감염여부를 조사한 결과 전혀 감염되어 있지 않았으며, 출수 후 이삭을 채취하여 조사한 결과 3.5%의 감염률을 나타내었다.
이 병원균은 보리에 피해가 가장 크나 밀, 벼, 옥수수, 귀리 등에도 발생하며 심하면 밭둑이나 논둑의 화본과 잡초류에도 발생한다.
증상설명
이삭은 처음 일부 보리알이 갈색으로 변색되고 점차 진전되면 보리알의 껍질부위에 홍색의 곰팡이(분생포자)로 뒤덮인다.
보리알과 알 사이는 흰 균사가 발생하기도 하며 오래된 병환부에는 흑색소립(자낭각)이 산생하기도 한다.
줄기에 발생하면 잎집의 부착부위가 갈색으로 변하며, 아주 어린 묘에 발생하면 주전체가 말라죽는다.
방제방법
- 출수기에 등록약제로 적기방제한다.
- 수확 즉시 건조하여 병원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감염곡실을 많이 제거한다.
사용가능 농약정보(용도/성분명/함량/농약명/인축독성/어독성/희석배수/안전사용시기/작용기작/회사명)
살균제 | 캡탄 수화제 | 50% | 경농캪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500배 | - | 출수후 14일 | 3회 이내 | 카 | (주)경농 |
살균제 | 캡탄 입상수화제 | 80% | 머판 | Ⅳ급(저독성) | Ⅰ급 | 1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카 | 한국마간(주) |
살균제 | 캡탄 수화제 | 50% | 반가운 | Ⅳ급(저독성) | Ⅰ급 | 500배 | - | 출수후14일 | 3회 이내 | 카 | (주)한얼싸이언스 |
살균제 | 캡탄 수화제 | 50% | 부패왕 | Ⅳ급(저독성) | Ⅰ급 | 500배 | - | 출수후 14일 | 3회 이내 | 카 | 유원에코사이언스(주) |
살균제 | 캡탄 수화제 | 50% | 삼공캪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500배 | - | 출수후 14일 | 3회 이내 | 카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프로피코나졸.티오파네이트메틸 유현탁제 | 21(6+15)% | 아끼미 | Ⅲ급(보통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 40일 전까지 | 2회 이내 | 사1+나1 | 성보화학(주) |
살균제 | 헥사코나졸 유제 | 10% | 안빌 | Ⅳ급(저독성) | Ⅲ급 | 1000배 | - | 수확30일전 | 2회 | 사1 | 한국삼공(주) |
살균제 | 트리플록시스트로빈 입상수화제 | 50% | 에이플 | Ⅳ급(저독성) | Ⅰ급 | 4000배 | - | 수확 30일 전까지 | 3회 이내 | 다3 | (주)팜한농 |
살균제 | 프로피코나졸.테부코나졸 유현탁제 | 22(10+12)% | 영일베스트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전 | 3회 이내 | 사1+사1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캡탄 수화제 | 50% | 영일캪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500배 | - | 출수후 14일 | 3회 이내 | 카 | (주)농협케미컬 |
살균제 | 헥사코나졸 입상수화제 | 2% | 침투왕 | Ⅳ급(저독성) | Ⅲ급 | 2000배 | - | 수확 14일 전까지 | 4회 이내 | 사1 | (주)팜한농 |
살균제 | 아족시스트로빈.헥사코나졸 액상수화제 | 13(12+1)% | 클릭 | Ⅳ급(저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7일전 | 2회이내 | 다3+사1 | (주)팜한농 |
살균제 | 캡탄 수화제 | 50% | 팜한농캡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500배 | - | 출수후 14일 | 3회 이내 | 카 | (주)팜한농 |
살균제 | 디페노코나졸.프로피코나졸 유제 | 26(13+13)% | 플레이 | Ⅲ급(보통독성) | Ⅱ급 | 2000배 | - | 수확 21일 전까지 | 3회 이내 | 사1+사1 | 신젠타코리아(주) |
살균제 | 캡탄 수화제 | 50% | 하이캡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500배 | - | 출수후 14일 | 3회 이내 | 카 | (주)케이씨생명과학 |
살균제 | 캡탄 수화제 | 50% | 하이캡탄 | Ⅳ급(저독성) | Ⅰ급 | 500배 | - | 출수후 14일 | 3회 이내 | 카 | (주)케이씨생명과학 |
'병해충정보 > 곡식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10 |
---|---|
보리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09 |
벼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08 |
벼 주요 해충(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上편 (0) | 2022.06.08 |
벼 주요 병(발생환경/증상/방제/농약) - 下편 (0) | 2022.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