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정/화훼

심비디움 재배방법(농작업일정)

by 투농부 2022. 6. 2.
반응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심비디움

 

 

 우량품종 선택

❍분화용 : 피아니스트, 마이걸, 골든옐로우, 러브리문노부꼬, 인더무드 스카이민트,세일러문

❍절화용 : 울티메이티, 융프라우, 그레이스켈리, 사까다

 

 

  

❍생장점 조직배양(메리크론묘)

 

 

 고품질 심비디움 생산기술

❍재배환경관리

- 낮온도 : 23

- 밤온도 : 15

- 화아분화적온 : 13(고냉지이용)

❍시비

- N-P-K-Ca-Mg 전용양액시용

(시비량 : 2.0-1.5-4.2-3.8-1.0kg/10a)

- 완효성 고형비료

(오스모코트, 몰코트, 롱커 등)

 

 

 

 병해충 방제

❍발병시기

- 부패병 : 고온다습시

- 흑반병 : 9~10월 기온이 떨어지고 환기가 안 될 때

- 응애 : 고온건조시

- 달팽이 : 장마철

- 총채벌레 : 생장기, 개화기

C/N율 향상

- 포트육묘

- 육묘중 단근

- 육묘중 추비중단

 

 

 

■재배적 특성

분포 우리나라에는 40여속 90종이 분포. 해발 500~1500m 산지에 자생
형태 일부 착생종도 있으나 대부분이 토양에서 자라는 지생종임
번식 생장점 배양에 의한 영양번식으로 쉽게 대량증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일찍부터 조직배양기술이 발달되어 산업화에 성공
생육습성 새로운 촉이 발생하여 포기를 형성하는 복경성란

 

 

■작형별 출하시기

작 형 수확기 출하기 성출하기 단경기
촉성재배 10~11 10~11 11~11 9~10
보통재배 12~ 3 12~ 3 12~ 2 4~ 8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내용
꽃눈 고사현상
(블라스팅현상)
 30℃이상의 고온이 되면 꽃눈이 죽음 (꽃떨림현상이라고도 함)
ㅇ 조생 품종은 고랭지 재배, 여름철 저온관리
엽소현상 ㅇ 잎이 고광도에 의해 누렇게 되면서 타 버림 (장마이후 최소 30% 차광요망)
화아형성과온도관리 ㅇ 잎의 기부마다 절이 있고 한개의 벌브에는 12~14절이 있음
ㅇ 액아(곁눈)은 아래쪽 1~4번째의 액아는 크고, 그 위에 있는 것은 아주 작고, 3~4번째 액아에서 꽃눈이 생김
ㅇ 화아의 발달과 신장은 온도 영향이 큼
 7~8월의 고온기에 생긴 화아는 15℃내외의 야간온도일때 가장 순조롭고, 20℃ 이상의 고온이 되면 개화 지연
 10월 이후에 생긴 화아는 야간온도가 높을수록 개화
촉성재배 꽃눈분화  7월이전 꽃눈이 분화되도록 생육촉진
 7월상순~9월하순까지 2개월정도 표고 800~1,000m의 고냉지에서 자연 저온처리 후 온실로 옮김
순따기 ㅇ 새순은 2개정도 남기고 모두 따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