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사일정/화훼

국화 재배방법(농작업일정)

by 투농부 2022. 6. 2.
반응형

 

 

 

품종에 따라 농작업일정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국화

 

 

 

 

 

 

  

❍하국 : 백선, 백광, 유카 등

❍하추국 : 백마

❍하추국 : 신마 등

❍스프레이국 : 아르거스, 퓨마, 킹피셔, 유로, 모나리자, 벌룬,

롤리팝, 그린버드 등

 

 

 

  

❍삽목 : 삽목묘, 소일블럭묘 이용

❍삽수저장

- 삽수량 확보 및 휴면타파용도

- 무근 삽수 : 3,  95%습도

- 유근삽목묘 : 5-7,  90%습도

 

 고품질 꽃생산 기술

❍무병종묘 이용

❍정식주수 : 무적심재배시 35,000~40,000/10a

❍생육단계별 적정온도 관리

- 개화기 15℃ 이상

- 개화조절을 위하여 일장과 온도 조절

❍비배관리

- 유기물시용 균형시비

❍점적관수 : 액비시설 혼입

 

 

 

 전조 재배기술

❍조명기간 : 8월 중~10월 하

❍조명밝기 : 100W, 10-13㎡ 당전등 한개

❍전등위치 : 식물체위 90cm

❍조명방법 : 심야 3~4시간 조명

 

 

 

 차광 재배기술

❍차광시간 : 오후6~오전 7

❍일장시간 : 12시간 단일처리

❍차광재료 : 흑색비닐, 암막차광 전용 스크린 재질 이용

 

 

 

 병충해 방제

❍주요 병해충

- 흰녹병, 점무늬병, 잿빛곰팡이병,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등

- 진딧물, 응애, 총채벌레, 잎굴파리

❍방제대책

- 무병묘 식재

- 토양소독 및 예방위주의 약제살포

 

 

 

■작형별 출하시기

작 형 수 확 기 출 하 기 성출하기 단 경 기
전 조 재 배 12~1 12~1 12~1 2~12
차 광 재 배 8~9 8~9 8~9 9~7
노 지 재 배 10~11 10~11 10~11 12~9

ㅇ 주재배지역 : 스탠다드(경남 김해, 부산), 스프레이(경북 구미, 충남 예산) 등지

ㅇ 스탠다드국화는 대부분 화환, 근조화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스프레이 및 소국은 꽃꽂이 등 장식용으로 많이 쓰임

 

 

 

■홍수출하 방지(초과공급)

ㅇ 작부체계 조절에 의한 연중 균형생산

ㅇ 건전 소비확대 홍보를 통한 수요 창출

ㅇ 수출확대  

 

 

 

■기상재해 및 생리장해 대책

항목 내용
버들눈 발생 ㅇ 측아는 화아분화하지 않고 정아만 미숙 꽃눈이 되어 정상 개화하지 못하는 현상
ㅇ 주요원인 - 장일시기에 수일간 기상불량으로 광부족 할 때 - 단일처리 초기에 장일조건을 부여했을 때 - 모주가 노화하였거나 도장된 신초를 삽수로 이용할 때
ㅇ 방지대책 - 적절한 일장 상태 유지 - 지나친 고온 및 저온 회피 - 건전모주 양성과 영양조건 개선 - 유아 조기제거 및 2번화 유도
관 생 화 ㅇ 꽃속의 꽃으로서 두상화서의 중심부에 소화가 형성되는 현상
ㅇ 주요원인 - 고온하에서 한계 일장 단축에 의한 저해작용(차광재배시 주로 발생)
ㅇ 방지대책 - 차광재배시 고온장해 회피, 적품종 선택
노심현상 ㅇ 두상화서의 중심부에 관상화가 많이 노출되는 현상 ㅇ 주요원인 - 전조재배시 소등 후의 급격한 일장 변화 ㅇ 방지대책 - 재전조 : 소등 12~14일 후 재전조 실시

 

 

 

 

반응형

댓글